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Experience of No-Self: A Contemplative Journey
무아의 경험 : 명상적인 여정
Bernadette Roberts
버나뎃 로버츠
written by Jerry Katz Jerry Katz 작성
INTRODUCTION: 소개:
This work on nondual realization is a detailed report on growth beyond what may be called the final duality, or what Roberts calls the first of two distinct and separate movements in Christian contemplative tradition.
비이원적 깨달음에 대한 이 작업은 최후의 이원성final duality이라 불릴 수 있는 것을 넘어선 성장에 관한 상세한 보고서이다. 여기서 최후의 이원성은 기독교 관상 전통에 있어서 두 개의 구분되는 독립된 움직임 중에 첫번째 움직임이라 버나뎃이 부르는 것이다.
The first contemplative movement is described as union of the self with God, where God is the "still-point and axis" of being. In the first movement, self is not yet lost, but functions as a higher self in its union with God. The sense of personal selfhood remains. Abiding in God remains. Being centered in God remains. The divine life remains. God and self remain.
첫번째 관상 움직임은 자아self의 신과의 합일union로 묘사된다. 여기서 신은 존재의 “정점still-point과 축axis” 이다. 첫번째 움직임에서 자아는 아직 상실되지 않았고, 신과의 합일에 있어서 상위 자아higher self로서 기능한다. 개인적 자아감selfhood의 느낌은 남아있다. 신 안에 깃들어 있음이 남아있다. 신 안에 중심을 둠이 남아 있다. 신성의 생명divine life이 남아있다. 신God과 자아self가 남아있다.
But in the second contemplative movement, self and God fall away, and "that" remains. Union with God gives way to God beyond union. The mind becomes fixed in the permanent now. The self's union with God transcends
itself.
그러나 두번째 관상 여행에서는, 자아와 신이 떨어져 나간다.
그리고 “그것that”이 남는다. 신과의 합일Union은 합일 너머의
신으로 대체된다. 마음은 영원한 지금now에 고정된다.
자아의 신과의 합일은 그 자신을 초월한다.
"Here now," Roberts says, "begins the journey beyond union, beyond self and God, a journey into the silent an still regions of the unknown."
“지금 여기 Here now,”, 버나뎃은 말한다, “합일을 넘어선 여행이 시작된다. 자아self와 신God을 넘어선 여행, 미지의 침묵silent과 고요still의 영역으로의 여행은 시작된다.”
So begins the outline of a detailed and revealing journey whose insights are fresh and capable of nudging a person toward a further understanding. It is also without reference to Eastern traditions and vocabulary, which makes it interesting and different.
이제 상세하고 공개적인 여정의 개요를 시작합니다.
그의 통찰력은 신선하고 많은 사람을 더 나은 이해로 이끌 수 있습니다.
그것은 또한 동양 전통과 어휘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흥미롭고 차이가 있습니다.
Chapter 1
제 1 장
Roberts describes a quality of silence she had known on occasions, which was so total as to evoke fear, annihilation, point of no return. Always she would return to her usual self, warding off the fear through willful thoughts of God, thus breaking the silence.
로버츠는 때때로 그녀가 알고 있던 침묵의 질(質)적 우수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두려움, 전멸, 그리고 돌이킬 수 없는 지점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아주 완전한 것이었죠.
그녀는 언제나 평범한 자아로 돌아와서 하나님의 의지적인 생각을 통해 두려움을 물리치고, 따라서 침묵을 깨곤 했습니다.
One day, however, that silence could not be broken, for the fear did not come. And so there was no reason to retur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God.
그러나 어느 날, 두려움이 없었기 때문에,
그 침묵이 깨어지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자아와 하나님의 관계로 돌아갈 이유가 없었습니다.
Roberts simply remained in that great silence.
로버츠는 단순히 그 위대한 침묵 속에 남아있었습니다.
For 8 days the silence rendered her almost unable to function.
There were moments of exhaustion and near black-out.
Every chore had to be done with great attention to every detail.
8일 동안 침묵이 그녀를 거의 기능할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지쳐서 거의 기절할 뻔했던 순간들이 있었습니다.
모든 집안일은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을 써서 해야 했습니다.
By the 9th day, Boberts was able to function as usual, but she noticed a part of her mind had closed down.
She had become emptied of the past and come to live in the present moment.
9 일째까지 로버츠는 평소와 같이 작위 할 수 있었지만
그녀는 마음의 일부가 닫힌 것을 알아차렸습니다.
그녀는 과거를 비우고 지금이 순간에 살게 되었습니다
Trying to understand that silence, Roberts first perceived it to be a kind of absorption into God. Then, after a month, she revised her peception to be one of "seeing", a kind of opening-up, not a closing down.
