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Yerevan 예레반
2. Ararat(아라랏트 山) / BUENOS AIRES
3. ARTASHAT / BEIRUT.vob
4. MOUSH / CYPRUS
5. FANTASTIC SHOW IN YEREVAN SQUARE*
1. Ara Gevorgyan - Yerevan / 아라 게보르기안 - 예레반
예레반(아르메니아의 수도) / 아르메니아
예레반
라잔 강 유역에 있으며, 터키와의 국경에서 23㎞ 떨어져 있다. 역사적으로 첫 기록을 남긴 것은 AD 607년이지만 BC 6000~3000년경 이곳에 정착촌이 있었고, 그뒤 BC 783년에는 예르부니 요새가 있었음이 고고학적으로 증명되었다. BC 6세기에 아르메니아 왕국에 합병되었다.
무역 중심지로서 그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는 가운데 로마(당시 요새의 잔해가 남아 있음)·파르티아·아랍·몽골·투르크·페르시아·조지아·러시아 등 여러 나라의 침입을 받고 이들에게 지배당하는 수난의 역사를 거쳤다. 1582년에는 투르크로, 1604년에는 페르시아로, 그리고 1827년에는 러시아로 넘어갔으며, 1920년 아르메니아의 수도가 되었다.
라잔 강의 깊은 해구에서 산기슭 위로 펼쳐져 있는 예레반은 천연경관이 아름다운 매력적인 도시로 북쪽은 사화산들인 아라가츠 산 및 아주다크 산으로, 남쪽은 터키와의 국경을 가로지르고 있는 아라라트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2. ARA GEVORGYAN - ARARAT(아라랏 山) - BUENOS AIRES 2011.vob
가로수 길을 따라 아르메니아의 전통적인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현대 건물들이 많은데, 이것은 다양한 색상의 지역산 돌로 건축되었다. 문화 중심지인 예레반에는 1920년에 설립된 대학교를 비롯하여 많은 고등교육기관들이 있다. 1943년에 발족한 아르메니아 과학 아카데미가 이 도시의 많은 연구기관 중 가장 대표적이다. 마테나다란 고문서국에는 887년의 〈라자로 복음서〉를 비롯한 아르메니아의 고대 필사본이 많이 소장되어 있다. 그밖에 극장과 박물관도 많이 있다.
1914년에는 인구 3만 명의 작은 도시에 불과했으나, 공업이 발달하고 라잔 강에 수력발전소들(그중 하나는 예레반에 있음)이 건설되면서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 화학공업의 발달로, 아세틸렌·플라스틱·합성고무·타이어 등이 생산되며 알루미늄 제련공업 및 자동차·터빈·전기기계·압축기·케이블·기계장비 등의 제조업이 이루어진다.
예레반(아르메니아어: Երևան / Yerevan)은 아르메니아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 인간이 살아온 도시 중 한 곳이다. 예리반(Erivan), 예레브니(Erebuni)라는 이름으로도 불렸었다. 흐라즈단강을 끼고 발달한 도시이며, 아라쿠스강의 지류가 시내를 흐른다. 예레반은 아르메니아의 행정, 문화, 산업의 중심지이다. 기계 제조나 금속업, 포도주, 브랜디 제조, 담배 제조업이 발달해 있다. 1918년 이래 아르메니아의 수도가 되었으며, 아르메니아의 역사상 열세 번째 수도이다. 2011년 인구조사 결과, 예레반은 106만여 명의 인구를 포용하며, 이는 아르메니아 공화국 인구의 35%에 해당한다.
아르메니아
소련을 구성했던 공화국 가운데 하나. 서남아시아에 있는 국가이다. 자카프카지예 지역 남쪽 부분에 위치하며 평균고도가 해발 1,800m에 이르는 산악지대이다. 역사적으로 국경선의 변화가 상당히 심했던 지역으로 고대 아르메니아가 지금의 아르메니아와 터키 북동부 지방에 걸쳐 있었던 반면, 오늘날의 아르메니아는 자카프카지예 지역의 3개 국가(조지아,·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가운데 가장 좁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농업이 주요산업이지만 공업화가 급속히 추진되고 있다. /
아르메니아는 북쪽과 동쪽으로 조지아와 아제르바이잔, 서쪽으로 터키, 남쪽으로 이란과 접해 있다. 자카프카지예 지역 남쪽 부분에 위치하며 평균고도가 해발 1,800m에 이르는 산악지대이다. 북부를 소카프카스 산맥이 가로지르고 중동부에 세반 호가 있다. 고도에 따라 심하게 변하는 건조한 대륙성기후가 나타나는 반사막지대로 향나무·알로에·찔레꽃·인동덩굴 등의 내한성 식물이 자라며 비교적 낮은 지역에는 내한성 풀로 뒤덮인 광대한 스텝 지대가 펼쳐져 있다.
