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회 일반포교사 자격고시 제1교시 문제
1. 사찰의 의미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
① 사찰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닦는 수행처이자 전법(傳法) 도량이다.
② 사찰은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라기보다는 개인의 해탈을 강조하는 곳이다.
③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며 어리석은 마음을 깨우고 참된 삶의 길을 배우는 곳이다.
④ 부처님께 예경과 헌공을 올리며 중생의 고난과 아픔을 씻고 행복을 성취하는 곳이다.
2. 사찰의 전각은 안에 모셔진 불상에 따라 그 이름이 다르다. 다음 중 건물과 모셔진 부처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4
① 대웅전(大雄殿)은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모신 법당으로 절의 중심이 되는 건물인데,
법력으로 세상을 밝히는 영웅을 모신 집이라는 뜻이다.
② 적멸보궁(寂滅寶宮)에는 불상을 따로 봉안하지 않고 불단만 있는데
이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탑이 있으므로 형상을 따로 모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③ 대적광전(大寂光殿)의 본존은 비로자나불로서 연화장 세계의 교주이시며,
연화장 세계는 진리의 빛이 가득한 대적정의 세계이므로 대적광전이라 부른다.
④ 원통전(圓通殿)은 극락세계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모신 법당이며, 아미타불은 수행이 한량없기에
무량수전이라고도 하고 미타전이라고도 한다.
3. 법당 안은 상단, 중단, 하단의 삼단 구조로 되어 있는데, 각 단에 모셔진 분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4
① 상단 - 위패, 중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하단 - 부처님과 보살상
② 상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중단 - 부처님과 보살상, 하단 - 위패
③ 상단 - 부처님과 보살상, 중단 -위패, 하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④ 상단 - 부처님과 보살상, 중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하단 - 위패
4. 불교의식에 쓰이는 불전사물(佛殿四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법고는 쇠가죽으로 만들며, 짐승세계의 중생들을 깨우치기 위하여 울린다.
② 운판은 대나무로 만들며, 공중에 날아다니는 중생의 영혼을 제도하기 위해서 친다.
③ 목어는 나무로 만들어, 물에 사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친다.
④ 범종은 청동으로 만들며, 천상과 지옥의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친다.
5. 인도 사회를 특징짓고 있는 계급제도인 사성계급(四姓階級) 중 제사와 같은 종교의례를 전문적으로 맡은 계급은?
① 바라문 계급 ② 크샤트리아 계급 ③ 바이샤 계급 ④ 수드라 계급
6. 부처님이 탄생할 무렵 인도의 시대적 상황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4
① 농업 생산이 늘어나고 인구가 집중되면서 곳곳에 도시가 발달하기 시작했다.
② 정치적으로 군소부족이 통합되어 강대한 국가 체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③ 경제적으로 상업과 수공업이 활발해져 자본가들도 새로운 실력자가 되었다.
④ 기존의 사회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베다를 받드는 바라문교가 출현하였다.
7. 부처님이 탄생할 당시 새롭게 등장한 사상가들인 사문(sramana, 沙門)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3
① 처음부터 출가하여 유행생활을 하였다.
② 베다(veda)라는 성전의 권위를 부청하였다.
③ 만물이 브라만 신으로부터 나왔다고 주장하였다.
④ 만물과 인간은 실재하는 요소로 구성된다고 주장하였다.
8.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생에 대한 우화나 설화를 기록한 경전은? 2
① 화엄경(華嚴經) ② 본생경(本生經) ③ 아미타경(阿彌陀經) ④ 금강경(金剛經)
9. 다음중 설명이 틀린 것은? 4
① 부처님의 아버지는 숫도다나 왕(정반왕)이다.
② 석가모니란 사까족 출신의 성인이란 뜻이다.
③ 싯닷타란 모든 것을 이룬다라는 의미이다.
④ 어린 시절 태자를 양육시킨 사람은 야쇼다라이다.
10.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모이신 마야 왕비의 태몽에 등장한 불교의 대표적인 상징 동물은? 2
① 용 ② 코끼리 ③ 사자 ④ 호랑이
11.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이라는 부처님 탄생게의 의미를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3
① 오직 나만이 존귀하기 때문에 공경하여 받들어야 한다.
② 인간 스스로의 힘으로 초월적은 신의 자리에 도달했다.
③ 불성을 지닌 모든 인간과 생명은 그 자체로 모두 존귀하다.
④ 나는 부처로서 이 세상을 다스리러 온 유일한 존재이다.