그 침묵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면서 로버츠는 처음에 그것이 신에 대한 일종의 흡수라고 인식했습니다. 그런 다음 한 달 후 그녀는 자신의 "관념"을 폐쇄가 아니라 일종의 개방으로 변경했습니다.
She soon discarded that perception and decided to research the works of John of the Cross. There she found nothing describing her experience.
그녀는 곧 그 인식을 버리고 십자가의 요한의 작품을 연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거기서 그녀는 자신의 경험을 설명하는 어떤 것도 찾지 못했습니다.
Coming home that day from the library, Roberts turned her gaze inward and saw there was no longer a center, no longer a self. There was emptiness. She felt great joy and lightness with this knowledge. She decided that this emptiness and joy was Christ. She could live forever with that. However, further annihilation was in the cards.
그날 도서관에서 집으로 돌아 왔을 때 로버츠는 자신의 시선을
안쪽으로 돌렸고
더 이상 중심이 없고 더 이상 자아가 없는 것을 보았습니다.
텅 비어 있음. 그녀는 이 지혜로 큰 기쁨과 가벼움을 느꼈습니다.
그녀는 이 공허함과 기쁨이 그리스도라고 판단을 했습니다.
그녀는 그것과 더불어 영원히 살 수 있었다.
그러나 적멸만이 더해갈 뿐이었습니다.
Chapter 2
제 2 장
After a while, the joy of the emptiness began to wane and Roberts sought to rejuvenate it by spending time alone, simply gazing into the emptiness, which she was still sure was God.
얼마 후 공허함의 기쁨이 사라지기 시작했고 로버츠는
혼자 시간을 보내면서 그공함을 다시 원기를 회복하려고 노력했는데, 그녀가 여전히 확신했던 공허함은 신이었다.
On one such occasion, the emptiness expanded rapidly and every sense of life became drained from her. The realization that came was: "When there is no personal self, there is also no personal God."
그런 어느 날, 공허는 급속히 팽창했고 모든 삶의 감각은 그녀에게서 멀어져 갔습니다.실현은 그 깨달음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언제나 개인의 자아도 없고, 개인의 신도 없습니다. "
This marked the end of an interior spiritual life, as well as any other kind of life. Roberts felt now that she was on an unknown path, lifeless, yet she recognized life all around her. She intensely felt the need to be in nature, as life at home was too routine and lifeless.
이것은 내면의 영적 삶과 다른 모든 삶의 끝을 의미했습니다.
로버츠는 이제 그녀가 알 수 없는 길을 가고 있다고 느꼈습니다.
생명력이 없는 삶, 하지만 그녀는 주변의 모든 삶을 인식했습니다.
그녀는 가정에서의 생활이 너무 일상적이고 활기가 없기 때문에
자연 속에 있어야 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꼈습니다.
Though she found herself in the midst of life during her time of the day she spent in nature, she still had to deal with an intense emptiness.
자연 속에서 보낸 낮의 시간 동안 그녀 자신이 인생의 한복판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그녀는 여전히 강렬한 텅 빈 공을 감당해야 했습니다.
In a matter of days another realization arrived, a new way of perceiving reality: "God of life was not IN anything, it was just the reverse: everything was IN God."
며칠 만에 또 다른 깨달음이 찾아왔다.
현실을 인식하는 새로운 방법 :
" 삶의 신은 그 어떤 것에도 속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오히려 반대였습니다.
모든 것이 신 안에 있었습니다. "
At this point, Roberts comments on the limitations of language: "One thing is for sure: as long as we are caught up in words, definitions, and all that the mind wants to cling to, we can never see how it works.
And until we can go beyond our notions regarding the true nature of life we will never realize how totally secure we really are and how all the fighting for individual survival and self-security is a waste of energy."
이 시점에서 로버츠는 언어의 한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한가지 확실한 것은 : 우리가 단어, 정의에 사로 잡히는 한
그리고 마음이 집착하고 싶어하는 모든 것에 사로잡혀 있는 한,
우리는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볼 수 없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삶의 진정한 본질에 대한 우리의 개념을 넘어서기 전까지는
우리는 우리가 얼마나 완전히 안전한지, 그리고 개인의 생존과
자기안전을 위한 모든 싸움이 얼마나 에너지 낭비인지 결코 깨닫지 못할 것입니다."
Roberts further comments on insights gained. She says insights or realizations are often polluted by being brought to personal experience, conditionings, ideas, and to frames of reference.
로버츠는 자신이 얻은 통찰력에 대해 더 언급했습니다.
그녀는 통찰력 또는 깨달음은 종종 개인적인 경험, 조건, 아이디어,
그리고 참조의 틀에 이끌려 오염된다고 말합니다.
