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감포, 부산, 황매산, 지리산 경유
3:20분 50분( 상)53(하)1;10분 좌와 반대로 동일
천안 경주 남산 공원 감포 우불산신사 봉래산 역사테마공원
(문무대왕릉) 오랑대 봉래산 하늘 전망대
주) 남산 공원은 선택지가 확실하지 못해 남산으로 잡았고요
들릴곳은 오릉 ,선덕여왕릉 ,
주) 부산을 들리는 처음 인사는 서낭(산신 서낭 일지 아님 오랑대 용궁
서낭 일지 는 선생님만 선택 가능 하고요
오랑대로 가는길에 부산 장안리 느티나무 성황과 백길리 성황당
주) 부산 초입들려 봉래산으로 이동 하는것은 어느쪽을 선택하셔도
동일 할것으로 사려됨니다
*주) 선생님의 기도처로는 양산 천성산의 원효암(양산 시내를 한눈에
볼수있는 그곳에 마애 삼존불*대각사 와 동일*에 수련할수있는 천성산
* 래비는 상기된 이름을 그대로 치시면 되겠슴니다
3:20분+ 50분+ 1:10분 + 1:10분 = 운전 시간만 6;30분정도 1일차종료
부산 봉래산 주변에서 숙박 했을경우
부산 출 2:20분 1:30분 1:30분 2:40분
부산 황매산 군림공원 1)성모암 지리산 제일 관문 천안
대야성 함벽루 2)중산리탐방 안내소 3:20분
천마총 경상북도 경주시 미추왕릉 지구에 위치한 신라 시대의 무덤
백마사에서 지명법사가 가져온 천마총은 백마사의 두 스님 과 말의
분신인 팔면경과 경전으로 보경사 건축시 앞 우물에 넣은것임
주) 합천 황매산은 대야성 함벽루를 들려 가도 될것 같아서 올려봤어요
산청 기도터는 1)산청 정취암 경치 와 정취 보살상 에서의 기도가 1
2)구령 왕릉 주차장에 오르는 왕림사 김유신 사대 구령왕릉과 바로
위에 있는 류의태 약수터 기도터가 있는데 혹시나해서 올려봄니다
경상북도 경주시 미추왕릉 지구에 위치한 신라 시대의 무덤. 1973년에
발굴 무덤 안에서 천마(天馬)를 그린 말다래가 발견되어 붙인 이름이다.
거대한 봉토로 덮인 적석 목곽분(積石木槨墳)으로 금관(金冠)을 비롯한
수많은 부장품(副葬品)이 출토되었다. (신라시대 유물 박물관 )
노거수부산 기장군 장안리 느티나무1300년 신목 참고자료
- 장안리 느티나무
부산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長安里)는 장안사(長安寺)가 있는 곳입니다.
장안리 지명도 장안사(長安寺)와 관련이 있습니다. 장안천 상류에 있는
장안사는 문무왕 13년(673년)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쌍계사라 부르다가
애장왕 10년(809년)에 장안사로 고쳐 불렀다고 합니다.
이곳 마을은 상장안(上長安)과 하장안(下長安)이 있습니다. 하장안은
상장안 남쪽에 있습니다.
하장안에 수령이 약 1,300년 된 당산나무가 있습니다.
- 느티나무와 제당
하장안 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자정과 6월 14일 자정 무렵에 제당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 할매신에게 동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당산제를 지냅니다.
당산 할매신을 모시고 당산제를 지내게 된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 없습니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할 무렵부터 당산제를 지내 온 것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 장안리 느티나무
<장안읍지(長安邑誌)>에 따르면, 통일신라시대 원효(元曉)가 장안사
위쪽에 척판암을 지을 때 문무왕이 근처를 지나가다 심었다고 전합니다.
문무왕이 이 느티나무를 심었다는 이야기를 믿고 안 믿고는 각자 판단
나름이겠지만, 느티나무의 크기만은 대왕 느티나무라 불러도 조금도
손색이 없어 보입니다.
수령: 1300년. 높이: 25m. 가슴높이 둘레: 8m.
소재지: 부산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