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춘추
‘의대 공화국’ 보다는 ‘서울대 공화국’
서울대총동창신문 제548호(2023.11.15)
김창균 경제80-84 조선일보 논설주간 본지 논설위원
올해 서울대 신입생 중 휴학을 신청한 학생이 418명이라고 한다. 입학정원의 10%가 넘고, 4 년 전보다 2.5배 늘어난 수치다. 대학교 1학년 1 학기를 마치고 휴학하는 것은 대학입시 재도전을 위한 속칭 반수(半修)가 대부분이다. 다른 대학에선 예전부터 흔했지만 서울대에 합격해 놓고 더 나은 대안을 찾는다는 것은 놀라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입시 전문가들은 의대에 진학하기에 실력이 달렸던 수험생들이 서울대 다른 학과에 일단 합격해 놓은 뒤 재수에 나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국 방방곡곡 의대를 성적순으로 채운 뒤 서울대 다른 학과를 지원한다는 속설이 통계로 확인된 셈이다. 정부가 앞으로 의대 정원을 대폭 확충한다는 방침이어서 내년부터 이런 의대 재도전 반수생들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일타 수학 강사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TV 드 라마에서 입시학원이 최우수 학생들을 추려 운영한다는 ‘의대 올케어반’ 얘기를 듣게 됐다. 저 게 실제 상황일까 반신반의했는데 초등학생은 물론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한 의대 올케어반까지 생겼다는 뉴스까지 나왔다.
40여 년 전 필자가 대학에 들어갈 때에도 이과에서 의대 커트라인이 제일 높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러나 최고 수재들 중에는 자연대나 공대를 선택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 의사가 되려면 머리가 좋아야 하지만 비상한 천재를 필요로 할 정도는 아니라는 게 일반적인 인식이었다
당시는 서울대 인기학과를 성적순으로 채운 뒤 다른 대학 인기학과를 지원하는 것이 상식이었다. 고3 진학 상담 담임들은 비인기 학과로 하향지원 시켜서 라도 서울대에 한 명이라도 더 보내려 애썼다. 소질과 적성을 무시하고 서울대 간판만을 노리던 그 때 그 풍토를 한탄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불과 한 세대 만에 대입 선호기준이 왜 ‘서울대 0순위’에서 ‘의대 0순위’로 바뀌게 됐을까? 부모 세대가 50대만 돼도 대기업에서 쫓겨나는 걸 목격한 젊은 세대들이 평생 안정된 소득이 보장되는 의대 진학에 인생을 걸게 됐다는 것이다. 서울대 지상주의도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었지만, 나라의 최고 수재들이 의대로만 몰려가는 세태는 보다 심각한 폐해를 낳는다. 사회 각 분야를 선도하며 대한민국 선진화에 앞장서야 할 인재들이 모두 하얀 가운을 입고 병원 안에만 있어서야 되겠는가?
서울대 어느 과에 가서라도 최고의 재능을 발휘하면 한 해 수천 명씩 쏟아져 나오는 의사 중 한 명이 되는 것보다 더 밝고 자랑스러운 미래가 보장된다는 비전을 가질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 서울대가 더 분발해야 할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