The secret to allowing an insight to become a permanent perspective, she offers, is to not touch it or thing about it, but to flow with it. Once an insight is released from a frame of reference (and, most especially, from the frame of reference that it must be released from the frame of
reference), the insight or realization is free to become permanent.
그녀가 제안하는 통찰력을 영구적인 관점으로 만드는 비결은
그것을 만지거나 그것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흐름과 함께하는 것입니다. 일단
일단 참고 프레임에서 통찰력이 방출되면(그리고, 특히 참조 프레임에서 반드시 공개되어야 한다는 참조 프레임에서 해제되어야) 통찰력 또는 깨달음은 영구적이 될 수 있습니다.
About two weeks following the insight that everything is in God, Roberts perception of the world changed. She now could see the Oneness of everthing and could no longer see the separateness or individuality of things, only "THAT into which all separateness dissolves."
모든 것이 하나님 안에 있다는 통찰이 있은 지 약 2주 후에,
로버츠는 세상에 대한 인식은 바뀌었습니다.
그녀는 이제 모든 것의 하나의 온전함을 볼 수 있었고,
그리고 사물의 더 이상 분리나 또는 개성을 볼 수 없습니다
단지 "모든 분리가 용해되는 그것" 유일함만을 볼 뿐.
Having now transcended the personal and im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Roberts could say, "In truth then, God is neither personal nor impersonal, neither within nor without, but everywhere in general and nowhere in particular. Simply put: God is all that truly exists -- all,
of course, but the self."
이제 신은 개인과 비인간적 인 관계를 초월하여
로버츠는 이렇게 말할 수 있었습니다.
"진실로 신은 개인도 아니고 비인간적이지도 않으며
내면이든 아니든 없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어느 곳에서나 있고, 또한 그 어디에도 없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 신은 참으로 존재하는 전부입니다.
물론 자기 자신입니다. "
In the next chapter Roberts faces the duality of seeing Oneness and Oneness itself. In other words, she does not stop at any insight. Her journey keeps taking her to, through, and beyond the core of any new realization.
다음 장에서 로버츠는 완전한 일체와 하나 자체를 보는 이원성에 직면합니다
다시 말해, 그녀는 통찰력에 멈추지 않습니다.
그녀의 여정은 계속해서 그녀를 새로운 깨달음의 핵심으로,
그리고 그 이상의 실현으로 데려갑니다.
Chapter 3
3 장
A mother of 4 teenagers, Roberts found management of her household no longer possible with the demise of her self and the subtle psychic energies necessary to maintain that self's integrity.
네 명의 십대들의 어머니, 로버츠는 그녀의 가족 관리가 더 이상
불가능함을 깨달았습니다.
그녀 자아의 죽음과 자신의 완전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인 미묘한 심령으로 인해.
She found she required large blocks of silent time alone.
So Roberts took to spending 5 months alone in the High Sierras. Speaking about this time in her life, she said, "Until I went to the mountains I had never truly lived." And, "...it is life completely devoid of a single irrelevancy."
그녀는 혼자서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리하여 로버츠는 High Sierras시에라에서 5 개월을 혼자 보내야 했습니다.
그녀는 인생에서 이 시기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내가 산에 가기 전 까지는 진정으로 살아 본 적이 없었다.
"그리고"... 단 하나가 완전히 결여된 무관한 삶입니다. "
Roberts' hope during this time of solitude wa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it that sees this Oneness everywhere?"
이 고독의 시간 동안 로버츠의 바램은 다음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였습니다.
"어느 곳에서나 이 하나를 보는 것이 무엇일까?"
She discusses, again, how everything she gazes upon or attends to, is perceived as Oneness or God, recedes, blends, and disappears into that Oneness, even while retaining its individuality.
그녀는 다시 그녀가 어떻게 자신의 개성을 유지하면서도,
응시하거나 수용하는 모든 것이 하나 또는 신으로 인식되고,
물러 가고, 혼합되고, 사라지는지에 대해 논의합니다.
Roberts reveals that while she could focus upon objects around her and perceive this Oneness, she could never focus upon herself. She herself had no existence. There was only this quality of seeing.
로버츠는 자신과 주변 대상 물체에 집중할 수 있지만
이 하나를 인식하면 그녀는 결코 자신에게 집중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녀 자신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이 보는 성품만이 있었습니다.
Still, Roberts recognized a duality between the seeing and the Oneness. Additionally, as mentioned, there was the question of who is it that sees this Oneness. On top of this arose the question, Who is aware of the eye upon Oneness? Roberts knew the Oneness, but neither the eye nor the awareness of the eye. She did not know the no-self.
여전히 로버츠는 보고 있는 것과 하나됨 사이의 이원성을 인식했습니다.
