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당이라 함은 전분을 주원료로하여 당화시켜 포도당액을 이성화한 것이거나, 설탕을 가수분해
하여 얻은 당액을 가공한 것을 말한다.
- 액상과당
- 결정과당
*
* 설탕:
*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설탕류로서 포도당 ·맥아당과 같은 다른 단맛을 가지는 당류까지 포함시키기도 한다.
설탕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BC 327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인도에 원정군을 파견하였을 당시 사령관이었던 네아체스 장군은 “인도에서는 벌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갈대의 줄기에서 꿀을 만들고 있다”고 하여 놀랐다는 기록이 있다.
또 BC 320년에는 인도에 주재한 일이 있었던 그리스인 메가스테네스가 설탕을 ‘돌꿀[石蜜]’이라고 소개하였다. 돌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그 때 이미 고형물인 설탕이 사용되고 있었던 것으로 본다.
중국문헌으로는 《이물지(異物誌)》에 기록된 것이 최초로서, 베트남에 수수설탕[甘蔗糖:cane sugar]이 있었던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 또 《후한서》에도 인도에 돌꿀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것으로 볼 때 설탕은 인도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것 같고 그 원료인 사탕수수는 BC 2000년경 인도에서 이미 발견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설탕은 5∼6세기경에 인도로부터 중국 ·타이 ·인도네시아에 보급되었고, 중동을 거쳐 유럽에도 전하여졌다. 8세기가 되어서는 키프로스섬을 거쳐 지중해 연안에도 보급되었고, 그 후 아프리카 남부에까지 이식되었다.
1492년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 이후 에스파냐와 포르투갈 사람이 신대륙에 진출하게 되면서부터 쿠바 ·푸에르토리코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에도 사탕수수의 재배를 전하였다. 이들 지방은 16세기경에 이르러 이미 세계 굴지의 설탕 생산국으로 발전하였다.
한편 사탕무(sugar beet)에 의한 설탕의 역사도 있다. 첨채당(甛菜糖)이 유럽에 보급된 시기는 나폴레옹이 1806년 유럽대륙을 봉쇄한 이후의 일이다.
설탕이 한국에 보급된 것은 20세기 초로 생각되며 1920년 평양에 제당공장을 세워 무설탕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에 8 ·15광복이 되자 53년 한국 최초의 정당공장이 부산에 세워졌고 수입한 원료당(原糖이라고도 한다)에서 설탕을 대량생산하기에 이르렀다
* 탄산가스:
이산화탄소 CO₂가 물에 녹아서 생기는 산.
내용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관련 표제어
· 디스틸러스컴퍼니
· 무기산
· 이산화탄소
· 키슬로봇스크
화학식 H2CO3. 수용액으로만 존재한다. CO2+H2O ↔ H2CO3 매우 약한 2가산이며, 다음과 같은 평형을 유지한다. H2CO3 ↔ H++HCO3- K1=(4.4±0.1)×10-7 HCO-3 ↔ H++CO32- K2=5.6×10-11 K1은 1차 이온화상수, K2는 2차 이온화상수이다(모두 25℃에서의 값).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을 때의 수화작용(水化作用)은 곧 평형에 이르지 않으며, 또 유리섬유 ·알루미나 ·활성탄 등이 존재하면 기체로서 분리되기 쉽다.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가압하에서 물에 녹인 것은 청량음료수로 사용된다.
*
* 카라멜:
*
개요
설탕 ·우유 등을 섞어 고아서 만든 캔디.
