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가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유달산 이등바위 아래 위치한 조각공원은 48,000㎡ 규모로
지난 1982년 11월 우리나라 최초 야외 조각공원으로 개원하여
한국조각공원연구회 회원들의 우수한 작품들을 임대 전시해왔으나
전시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대부분의 작품이 교체되었다.
이번 작품들은 해양 중심 도시로서 문화를 상징하는
“ 자연, 문화, 조각” 이라는 주제로 추천 심사를 통해 선정 교체하였으며
설치된 조각작품들은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세심하게 고려하여
2008년 8월 새롭게 문을 열었다.
노적봉에 서 있는 유달산 초입의 도로에 들어선 다음
오른쪽의 순환도로를 따라가면 이등바위의 위용이 한눈에 올려다 보이는
낮은 구릉에 조각공원이 설치되어 있는데,
조각 하나하나가 주변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고,
조각 주변에는 희귀목들을 일부러 심어 놓아 볼거리를 더하고 있다.
산책로를 따라 가며 조각작품을 돌아볼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원에서
이등바위로 오르는 등산로가 마련되어 있어 유달산 등산도 겸할 수 있다.
[참고자료 : http://tour.mokpo.go.kr/home/tour/tourist/sculpture_park/sculpture_park_info/]

[조각공원 입구 표지석]
조각공원 정문 우측에 잘 조각된 자연석 팻말이 일행을 맞는다.

[작품명 : 유달산 장수] /손창식
유달산과 삼학도의 전설에 등장하는 장수의 모습을 조형기법으로
형상화하여 목포와 유달산을 지키는 "벽사"의 의미로 상징화시킨 작품으로
정문 입구에 설치되어 있다.

[작품명 : 기다림] /윤영월
바다에 나간 가족을 무사무탈하게 돌아오기를 기원하며
기다림 속에서 상념에 젖어 앉아 있는 여인의 모습으로 투박하고
향토적인 향취가 나는 작품이다.

[작품명 : 명상-일어나는 섬] /김형준
실존적 인간 존재에 대한 의미를 명상적 분위기를 통해
접근하고자 조형화한 작품입니다.
내부 삼각구조의 작은 섬 형상의 역동적인 인물상은 명상 상태의
외부 인물상과 하나로 구조체와 되면서 내적으로 인고의
사유적(思惟的) 에너지를 간직한 고도(孤島)의 이미지로 확신되고 있다.
[작품명 : 적의(積意)9328] /박석원
조형으로 여과된 상상의 세계는 그지없이 아름답다.
쌓고 쌓이는 내 작업의 [적의적]의미의 본질은 바로 자연과
인간의 만남이요. 윤회하는 삶과 진실의 은유적 세계 속에 존재한다.
[작품명 : 돌.바람印象-07] /김방희 (좌측)
돌담사이로 강한 바람이 스쳐 지나간 자리를 아름다운 선과 면으로
조각하여 오랜 시련을 이겨낸 우리 민족의 강인함을 표현하였다.
[작품명 : 하트 훼이스] /김인겸 (우측)
중첩된 하트형의 외면과 내면의 관계가 만들어 내는 공간의 깊이와
굴절된 평면의 입체미를 표현한 작품이다.
[작품명 : 남도인의 맛과 멋] /김창세
세 덩어리의 이 작품은 하나는 네모진 모양으로
다른 하나는 추상적으로 또 다른 하나는 약간 세겨진 얼굴로
남도인들의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나무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부분은 아쉽게 생각합니다.)
[작품명 : 자연의 선율] /한정광 (위)
아름다운 수변의 풍경과 온화한 문화적 환경을 지닌 목포의 상징성,
즉 자연과 바다로부터 연상되는 이미지(수평선, 낙조, 등대)의
조합을 중심으로 생동감 있는 곡선과 직선 구조의 입체적 형상으로 표현하였다.
[작품명 : 거주 -바다 /이기철 (아래)
이 작품은 바다에 그 기원을 두고 자연 속에 정착하여
살아 가면서 문화라는 삶의 양식을 구축하는 과정이 인간의
거주 양식의 본질임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명 : 나 어릴적에~] /조의현
3인의 소년상을 작품에 도입하여 어린 시절 해변에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놀던 기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바다를 상징하는 파도와 함게 서로 유기적인 조화를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작품명 : 물의 여인들] /박현화, 박선제 (멀리)
물의 파장으로 부터 얻은 곡선을 고전적인 모티브의
여인의 앞, 옆, 뒤의 모습으로 비유 시킨 것으로 이들은 서로 파장을
전달하거나 소통하며 바다 혹은 강물로부터 탄생하는 생명의 에너지를
형상화하고 있다.
[작품명 : 검 -압해도] /정재철 (가까이)
선과 볼륨으로 고조화된 현태는 개방적이고 유동적인 바다의 속성을
은유적으로 드러내 섬의 존재감을 상징적으로 형상화하여 시간과
공간이 만들어 낸 자연의 조화로움을 드러내려 하였으며
압해도의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작품명 : 넘실거리는 파도와 태양] /David Evison (좌측)
파도와 태양을 주제로 하고 있다.
넘실거리는 바다의 파도와 하늘에 떠있는 태양이 달리고 있는 순간의
움직임을 현대조각으로 표현하고 있다.
[작품명 : 다도해의 바람] /김인경 (우측)
작품의 형태는 태고적 이래로 이 지역을 지난 숱한 역사의 바람을
공간 환기적인 형태로 구현하였으며 반전하여 조화하는
조조는 의지와 희망을 조형적으로 펴현하고 있다.
[작품명 : 바다 -파도] /백승업
파도가 일렁이는 바다, 물에 반사되어 반짝이는 햇빛,
그리고 파도 타기하는 사람 등 금방이라도 바다 풍경이 떠오르도록
형상화 하였다.