또한 언급했듯이 이 하나됨을 보는 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질문이 있었습니다.
게다가 하나에 대한 안목을 누가 알고 있느냐는? 의문이 일어났습니다.
로버츠는 하나를 알았지만 눈도 아니고
눈의 인식 또한 아님을 알았습니다.
그녀는 자기 자신이 무아임을 몰랐습니다.
Regarding such questions, and regarding experience itself, Roberts learned during this time in the mountains, that time alone -- absent of questioning and valuing and thinking -- resolved all questions and reveals the truth behind all experiences, for what is true neither comes nor goes, but remains.
그러한 질문과 관련하여 경험 자체에 대해 로버츠는
이 시간 동안 산에서 배웠습니다.
모든 의문들을 해결하고, 가치를 평가하고, 생각하지 않고, 모든 경험의 숨겨진 진실을 밝혀냈습니다. 진실은 오지도 않으며 가지도 않고, 남아있습니다.
Roberts cites an experience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having no self and paying no attention to even the most stunning events.
로버츠는 자기 자신이란 없으며 심지어 가장 놀라운 사건에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경험을 인용합니다.
During a moment of rest, Roberts was beholding a most scenic view of a valley and the surrounding hills. Now she noticed "a peculiar gathering of intensity in the air somewhere over the valley."
잠시 휴식을 취하는 동안, 로버츠는 계곡과 주변 언덕의 가장 아름다운 경치를 보곤 했습니다. 이제 그녀는 " 계곡 어딘가에서 기이한 공기 강도의 특별한 집합체"를 알아채었습니다.
She describes it as electrical in intensity and exerting a magnetic pull. (The magnetic pull of Grace that Harsha recently spoke of?) This was at first seen to be the form of the familiar Oneness, except that it grew a thousand fold in intensity and was seen to be formless.
그녀는 그것을 전기 강도로 설명하고 자력을 발휘합니다.
(Harsha하샤가 최근에 말한 Grace의 자기 끌어 당김?)
처음에는 친숙한 하나임의 형태로 보였습니다.
다만 그것이 천 배의 강도로 자랐으며 형태가 없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As it expanded, Roberts knew that to be drawn into the intensity would mean complete disintegration of the awareness of the eye that beheld this wonder. Yet she was frozen, motionless, unable to move.
그것이 확장되면서 로버츠는 강도에 끌어 당기는 것이
이 놀라움을 간직하고 있는 보는 눈에 대한 인식의 완전한 붕괴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얼어 있었고,
움직이지 않았고, 움직일 수 없었습니다.
At the last second, without effort, under the power and wisdom of the body itself, she would turn away from the intensity and in the direction of the forest and the continuation of the chores from which she had taken a break.
마지막 순간, 힘들이지 않고, 육체 자체의 힘과 지혜로 말미암아,
그녀는 그녀가 휴식을 취했던 숲의 방향과 잡일의 연속에서 강렬함으로부터 돌아서곤 했습니다.
This experience occurred often in the mountains, and each time some intelligent bodily mechanism drove the "turning away."
이 경험은 종종 산에서 일어났고, 그때마다 어떤 지능적인
신체 메커니즘이 "외면하기"를 이끌었습니다.
Evaluating these experiences, Roberts knew she required the strength to fully enter the intensity, though she did not know what it was or how it could be gained. She was sure that whatever had brought her this far would also provide the strength to continue.
이러한 경험을 평가한 로버츠는 비록 그것이 무엇이었는지,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 알지 못했지만, 그녀가 강렬함에 완전히 진입할 수 있는 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무엇이 여기까지 오게 했든 간에 계속 할 수 있는 힘이 주어질 것이라고 확신했다.
In the next chapter, Roberts describes entry into a terrifying void, and an apparently Kundalini experience which she calls "initiation."
다음 장에서 로버츠는 무서운 공허 속으로의 들어감을 설명하고
그녀가 "입문"라고 부르는 명백한 Kundalini쿤달리니의 경험을
묘사한다.
Those who have known the ways of Kundalini, might already be able to identify the magnetic pull and the bodily intelligence as hallmarks of active Kundalini. Is she not describing the descent of Grace? Greater detail in the next chapter.
쿤달리니의 방법을 알고 있는 사람들은 이미 자기 당김과
신체 지능을 활동적인 쿤달리니의 특징으로 식별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녀는 은혜의 하강을 묘사하지 않습니까?
다음 장에서 자세히 설명합니다.
Chapter 4
제 4 장
The snows had arrived and it was time for Roberts to leave the mountain.
Stopping at a campground, she noticed a change in her awareness. For now the Oneness was gone and emptiness had taken its place.
