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은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는 ‘한글날’이었죠. 한글은 누구나 쉽게 배우고 사용하라며 만들어졌지만 조선시대에는 양반들로부터 ‘상스러운 글자’라는 뜻의 ‘언문(諺文)’, 여자들이나 쓰는 글자라는 뜻으로 ‘암글’로 불리며 무시당했어요. 그런데 조선 중기 정치적으로 매우 높은 위치에 있으면서도 아름다운 한글 문학을 지은 두 인물이 있었답니다. 바로 송강 정철(1536~1593)과 고산 윤선도(1587~1671)입니다.
◇임금을 그리워하며 쓴 ‘사미인곡’
“차라리 죽어서 범나비 되오리다.
꽃나무 가지마다 간 데 족족 앉고 다니다가
향기가 묻은 날개로 임의 옷에 옮으리라”
조선 14대 왕인 선조 때인 1588년 송강 정철이 지은 ‘사미인곡(思美人曲)’이라는 한글 가사(歌辭) 중 일부예요. 반대파의 탄핵을 받아 창평으로 물러나서 지은 작품으로, 임금을 사모하는 마음을 남편과 이별한 여인의 그리움에 빗대서 표현했어요.
정철은 13대 왕인 명종 때인 1562년 과거에 급제해 관직에 올랐고 선비들이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어 맞설 때 서인의 편에 섰어요. 나중에는 서인의 우두머리가 되어 동인 세력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유배 가기를 되풀이했지요.
정철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히는 ‘사미인곡’과 ‘속미인곡(續美人曲)’을 지었던 때도 그가 예조판서와 대사헌 등 높은 벼슬을 지내다 동인의 탄핵을 받고 사직한 뒤 지방에서 지낼 때였습니다.
‘사미인곡’을 지은 이듬해인 1589년, 정철은 다시 선조 임금의 부름을 받고 조정에 나갔고 이후 선조의 묵인 아래 수많은 동인을 처형했어요. 그러다 1591년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해야 한다고 건의한 일로 선조의 노여움을 사서 또다시 관직에서 쫓겨나고 말았죠. 이후 서인 세력은 힘을 크게 잃게 되었고요.
당시 동인 세력은 정철을 어느 정도로 처벌할 것인가를 놓고 의견 다툼이 일어났는데요. 정철을 사형에 처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하는 ‘북인’, 유배를 보내는 수준으로 마무리하자는 ‘남인’으로 다시 나뉘었답니다. 결국 정철은 유배를 갔다가 임진왜란 때 다시 관직에 올랐고, 이후 동인의 요구로 사직한 뒤 고향에서 세상을 떠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