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알만한 내용이지만...요즘 글도 자주 안 올리고 해서... 간단한 글이나마 올려봅니다.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사극에 병사나 포졸들이 항상 들고 있는 무기는 창입니다. 그 중 당파로 알려진 삼지창류의 창은 방송국을 가리지 않고-영화도 마찬가지- 반드시 등장하는 친근한(?)한 무기입니다.

(조선 시대 대표(?) 창 당파)
하지만 이 설정은 대표적인 고증 오류의 하나로 지적 받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당파의 도입시기는 임진왜란 중 명군으로부터입니다. 당파라는 무기 자체의 기원은 불분명하나 당파가 조선에 도입된 계기는 항왜명장인 척계광의 '절강병법'이 도입되면서부터입니다. 절강병법 원앙진에서 당파수는 2인으로 당파를 이용하여 화전을 발사하거나 후미에서 지원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물론 조선 전기에도 당파와 유사한 형태의 삼지창 혹은 극이 존재했습니다.

(세종 실록 오례의 군례서례에 등장하는 극)
세종실록 오례 군례서례에 나오는 조선 초기 극의 모습입니다. 극은 삼국연의에서 여포의 창인 '방천화극'처럼 일반 창에 좌우로 가지가 있는 창을 뜻합니다. 가지가 하나인 경우도 있고(방천화극) 삼지창과 당파처럼 두 개인 경우도 있습니다.
당파가 이 극에서 유래된 무기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극은 고대 전차전 때부터 이용되었으나 후대로 올수록 실전용이라기 보다는 크기를 대형화시키고 깃발을 달아서 의장용의 성격이 강해졌습니다.
그리고 실록 등을 보면 삼지창과 당파가 따로 언급되는 것으로 봐서 당파 외에 삼지창이 따로 존재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하튼 조선 전기에 병사들이 당파를 들고 쫄래쫄래 뛰어다니는 모습은 '일반적'이라고 보기는 힘든 상황일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은 당파가 정식으로 수입된 임진왜란 이후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조선 후기에도 당파의 보유량이 극히 미미하다라는 점입니다.
조선 후기 대표적인 군영 중 하나였던 훈련도감의 군기물 중 당파는 고작 28자루 밖에 없는 걸로 나옵니다. 다른 무기와 비교하면 그 차이를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조총은 8,239자루, 환도(環刀) 7,219자루, 활 10,558장(張)을 보유하고 있던 훈련도감에서 당파는 고작 28자루였으니 그 비율이 얼마나 형편 없었던 것인지 알 수 있습니다. 훈련도감 뿐만 아니라 다른 군영도 사정은 마찬가지였습니다.
또한 조선 후기에 그려진 궁중행사 그림이라던가 각종 행사 그림에서 당파를 든 병사는 찾기 힘들 정도로 당파는 보편적인 무기로 보기 힘든 상황입니다.
그러니 조선군 = 당파라는 개념이 얼마나 허상인 것이가를 잘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조선 시대 극이나 당파 외에 다른 창은 없었을까? 물론 있었습니다.
하지만 조선 전기 창 유물이나 관련 기록이 극히 드물어서 정확히 어떤 종류의 창이 있었고 그 중 실전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 창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못한 상황입니다.

(세종실록 오례의 군례서례에 나오는 창)
그 중 실록에 등장하는 창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창의 모습과 거의 동일합니다.

(국조오례의에 나오는 창)
이 외에도 이 외에도 국조오례의에 나오는 창 그림을 통해 조선 전기 창의 모습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작년 동래성 발굴 현장에서 임진왜란 시기의 조선군 창으로 추정되는 유물이 발견되어 조선 전기 창 유물에 대한 관심이 증폭된 적이 있었습니다.


(동래성에서 발굴된 창 유물)
창자루의 길이가 3m 정도의 창으로 조선 전기 창 규격과 거의 일치하고 있으며 원형이 거의 그대로 발굴되어 깜짝 놀라게 한 유물입니다.
일반적으로 조선 전기 창에 대한 선입관 중 하나가 창이 매우 짧았다라는 것인데 이러한 견해는 임진왜란 직전 조선을 방문한 일본 사신 귤강광의 발언 때문에 더욱 굳어진 것인데... 사실 당시 일본의 창이 너무 길었던 탓(약 6m정도)도 있었다고 볼 수 있을 겁니다.
이 외에도 기병용 기창(騎槍)이 있었으며 조선 후기로 넘어오면 절강병법의 도입으로 인해 장창, 낭선, 죽장창, 기창(旗槍), 삼지창, 요구창, 왜장창 등 다양한 창이 존재했습니다.
하지만 조선 후기 조선군은 조총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 상대적으로 창의 중요성이 덜하게 되었습니다.

(기창(旗槍))
첫댓글 당파창 도입 연대는 이미 오래전부터 지적되어 오던 오류인데, 좀처럼 고쳐지지 않더군요. 그리고 조선에도 일본의 장창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나름대로의 장창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