눈이 와서 로버츠가 산을 떠날 때였다.
야영지에서 멈춰선 그녀는 의식의 변화를 알아차렸다.
지금으로서는 하나됨이 사라지고 공허함이 자리 잡고 있었다.
One morning she was walking along the beach and became aware that all of life was now nothingness, a void. She viewed this as hideous, insidious, monstrous, terrible.
어느 날 아침 그녀는 해변을 따라 걷고 있었고
이제 모든 삶이 아무것도 아닌 공허감 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녀는 이것을 흉측하고 교활하며 괴상하고, 끔찍하다고 보았습니다.
Discovering she had no way to expel this vision -- because without a self there is no longer any defense mechanism against a life devoid of God, against seeing absolute nothingness -- Roberts simply waited for a movement of fear which would then re-activate the self. For, as Roberts
discovered, fear and self were indistinguishable. The fear did not come. Roberts remained frozen.
그녀가 이 비전을 추방할 방법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 왜냐하면 자아가 없으면, 절대 무위를 보지 못하게 되는, 더 이상 신이 없는 삶에 대한 어떠한 방어 장치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 로버츠는 단지 자아를 다시 활성화시킬 두려움의 움직임을 기다렸을 뿐이다.
로버츠가 발견한 것처럼 공포와 자아는 구별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두려움은 오지 않았다.
로버츠는 여전히 얼어 있었다.
At that moment of frozenness, she took to running on the beach. Then, unaware of any exhaustion, drove downtown and walked, trying to lose herself in the activity of a university downtown community.
얼어 붙은 순간, 그녀는 해변에서 뛰어 다녔습니다.
그리고는 조금도 피로에 지칠 줄도 모르고 시내로 차를 몰고 걸었으며, 대학 시내 공동체의 활동에서 자신을 잃어버리려고 애를 썼다.
She found herself glad that the young people around her had had a self, and she believed it to be the greatest blessing.
그녀는 주변의 젊은이들이 자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기쁘게 생각했습니다.
그녀는 그것이 가장 큰 축복이라고 믿었습니다.
Roberts' next realization was that if there is no self and no God, the the only thing we can trust is money or material goods.
로버츠의 다음 깨달음은 자아가 없고 신이 없다면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유일한 것은 돈이나 물질적인 재화뿐이라는 것이었다.
Now Roberts' objective was to keep as busy as possible, and so she became very involved with her 4 children. Still, the impress of the frozen self was never far away from being known. All Roberts knew was the immovable stillness within, as all that remained of the self that was.
She saw her fate resting in this precarious balance between the stillness and the frozen nothingness.
이제 로버츠의 목표는 최대한 바쁘게 유지하는 것이 었습니다.
그녀의 4 명의 아이들과 매우 관련이 있었습니다.
아직도, 얼어 붙은 자아의 감동은 결코 알려지지 않았다.
로버츠가 알고 있는 것은 그 속에 있는 움직이지 않는 고요,
그 모든 것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뿐이었다.
그녀는 자신의 운명이 이 위태로운 균형, 고요함(정적)과 얼어붙은 존재하지 않음(무(無)) 사이에서 쉬고 있는 것을 보았다.
Roberts tried to cancel an upcoming scheduled retreat at Big Sur, but all her excuses were neutralized by one of the Brothers who so much desired her presence. This happened to be the location of Roberts earlier realization that everything is IN God.
로버츠는 예정된 Big Sur빅서에서의 휴양 계획을 취소하려고 했지만, 그녀의 모든 변명은 그녀의 존재를 그토록 원하는 형제들 중
한 명 때문에 무력화되었다.
이것은 모든 것이 신이라는 것을 로버츠가 일찍이 깨달은 경지였다.
By the third or fourth day of retreat, the frozen nothingness appeared strongly, and she decided to face it.
물러 멀어져 가던 셋째 날이나 넷째 날에는 얼어 붙은 ‘무’가 강하게 나타났고,
그녀는 강하게 맞서 직시하기로 결심했습니다.
At this point Roberts knew it only as a mental composite of such feelings as fear, teror, dread, insanity. She describes its form as unlocalized "darting tentacles of light."
이 시점에서 로버츠는 그러한 두려움, 테러, 공포, 광기 등의 감정이 정신적 합성물로만 알았습니다. 그녀는 그 형태를
지역화되지 않은 "대담한 빛의 촉수"라고 묘사한다
Facing the "tentacles", she broke out in goose bumps and shuddered and her head grew so hot it felt on fire, and all she could see were stars.
Then her feet froze, and the freezing spread upward, up her body, encompassing all but her head. She fell back, convulsing, her heart beating wildly.