[작품명 : 바다 -파도] /백승업 ;ㅣ
위 작품을 정면에서 조금 비켜 우측과 좌측에서 찍어 보았습니다.


[작품명 : 서로 바라보기] /Kevin van Braak (좌측)
내 얼굴을 바라보며 확인하고 있다. 이는 진정 '나'임을 묻는다.
[작품명 : 다도해의 바람] /김인경 (우측) -앞에서 설명.
작품명 : 물의 여인들] /박현화, 박선제 (멀리) -앞에서 설명.

[산책로(관람로) 중간의 약수]
비슷하게 생긴 약수터가 좌측과 우측에 마련되어
있어 갈증을 달래줍니다

[작품명 : 나 어릴적에~] /조의현(멀리) -앞에서 설명.
[작품명 : 검 -압해도] /정재철 (가까이) -앞에서 설명.

[작품명 : 봄의 정령] /박일순
나무의 그루터기에서 다시 피어나는 이 꽃봉오리 형상은
오래전부터 이곳에 있었던 나무의 존재를, 즉 자연의 불변하는 본성,
순환의 세계를 은유한다.

[작품명 : 시간의 춤] /최인수
유기적 형태로 우아하면서도 힘찬 기상, 속도감과 빛남
그리고 세상의 모든 소리가 시각화되어 어떤 염원을 실어 나른다.


[작품명 : 시간의 춤] /최인수 (좌측) -앞에서 설명.
[작품명 : 고향바다] /김광진 (우측)
고하도 용머리., 무인도 등을 품고 있는 고향바다,
다도해를 바라보는 마음이 그와 하나됨의 경계를 표현하는 작품이다.

[작품명 : 사방으로 통하는 빛] /Zulmiro de Carvalro (좌측)
정육면체 덩어리 속에 사방으로 통하는 깊은 통로를 이루고
빛이 그 통로를 통해 서로 교차하며 통한다.
이는 세상에 빛이 사방에 비추며 세상의 어두움을 밝히고자 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작품명 : 인간 + 하늘 + 바다 + 산] /엄태정 (중앙)
조각에 나타나 있는 네가지의 요소는 주제인
인간, 하늘, 바다, 산 등을 표현하고 있으며,
산과 조각과의 관계를 통해서 친근하고 즐거운 장소를 이루고자 한다.