12. 2600여년 전, 히말라야 기슭의 까삘라국 사까족의 왕자로 태어난 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생지는? 1
① 룸비니 동산 ② 녹야원 ③ 꾸시나라 ④ 붓다가야
13. 불교교단에서 최초의 비구와 비구니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4
① 박가와 - 케마 왕비
② 알라라 깔라마 - 야소다라
③ 웃다카라마뿟다 - 야사의 어머니
④ 안냐따꼰단냐(아약교진여) - 마하빠자빠띠
14. 사성제(四聖諦) 실천구조는 의사가 환자의 병을 치료하는 원리에 비유할 수 있다. 그 이유가 올바르지 않는 것은? 4
① 고 - 앓고 있는 병의 증상
② 집 - 발병의 원인
③ 멸 - 병이 완치된 건강한 상태
④ 도 - 목숨이 끊어진 상태
15. 싯닷타 태자의 6년 고행 후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2
① 길고도 혹독한 고행에 대한 회의를 품게 되었다.
② 신비하고도 초인간적인 힘을 가지게 된 것에 만족하였다.
③ 고행을 통해서는 진정한 열반에 이를 수 없음을 깨달았다.
④ 깨달음에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고행을 포기하였다.
16. 네란자라 강가에서 고행자 싯닷타 태자에게 우유죽을 공양한 사람은? 3
① 빔비사라왕 ② 급고독장자
③ 수자따 여인 ④ 대장장이 쭌다
17. 싯닷타 태자가 깨달음을 이루기 직전 택한 새로운 수행법으로 옳은 것은? 4
① 중도의 수행
② 고행 위주의 수행
③ 쾌락 위주의 수행
④ 선정 위주의 수행
18. 부처님의 전도선언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① 많은 사람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 길을 떠나라.
② 혼자 가지 말고 두 사람이 같은 길을 가라.
③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은 법을 설하라.
④ 원만하고 완전하며 청정한 행동을 보여주어라.
19. 부처님 당시에 최초로 삼보에 귀의한 재가신자는? 4
① 유마거사 ② 빔비사라왕 ③ 수닷타 장자 ④ 야사의 부모
20. 마가다국의 빔비사라왕이 자신의 마을 벨루바나 동산을 기증하여 지은 인도 최초의 사찰은? 1
① 죽림정사 ② 기원정사 ③ 동원정사 ④ 소림정사
21. 부처님의 제자님인 사리뿟따와 마하목갈라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① 당시 회의론인 산자야의 제자 250명을 데리고 집단으로 개종했다.
② 부처님은 두 사람을 중생들의 부모와 같은 존재라고 칭찬하였다.
③ 두 사람 모두 부처님보다 앞서 열반하였다.
④ 후세에 부처님의 가르침과 계율을 모으는 결집을 주도하였다.
22. 부처님의 십대 제자들에 대한 특징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2
① 마하깟사빠 - 지계제일 ② 부루나 - 설법제일
③ 사리뿟다 - 신통제일 ④ 마하목갈라나 - 지혜제일
23. 다음은 <장로게경>에 나오는 게송이다. 여기서 나는 누구인가? 1
불국토가 있는 한, 대모니를 제외하고, 두타의 덕이라는 점에서 나보다 우수하고 나와 대응할 자는 없다. |
① 마하깟사빠 ② 사리뿟다
③ 마하목갈라나 ④ 라훌라
24. 아무리 극악한 죄인이라 할지라도 누구나 부처의 성품을 지니고 있는 귀한 목숨이라는 사실을 입증해 준 사례의 경전 속 인물은? 3
① 급고독장자 ② 니디 (니이다이)
③ 앙굴리마라 ④ 쭐라판타카
25. 다음 말씀은 부처님께서 언제 설하신 것인가? 4
이 세상에서 스스로를 섬(등불)으로 삼고 스스로를 의지하라. 다른 것에 의지하지 말라. 법을 섬(등불)으로 삼고 법에 의지하되 다른 것에 의지하지 말라. |
① 탄생하셨을 때 ② 성도하셨을 때
③ 처음 설법하실 때 ④ 열반에 드실 때
26.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를 여덟 장면으로 나눈 팔상성도의 내용이다.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 비람강생상 ㉡ 설산수도상 ㉢ 녹원전법상 ㉣ 유성출가상 ㉤ 수하항마상 ㉥ 사문유관상 ㉦ 도솔래의상 ㉧ 쌍림열반상 |
① ㉦-㉠-㉥-㉣-㉡-㉤-㉢-㉧
② ㉦-㉠-㉣-㉥-㉢-㉡-㉤-㉧
③ ㉠-㉦-㉥-㉣-㉤-㉡-㉢-㉧
④ ㉠-㉦-㉣-㉥-㉡-㉢-㉤-㉧
27. 부처님의 특징적인 모습을 일컫는 말로 바르게 묶어진 것은? 3
① 32상 40종호 ② 38상 40종호
③ 32상 80종호 ④ 38상 40종호
28. 도솔천에 보살로 머물고 계시면서 석가모니 다음의 미래에 오실 부처님은? 2
① 구나함모니불 ② 미륵불
③ 가섭불 ④ 비사부불
29. 다음 인물 중 부처님의 친족이며 부처님의 십대제자 중 다문제일로 열반을 직접 목도한 인물은? 1
① 아난다 ② 수보리
③ 라훌라 ④ 데와닷따
30. 부처님꼐서 열반에 드시기 전 1년 전, 라자가하에 머무는 비구들에게 승가가 파멸하지 않는 일곱가지 법을 설하셨다. 거리가 먼 것은? 4
① 자주 회의를 열며, 회의에는 많은 사람들이 참석한다.