"촉수" 를 마주한 그녀는 소름이 끼쳐 몸을 부르르 떨었고 머리가 너무 뜨거워져서 불이 붙은 것 같았고, 그녀가 볼 수 있는 것은 별뿐이었다.
그러자 그녀의 발은 얼어붙었고, 머리만 빼고 모든 것을 감싸고 있는 그녀의 몸 위로 얼어붙는 듯한 기운이 위로 번졌다. 그녀는 경련을 일으키며 뒤로 넘어져 심장이 마구 뛰었다.
Within there was no feeling, no fear, no movement of any kind, nothing happening. She says, "Physically, this thing was tearing me to pieces...
All I wanted to do was get it over with -- to die if necessary."
그 안에서는 아무런 느낌도, 두려움도, 어떤 종류의 움직임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그녀는 "물리적으로 이 부분이 나를 갈기갈기 찢어 버리고 있었습니다 ..."
내가 하고 싶었던 것은 그것을 극복하는 것이었습니다.
필요한 경우 죽는 것입니다. "
Without being aware of the moment of passing of the event, Roberts was now only aware of a profound stillness absent of physical sensation.
로버츠는 그 사건이 지나간 순간을 알지 못한 채
이제 육체적 감각이 없는 심오한 고요함 만을 알아차리게 되었습니다.
She came out of the experience no longer having any sense of true existence. She regarded this event as an initiation and termed it "The Great Passageway," and describes it further in the next chapter.
그녀는 그 경험에서 더 이상 실존의식이 없었다
존재. 그녀는 이 사건을 시작으로 간주하고
" Great Passageway 위대한 행로"라 말하고, 다음 장에서 자세히 설명합니다.
Now Roberts came to see the body as ethereal in nature, absent an empirical existence. "Because form itself is composed of an unknowable, untouchable substance that remains permanent throughout all change, it seemed to me it was this substance that remained in the absence of self."
이제 로버츠는 육체를 경험적인 존재가 없는 자연 그대로의 육체를 보게 되었습니다.
"형태 자체가 모든 변화 내내 영구적으로 남아 있는 알 수 없고
만질 수 없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가 보기에 그것은
자아의 부재 속에 남아 있는 이 물질인 것 같았다."
In the next chapter, Roberts journeys on, hearing an insistent inner voice telling her "Keep going! Move straight ahead! Don't stop for anything!"
다음 장에서 로버츠는 일관된 내면을 듣고 여행을 떠난다
"계속해라! 곧장 직진하라! 어떤 일이 있어도 멈추지 말라!"
Chapter 5
5 장
Roberts summarizes her journey so far, as consisting of 2 major changes.
First, the sense of an interior life, and all individuality, had fallen away, and there was only a turning outward and the seeing of Oneness, a seeing that lasted almost a year.
로버츠는 지금까지 그녀의 여정을 두 가지 큰 변화로 구성한 것으로 요약합니다.
첫째, 내부 생활의 감각과 모든 개성이 멀리 떨어져 나갔습니다.
그리고 외부로 돌아서는 것과 오직 하나만 보는 것,
그것은 거의 1 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Second, the doing away of the Oneness,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Chapter and termed "The Great Passageway." It is a state of total unknowing, an emptiness that no longer gave way to Oneness.
둘째, 이전에 설명한 것처럼 하나를 멀리하는 것 "큰 통로"라고 불렀습니다.
그것은 하나에게 더 이상 양보하지 않는 공허함, 전혀 알 수 없는 상태다.
Accompanying this second major change was the sense that her
이 두 번째 큰 변화를 이룬 것은 그녀가 느끼는 감정의 변화였다.
"brain was on fire or that some terrible pressure behind the eyes was forcing me to go blind. This relentless pressure in my head was like a terrible taskmaster constantly commanding me to 'See!..."
"뇌는 상기되었으며 눈 뒤에 어떤 끔찍한 압력이 있었어요
나의 눈을 멀게 하려는 듯 강압하고 있었어요.
내 머리 속의 이 끊임없는 압력은 마치 끊임없이 나에게 '보아라!'라고 명령하는 무시무시한 작업 감독관 같았어요'
Also by way of summary, Robert says
또한 요약하자면, 로버트는 말합니다.
"I has no idea where I was or where I was going. If the first part of the journey was, in fact, the movement of self to no-self, this second half was the movement of no-self to nowhere..."
"내가 어디에 있는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전혀 모른다.
우선은 그 여정은 사실, 자아를 무아로 이동시키는 것이었습니다.
후반은 아무데도 없는 무아의 움직임이었다 ... "
Roberts knew the danger of her condition and the potential slip into insanity and that no-self -- the unchanging stillness within -- was the source of survival. Along with this knowledge, she trusted the "taskmaster" to guide and complete the journey, with its insistent voice: "Keep going! Move straight ahead! Don't stop for anything!"
