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7. 24.
145. 교육제도를 개혁하자 – 서이초교 선생님의 죽음을 애도하며...
억압과 착취의 교육에서 생명을 불어넣는 교육으로 바뀌어야 한다.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교사 #서이초 #선생님 #교육제도 #죽음의_의미 #리더십
오늘 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00:00 시작
20:16 조직을 건강하게 만드는 기본기능
22:59 서이초교 교사의 죽음이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54:54 이 상황에 대한 책임자들은 누구이며, 왜 이들은 자신의 책임을 제대로 못하고 있을까?
1:06:09 이 사건과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어떤 사고력이 필요한가?
1:07:12 제국주의와 자유주의가 만든 최악의 상황
1:19:21 자유주의는 왜 실패했는가?
1:33:23 민주주의, 자유주의, 사회주의, 자본주의의 상호 견제와 균형 작용
1:49:01 이런 견제와 균형 작용을 위한 DANO 경영플랫폼의 설계와 운용
1:49:25 앵글로색슨 모형과 서계차경의 세계
1:55:10 개혁을 위한 대전환의 의미
1:58:59 “팀으로 일한다”는 말의 의미: 리더십의 환경조건
2:11:12 정리
@user-yq9xe2ww7q12시간 전
감사히 들었습니다.
교육의 근본적 대전환이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억압과 착취를 멈출 수 없군요.
@user-bw8wr4iu9y13시간 전
오늘강의가 지금까지 들었던 여러강의보다 마음을 무겁게 하는군요.
선생님의 통찰력으로 설명해 주시니 문제점들이 보입니다만,
오늘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많은 기억들이 떠오라 무력감 좌절감을 또 느낍니다.
죽음으로 생을 마감한 초등교사는 그런상황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한것이고,
많은 소시민들은 분노하였지만 나중에 포기하면서 무력함을 느낀것이지요.
오늘 강의소재는 다양한 것들이였는데, 어느하나도 쉽지 않은 어려운 것들이지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 (무거운 마음을 가지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