안녕하세요! 작년 기출문제 풀어보다가 질문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작년에 2문 만점 받았었는데, 수요독점적 착취도 (강의에서 말씀해주신대로 임금기준이랑 소득기준(면적) 둘다) 표시했었거든요. 근데 정작 다시 푸니 기억이 잘 안나서 ㅠㅠ 문의드립니다.
일단, 완전 차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1) 임금기준으로는 수요독점으로 과소 공급되는 L수준에서 VMP와 w차이로 이해를 했고,
2) 소득(면적)기준으로 볼 때는 위에서 구한 임금에 노동량응 곱해서 구했습니다. (위 사진상 빗금면적)
그런데 완전히 차별하는 경우에는,
1)임금의 경우에는 각 사람마다 다르니? 표시하기가 어려운 것 같고,
2)소득(면적)기준은 균형 임금 아래쪽으로 삼각형으로 보았는데요..(그 윗쪽 완전경쟁일 때 생산자 잉여랑 같아서, 수요독점으로 인한 착취인가? 싶어서요)
근데 또 VMP와의 비교를 보자니,
그림에서 AEO 전체가 수요독점적 착취인 것 같기도 하고요ㅠㅠㅠ 갑자기 멘붕와서 질문 남깁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 있으면 알려주시고,
완전히 차별하는 경우도 알려주세요ㅠㅠ 감사합니다!
첫댓글 교수님께 답변의뢰드릴게요. 참! 교수님이 답변하시기 좋게 해당 문제도 본문수정하기 기능으로 같이 올려주시는게 어떨까요?
감사합니다!
작년에 교수님이 올려주신 풀이ppt에서 문제부분 캡쳐해서 올렸습니다 :) 감사합니다~
잘하셨어요
근데 착취 개념 다시 한번 생각해 보실까요
착취가 왜 착취라고 이름이 붙었을까요?^^
<착취>에 초점을 맞추면, VMP만큼 이득을 취하면서 그 값은 w만 주니까, 전체 면적 AOE인 것 같아요..!! (근로자 잉여 =0)
근데 또 <수요독점적>이다에 초점을 맞추면, 완전경쟁일 때보다(완전경쟁일 때도 윗쪽 삼각형은 기업의 잉여니까...) 덜 주는 게 수요독점적 착취인가 싶어서요ㅠㅠㅠ흑흑 헷갈립니다ㅠㅠ
둘 중 어떤 게 맞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ㅜㅜ
@komusa 다시 답 달께요
@ecomania 네넵! 답 기다리고 있습니다 :)
앗
뒤로 밀렸네요.죄송요
근로자 잉여는 없는듯한데요
착취는 기여한만큼 받지 못하니
수요곡선과 공급곡선 차이 만큼으로 보시면 될듯합니다^^~
이상하면 새글로 질문주세요~
화팅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