② 부모에게 효도하고 스승과 어른을 공경하고 순종한다.
③ 앞 사람이 정한 규칙과 법률을 깨뜯리지 않고 중시한다.
④ 남을 앞세우고 자신은 뒤로 물러서며 명예와 이익을 탐한다.
31. 흔히 부처님을 '여래'라 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① 여래란 tatha+agata로 진리의 세계로부터 오신 분이라는 뜻이다.
② 여래란 tatha+agata로 진리의 세계로 가신 분이라는 뜻이다.
③ 성도 후 부처님을 지칭한 말이다.
④ 경전에서 부처님은 항상 '나(aham)'라는 용어 대신에 여래라는 단어만 사용하였다.
32. 다음은 초기경전에 나오는 부처님의 감동적인 말씀이다. 이 말씀에 대한 설명 중 적절치 않는 것은? 2
"제자들이여 그대들은 심지어 여래인 나까지도 잘 관찰하여 여래가 참으로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했는지 성취하지 못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
① 개개인의 노력과 자각이 중요하다.
② 부처님의 깨달음은 완전하지 못하다.
③ 불교는 권위주의를 거부한다.
④ 불교는 교조주의를 배척한다.
33. 다음 중 칠불통계게가 아닌 것은? 4
① 제악막작
② 자정기의
③ 시제불교
④ 무주상보시
34. 다음 이 설명하는 내용은 부처님의 생애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가?
"내 이제 감로의 문을 여나니 귀 있는 자는 들어라! 낡은 믿음을 버리고! |
① 비람강생상 ② 녹원전법상 ③ 수하항마상 ④ 유성출가상
35. 부처님의 주요 생애를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싯닷타 태자가 태어난 날은 기원전 624년, 음력 4월 8일이다.
② 싯닷타 태자가 출가한 날은 29세 되던 해, 음력 2월 8일이다.
③ 깨달음을 이루신 날은 35세 되던 해, 음력 12월 8일이다.
④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날은 80세 되던 해, 음력 7월 15일이다.
36. 불상의 착의법(着衣法) 가운데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며 법의(法衣)를 입는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편단우견 또는 우견편단
37. 다음은 부처님께서 입적하신 후 칠엽굴에서 있었던 제1결집의 광경을 설명한 것이다. 빈 칸에 들어갈 단어를 순서대로 쓰시오.
마하갓사빠가 한쪽 법상에 올라가 앉았다. "대중 여러분,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법과 율, 이 두가지 가운데 무엇을 결집하겠습니까?" ( ㉠ )은 교단의 생명입니다. 이것이 있어야 교단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먼저 결집해주십시오." - 중략 - 법상에 오른 ( ㉡ )는 마하갓사빠의 질문에 따라 이것을 암송하였다. |
㉠ ( 계율 )
㉡ ( 우바리 또는 우파리 )
38. 인도에서는 3개월에서 4개월 동안 비가 지속되는 우기에 불교도가 외출할 때 자신도 모르게
초목이나 작은 벌레를 밟아 죽여 금지된 살생을 범하게 되고 또한 행걸(行乞)에도 적합치가 않아
한곳에 정착해 생활하며 외출과 유행을 삼가고 수행에 전념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러한 제도를
일컫는 말을 쓰시오. ( 안거 )
39. 초전법륜에서 석가모니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으로 네가지 성스런 진리라 일컬어지는 가르침을 각각 쓰시오.
( 고.집.멸.도 또는 고성제 집성제 멸성제 도성제 )
40. 불교의 경전의 복잡한 내용을 심오한 가르침을 알기 쉽게 그림으로 변환시켜 사람들에게 감화를 주기 위해 그린 불화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변상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