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 한지공예 작품 전문
“전통 한지의 고장 명성 되찾고 싶어”
“고향에 뿌리내려 영암의 한지문화를 활성화 시키겠습니다”
김미희 한지공방 대표 김미희(44)씨는 그동안 영암에서 한지공예 강사로 활동하며 ‘한지의 본향’이라는 큰 자부심을 지니고 있다.
옛날 월출산은 닥나무가 많아 전통 한지문화의 근간을 이뤘었다는 것. “왕인의 고향이라는 것과 더불어 영암은 한지의 고향이라는 자부심을 갖습니다”
15년전 한지공예와 인연 맺었고 한 때 객지생활 후 고향에 정착, 한지공예와 지역문화 발전에 종사하겠다는 사명감으로 체험프로그램 운영, 강사로 활동했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관저 인테리어 일부와 노무현 전 대통령 집무실 인테리어 일부 등을 한지로 꾸미는데 참여한 경력도 있다.
![]() |
||
그동안 문화교실 운영, 소외계층 수업 참여와 봉사활동을 많이 해 지역민들 중 제자들이 많아 보람을 느낀다.
김씨는 폐교를 예술인 촌으로 가꾸는 것에 대해 “천연염색 등 한 곳에 모여 전통맥락을 같이 하니까 효율성과 시너지 효과도 높다”며 “주민들과 관광객들에게 풍부한 볼거리, 즐길거리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고향 영암이 한지의 고장으로 다시 명성을 날릴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고향에 뿌리내려 영암의 한지문화를 활성화 시키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학교를 예술인들이 모여 가꾸는 귀농·귀촌 체험 실습장으로 가꾸고, 지역공동의 자산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문학 등 인문사회 분야와 음악까지 혼합해 지역민들과 화합할 수 있는 축제도 계획하고 있다. 지역민들이 많이 참여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 지역민들이 동참하고 공감할 수 있는 장소로 만들어 가겠다는 꿈이다..
■한지공예가 김미희씨
“왕인박사가 한지인형으로 재탄생했어요”
한지공예가 김미희(43)씨에게 올해 왕인축제는 평생에 잊지 못할 특별한 행사였다. 김씨는 ‘왕인전래문물 종이 테마’라는 테마기획전 ‘한지로 여는 세상’의 책임자로서 전시 및 체험코너를 운영했다.
논어체험광장에서 한지공예 부분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 것도 그렇지만 그만큼 열과 성을 다해 준비했다. 특히 왕인의 탄생에서 일본에 건너가 아스카 문화를 꽃피우기까지 왕인의 일생을 한지인형으로 엮은 대작은 김 군수가 “축제가 끝나면 왕인 전시관으로 옮겨 영구히 전시하자”고 말할 만큼 심혈을 기울여 제작했다. 김씨는 이 작품에만 꼬박 8개월을 매달렸다고. 그 외 반상기, 화장대, 경첩 등과 각종 한지 등(燈)도 관광객들의 시선을 붙잡는데 모자람이 없었다.
종합사회복지관과 농업기술센터 등의 기관을 통해 한지 강사활동도 열심인 김씨는 “영암지역 내에서도 주부 등을 중심으로 한지공예 애호가들이 적지 않게 늘고 있어서 한지공예가로서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면서 “해가 거듭할수록 수강생의 실력도 늘고 있어 보람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영암 김미희씨 제11회 전국한지공예대전 특별상 수상
영암읍 역리 김미희씨(39·원내 사진)가 이달 초 전주종이문화축제 조직위원회에서 주최한 제11회 전국한지공예대전에서 특별상을 수상했다.
김씨는 이번 대전에서 전통부문에 ‘문자 및 단청문 교자상’<사진>을 출품해 다른 2명과 함께 특별상을 수상하게 된 것.
영암여중·고 출신인 김씨는 영암문화원 문화학교 강사, 영암여중 한지공예 평생교육 전담교사, 농업기술센터 생활개선회 강사, 영암공공도서관 평생교육 강사로 활동하는 등 전통한지공예 부문에서 뛰어난 기량을 발휘하고 있다.
전 영암군산림조합장을 지낸 김창규씨의 2남3녀중 셋째로 2003년 대한민국 공예예술대전에서 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