내용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관련 표제어
· 양과자
· 캔디
캐러멜에는 밀크 캐러멜 ·커피 캐러멜 ·크림 캐러멜 등 몇 종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은 밀크 캐러멜이다. 일반적인 제조법은 설탕 ·물엿 ·연유 ·야자유 등의 원료를 잘 혼합하여 증기식 솥에 넣어 가열하여 125 ℃ 정도까지 졸인다. 여기에 버터나 향료를 가하고, 냉각판에 흘려서 잘 식힌 다음 롤러에 걸어 일정한 두께의 판자 모양으로 만들어서 회전하는 둥근 칼날로 작은 네모꼴로 자른다. 이것을 왁스지(紙)에 싸서 케이스에 넣는다. 냉각하여 판자 모양으로 만들지 않고, 덩어리진 것을 밧줄 모양으로 늘려서 자르고 포장하는 데까지의 공정을 전부 처리하는 기계도 사용된다. 밀크 캐러멜은 밀크와 설탕이 끓는 동안에 눌으면서 맛이 결합하여 독특한 풍미를 이룬다. 향료는 바닐라 ·밀크가 보통 사용되며, 이 밖에 초콜릿 ·커피 ·요구르트 등의 맛을 가미한 것도 있다. 캐러멜을 단단해질 정도까지 졸인 것을 태피(taffy)라 하고, 캐러멜보다 설탕이 많고 진기가 적으며 부드럽고 말랑한 것을 퍼지(fudge)라고 한다.
* 인산:
*
오산화인 P2O5가 수화(水和)하여 생기는 일련의 산 mP2O5·nH2O의 총칭이다. 메타인산·피로인산·오르토인산·삼인산·사인산 등이 있고, 이 밖에 메타인산의 중합에 의해서 생기는 폴리메타인산의 계열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오르토인산을 가리킨다. 인산의 성질은 무색·무취의 점성도(粘性度)가 큰 액체이며, 농도가 높아지면 결정화(結晶化)하기 쉽다. 녹는점 42.35℃, 비중 1.834이다. 조해성(潮解性)이 있고, 100g의 물에 20℃에서 542g 녹는다. 비휘발성이며 가열하면 피로인산이나 폴리인산이 되고, 더 가열하면 메타인산이 된다. 알코올에도 녹는다. 금속 및 그 산화물을 격렬하게 침식한다. 실험실에서는 인을 산소 또는 공기 중에서 연소시켰을 때 생기는 오산화인을 물과 작용시키거나, 적린과 진한 질산을 반응시켜 만든다.
공업적으로는 원소 상태의 인의 연소와 수화(水化)에 의해서 만드는 건식법(乾式法)과, 인광석의 황산분해에 의해서 만드는 습식법(濕式法)으로 대별된다. 건식법 인산은 전기로에서 제조된 인을 공기로 산화시켜 수화하여 만드는데, 이것에는 1단법과 2단법이 있다. 1단법은 전기로에서 나오는 인의 증기와 부생(副生)하는 오산화인의 증기를 냉각시켜 수화하여 얻는 방법이고, 2단법은 전기로에서 나오는 인의 증기를 한 번 응축시킨 다음 다시 인산 플란트에서 처리하는 방법이다. 1단법은 합리적으로 보이나 가스 용량이 크고 불순물이 혼입하기 쉬우며, 효율이 낮아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것의 개량형으로서 적당한 촉매를 사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습식법 인산은 인광석을 황산으로 분해하여 만드는데, 부생하는 석고(石膏)의 처리장치에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신(新)도르(Dorr)식·노르덴그렌(Nordengren)식·프레온(Prayon)식 등이 있다. 반응식은,
CaF2·3Ca3(PO4)2+10H2SO4+20H2O → 6H3PO4+10(CaSO4·2H2O)+2HF
또, 염산과 질산으로 처리하는 방법도 있다.
인안(燐安)·황인안(黃燐安)·황가인안(黃加燐安)·중과인산석회 등 인산비료로 사용되는 외에, 녹의 제거를 비롯하여 화학연마·방식피막형성·전기분해 연마 등을 위한 금속표면 처리제, 또는 탈수·축중합·이성질화 등의 유기화학 촉매, 또한 염색공업이나 인산염 제조원료, 식품가공이나 의약품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생체 내에서는 인산 형태로, 생물계에서는 인산염 또는 인산 에스테르의 형태로 핵산·인단백질·인지질 등 생체의 주요 구성성분을 형성한다. 고에너지 인산결합을 만들어 에너지 운반체[擔體]의 구실을 하는 등, 생화학상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