로버츠는 자신의 상태의 위험과 잠재적 정신 이상에 빠져들 가능성을 알고 있었고,
무아 - 내면의 변하지 않는 고요함, -가 생존의 근원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로버츠는 이 지혜와 더불어, 그녀는 " 마스터" 의 음성: "계속하십시오! 바로 앞으로 이동하십시오! 아무것도 멈추지 마십시오!" 을 믿고 따르며 여정을 완료했다.
Perceiving danger in inactivity or non-doing, Roberts discovered and learned about the activity of the unknowing mind, the unthinking mind, in which there are no goals grasped, no satisfactions achieved, no compensation earned.
효용이 없거나 행위 없음이 위험하다는 느낀 로버츠는
알 수 없는 마음의 활동, 자신도 모르는 마음
즉 목표가 파악되지 않고 성취되지 않고 만족도 보상받은 것이 없는 생각 없는 마음의 활동을 발견하고 알게 되었다.
This non-compensatory period lasted 4 months, and was the worst part of "The Great Passageway." Roberts describes it as worse than a movement of purification and resolve, otherwise known as a Dark Night. "Rather," she says, "it is a radical state wherein the mind cannot dwell on anything
known or unknown."
이 보상 없는 기간은 4개월로 '위대한 행로'에서 가장 나쁜 부분이었다. 로버츠는 그것을 정화 운동이나 결심의 움직임보다 더 나쁘다고 묘사한다.
그렇지 않으면 암흑의 밤으로 알려져 있다.
"오히려" 그녀는 "그것은 알고 있거나 알려지지 않은 어떤 것에
대해서도 마음이 머물 수 없는 과격한 상태"라고 말한다.
The saving grace of all this radical perception, in which all that was attended to bore no relativity, but became known as 'all that is' (much, perhaps, as an infant would perceive the world) was the conditional mind itself.
상대성이 없는 이 모든 급진적 인식의 구원의 은총은 '모든 것'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유아로서도 세상을 지각 할 것이기 때문에) 조건부 마음
그 자체로 알려지게 된 것이다.
Roberts came to understand its importance, its integrity and purity in the midst of the spiritual journey. The conditioned mind was the key to her sanity.
로버츠는 영적인 여정 속에서 그것의 중요성, 그것의 진실성,
그리고 순수성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그 조절 된 마음은 그녀의 온전한 분별의 비결이었다..
Even this gave way to another understanding: that there was nobody left to lose sanity. "There are no options and no outs, no death and no insanity; it's there and you're part of it, and that's what it is --just a Passageway."
이것조차 제정신을 잃을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선택사항도 없고 외상도 없고 죽음도 없고 정신이상도 없다.
거기 있고 당신도 거기에 속해 있는 일부이고, 그저 지나가는 통로일 뿐이다."
After 4 months, the emptiness of existence, the void, lost importance.
Time alone seemed to take care of this.
Now "doing" became important.
Roberts noticed, at times, a sadness in people's living and searching, and in their expectations that an ultimate reality can be found and that it is linked purposefully to all their activity.
4 개월 후, 텅빈 존재의 공허함은 중요성을 상실했습니다.
이 일은 시간만이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이제 "행동"이 중요해졌습니다.
로버츠는 때때로 사람들의 생활과 탐착과
궁극적 인 실제를 찾을 수 있다는 기대감과
그것은 모든 활동에 의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그들의 기대 속에서 슬픔을 알아차렸다.
She had now known her life was a wasted search, a great hoax in which nothing was learned.
그녀는 이제 자신의 삶이 헛된 탐색, 아무것도 알 수 없는 엄청난 속임수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If emptiness and nothingness is the whole truth and nothing but the truth, then man is entitled to his self and his deceptions; he must have this compensation for an ultimate reality that turns out to be sheer nothingness."
"텅비고 아무것도 없는 것이 모든 진리이며 유일한 진리일 뿐이라면, 인간은 자기 자아와 자기 기만 당함에 대한 권리가 있다.
그는 궁극적 인 실재 그야말로 순수한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판명된 것에 대한 보상이 있어야 한다”
What remained of Roberts' life now was not God, as she had trusted would be the case, but just what is, and the final acceptance of what is, and the doing of what has to be done moment to moment, and just the doing and nothing more.
로버츠의 삶에 남아 있는 것은 그녀가 믿었던 것처럼 신이 아니라 바로 그 경우(무)일 것이고, 무엇이냐에 대한 최종적인 수용이며, 매 순간 행해져야 할 일을 하는 것,
그리고 단지 더 이상의 일은 없었다.