따뜻한 평원과 구릉지대에서 무화과·석류·복숭아·포도 등이 재배되며 좀더 높은 곳에서는 담배·곡물류·과일류가, 해발 2,400m 이상 되는 지점에서는 곡식·감자·사료식물 등이 재배된다. 산비탈마다 가시덤불과 향나무가 울창하며 고지대 초원에서는 여름철 방목이 이루어진다. 남동부와 북동부에는 국토 면적의 거의 10%를 차지하는 산림대가 있다. 야생동물로는 살쾡이가 도처에 살고 반사막지대에는 멧돼지·재칼 및 다양한 종류의 뱀들이, 산림지대에는 시리아 곰이 서식한다. / [다음백과] 아르메니아의 자연환경
아라 게보르기안 Ara Gevorgyan
( 아르메니아어 : Արڡ ԳևָրԀ ԵԡԶ , 1960년 4월 19일 출생, 아르메니아 음악가, 작곡가 및 음악 프로듀서, 아르메니아 민요 가수 Valya Samvelyan 의 아들.
그는 예레반의 31번 학교와 A. Tigranyan 뮤지컬 학교에서 동시에 공부했고, 2년 동안 예레반 #8 미술 대학에서 공부했다. 1983년부터 1987년까지 그는 아르메니아 주립 교육 대학 의 목관악기 및 대중음악 학부에서 공부했다. 1987년부터 1989년까지 Gevorgyan은 같은 연구소에서 지휘를 가르쳤고 그 후 Armenian Television("3 Alik" TV 프로그램)에서.....(생략) /2004년에 그는 로버트 코차리안(Robert Kocharyan) 대통령 으로부터 아르메니아 공화국 명예 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3. ARA GEVORGYAN - ARTASHAT- BEIRUT.vob
4. ARA GEVORGYAN - MOUSH - CYPRUS
5. ARA GEVORGYAN - FANTASTIC SHOW IN YEREVAN SQUARE 1.vob
*공화국 광장
( 아르메니아어 : Беревес ҰրҡҺҡրҡү , Hanrapetut′yan hraparak , 현지에서는 Hraparak , "광장" 으로 알려짐)
아르메니아의 수도인 예레반의 중앙 도시 광장. 이는 타원형 원형 교차로와 음악 분수가 있는 사다리꼴 모양의 광장은 아르메니아 양식을 사용한 신고전주의 스타일의 분홍색과 노란색 응회암으로 지어진 5개의 주요 건물로 둘러싸여 있다. 이 건축 앙상블에는 총독 관저 , 역사 박물관 , 국립 미술관 , 아르메니아 메리어트 호텔과 이전에 외무부, 교통부, 통신부가 있던 건물 2개가 포함되어 있다. 이 광장은 원래 1924년 Alexander Tamanian이 설계하여 대부분의 건물 건설은 1950년대에 완료되었고 마지막 건물인 내셔널 갤러리(National Gallery)는 1977년에 완공되었다.
소련 시절에는 레닌 광장으로 불렸고, 그 광장에는 블라디미르 레닌 동상이 세워져 있었다. 소련의 퍼레이드와 축하 행사는 1988년까지 1년에 두 번(원래는 세 번) 열렸다. 아르메니아가 독립한 후 레닌 동상이 철거되고 광장의 이름이 바뀌었다. 이 광장은 아르메니아와 예레반의 '건축학적 하이라이트' 이자 도시의 '가장 뛰어난 건축 앙상블' 로 이 도시의 '가장 중요한 시민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 공화국 광장은 2018년 벨벳 혁명 기간 동안 주요 시위 장소였다 .
첫댓글 좋은 음악과 좋은 작품에 쉬어갑니다
오늘도 일찍 일어나셨구만요
가을 시골 역, 코스모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