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부전 – 작자미상
◆이해와 감상
판소리 사설이 정착된 판소리계 소설로, ‘흥부전’, ‘놀부전’, ‘박타령’ 등의 제목으로 전하는 이본(異本)이 다수 있다. 악인이 복을 받은 선인을 흉내 내다가 패가망신한다는 줄거리를 가진 ‘모방담’을 근원 설화로 삼고 있다. 화폐 경제[가 활성화되던 조선 후기 사회를 매우 적극적으로 반영하면서도 제비의 보은과 초월적 존재의 힘으로 가난이 해결된다는 점에서 현실계와 초월계를 동시에 상정하는 이원론적 사고를 유지하고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판소리의 사설체를 계승한 흔적이 있으며, 슬픈 상황을 희화화하여 웃음을 유발하는 해학적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핵심정리
갈래 : 국문소설, 판소리계소설
성격 : 해학적, 풍자적, 교훈ㄴ적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 조선 후기 농촌 마을
주제 : ① 표면 : 형제간의 우애와 권선징악
② 이면 : 조선 후기 빈부 계층간의 갈등
◆<흥부전>의 근원설화
선량한 인물과 악한 인물이 서로 형제 관계로 등장하는 방이 설화, 한사람이 다른 사람을 모방하지만 결국 실패한다는 모방설화(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이는 설화 - 도깨비 설화), 동물이 사람에게 은혜를 갚는다는 보은설화(까치 설화) 등 ‘흥부전’은 많은 근원 설화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