[작품명 : 대화] /홍순모
인체를 단순화, 투조화하여 인간의 실존성을 표현했고,
인체를 마주 보게 하여 대화의 의미를 부여했다.
그리고 공간 안으로 풍경이 보이게 하여 시각적 쾌적함을 더하였다.

[작품명 : 무제] /최기석
지구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빛, 공기, 물의 흐름을
구의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미니얼리즘의 차거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조를 통한 제작방식을 채택 하였다.


[작품명 : 사이(間) -2007] /이상갑 (좌측)
시공(時空)의 열림과 닫힘의 구조 속에 접화군생(接化群生)하는
코스모스(COSMOS)적 질서와 기운생동(氣韻生動)하는 카오스(CAOSE)적
이미지가 투사(投射)된 작품이다.
[작품명 : 동산] /김희양 (우측)
삼학도의 유래를 형상화 한 작품으로서 오른쪽 세개의 원은
삼각도를 상징하며, 멈추어 있지 않은 목포의 삼학도,
즉 미래의 삼학도를 상징하며 무한한 발전과 번영을 상징한 작품이다.


[작품명 : 희망을 찾아서] /정회만 (좌측)
희망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두 기둥은 마음의 문을 의미하고,
배 모양은 미지로 떠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배 위에 놓여 진 원기둥은 마음의 지표를 나타내고 있다.
[작품명 : 오후] /이소영 (우측)
나무와 토끼, 바람은 자연물을, 건축적 구조와 조형물은 인공물을 상징하며,
이들이 어우러진 이상적인 오후의 편안한 한 때를 표현하였다.

[작품명 : 풍요] /김수현
모든 곡식이 익은 가을밤에 둥근 보름달을 배경삼아
소년소녀들이 피리를 불며 즐기는 모습으로 우리 가정마다
풍요로운 삶을 표현한 작품이다.

[작품명 : 행복한 숲 -우제류를 위하여] /신현중
인류에게 헌신한 짝수 발굽을 가진 우제류라는 동물을 형상화하여
자연 친화적이며 간접적으로 자연에 대한 동경과 경험을 유발하고자 하였다.

[작품명 : 다도해의 꿈] /김대길
해안선을 따라 평화롭게 노니는 갈매기들의 날개짓 형태를
대도해의 아기자기한 형상으로 연출하였다.

[작품명 : 해변의 여인 -II] /김왕현
파도 소리 들리는 한적한 바닷가에서 상념에 젖어있는
여인의 모습을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작품명 : 희망을 찾아서] /정회만 -앞에서 설명

[작품명 : 빛 (光)] /김경화
서남해안 시대의 중심축인 항구도시 목포를 중심으로
반전하는 이미지를 등대의 형상을 빌려 연상케하고
조각공원에 어울리는 시각적, 정서적 조형성을 갖도록 하였다.


[작품명 : 샘 ] /김영중
아름다운 여인이 물동이로 물을 쏟아 붓는 모습을 표현한 작품이다.
(분수와 어우러진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작품명 : 탄생] /최기원
새의 형상 및 생명과 2세들을 의미하는 일을
상징적 표현기법으로 하여, 생명의 소중함과 인간애적 사랑을 주제로
무한하게 뻗어 발전하는 창조의 손을 변화시켜 표현한 작품이다.

[작품명 : 바다와 나] /이수홍
해와 달, 일렁이는 바다물결, 바다와 인강을 이어주는 항구와 배들...
바다의 건강한 생명을 동경의 대상으로 인간과의 조화를 꿈꾼다.

[작품명 : 사랑] /민복진
작품 "사랑"은 어머니가 아이를 그윽히 바라보며
따스하게 감싸 안고 있는 모습과 표정에서 피어나는
정과 사랑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2016-08-29 작성자 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