"So this was the end of the line. I had finally come upon the great truth: that all was void, that self had merely filled the void, and that all man's words were empty labels forged by a mind that doesn't know a thing about its world and cannot tolerate a state of unknowing."
"이리하여 결말이 지어졌다. 나는 마침내 위대한 진리와 마주했다
: 모든 것이 공허하고, 자아가 공허로 채우고 있을 뿐이며,
모든 사람의 말이란 세상에 관해 아무것도 알지 못하며,
모르는 상태를 용인 할 수 없는 정신에 의해 만들어진 공허한 표식이었다.. "
With this, Roberts could live as one must live, whether or not there is any truth at all. And so Roberts proceeded to live life, to "go out and make some money," she said.
이를 통해 로버츠는 진리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살아야만 했다.
그래서 로버츠는 " 나가서 돈을 벌기 위해” 삶을 살기 시작했다고 그녀는 말했다.
Of course, this is not the end of the journey.
In the next Chapter, The Great Passageway is marked by an ending, and Roberts finds herself teetering toward Isness.
물론 이것은 여행의 끝이 아닙니다. 다음 장에서
위대한 여정은 결말로 기록하지만
로버츠는 자신이 존재를 향해 비틀거리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Chapter 6
제 6 장
One day, while in nature, a smile came upon her face, and a sudden seeing occurred: "the smile itself, that which smiled, and that at which is smiled, were One."
어느 날, 자연 속에서 그녀의 얼굴에 미소가 떠오르고, 갑자기 다음과 같은 광경을 보게 되었다. "미소 자체, 미소 짓는 것과 그 미소를 짓게 하는 것, 이는 하나님이었다. "
Roberts saw those three smiles as a Trinity without division. This "grin of recognition" was not an insight, understanding or vision, but a natural seeing: that which remains when there is no self.
Roberts는이 세 가지 미소를 분열이 없는 삼위 일체로 보았습니다.
이 '인식의 활짝 웃음'은 통찰력이나 이해력이나 비전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보는 것 : 자아가 없을 때 남는 것이다.
Life went on normally now. The Great Passageway was over. Really, it was seen tht nothing had changed. The Taskmaster was gone. In the midst of day to day affairs wasa an effortless silence.
인생은 이제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 위대한 여정이 끝났습니다.
정말 아무것도 번하지 않은 것을 보았다.
주재자가 사라졌습니다. 그 와중에
일상 업무는 힘들지 않은 침묵이었습니다.
The after about a week, the void, the effortless silence, was replaced by a presence which could not be localized, which was neither subject nor object, but which was "seeing" itself. This was something that could not be looked at, because what it is cannot be known by the mind.
약 일주일 후, 공허, 노력 없는 침묵이 대상도 목적도 아닌 ‘보는’
그 자체인 위치를 알 수 없는 존재에 의해 대체되었습니다.
이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 마음으로 알 수 없기 때문에
알 수 없는 그 무엇이었다
Now Roberts realized she had the key to seeing, which was not to look at all.
이제 로버츠는 그녀가 볼 수 있는 열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것은 전혀 볼 수 없는 것이었다.
"It seems as long as the mind is viable it needs to enter into some form of understanding, otherwise the greatest revelation, while it would not go unnoticed, could not enter into the fullness if its human manifestation."
"마음은 실행 가능한 한 어떤 형태의 이해에 들어가야 할 필요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지 않으면 가장 큰 계시는 눈에 띄지 않을 것이지만,
인간의 발현이라면 충만에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
Now Roberts saw neither emptiness nor relationship, but what Is. And what Is is everything, but not the self. This marked the end of the Great Passageway.
이제 로버츠는 공허함도 인간관계도 아닌 무엇인가를 보았습니다.
무엇인가는 모든 것이지만 자아는 아닙니다.
이로써 위대한 여정은 끝이 났다.
It was followed by months of acclimating and the discovery of "doing," which is doing that is free of effort and maintenance, free of reflection, self-energy, self-will, or deliberation. "Doing" is activity that is not self-invested.
그 후 몇 달 동안 순응하였고 "실행함(수행)"이 뒤따랐는데,
그것은 노력과 유지, 성찰, 자기 에너지, 자기 의지, 또는 숙고로부터 자유로운 것이다.
‘(수행)행위’ 그것은 자체 투자를 하지 않는 활동입니다.
Knowing, seeing and doing make-up a single act, Roberts declares.
"Doing" is without values, judgements and choices. It is a feeling of being on target, aligned with your true nature. It is not a sense of freedom, for who is there to be free? to chart a path? With "doing," what is known to do is known to do; it is there, and what is not known is not there.
로버츠는 단 하나의 행위를 알고 보고 구성하고 있다고 선언한다.
"행위"에는 가치, 판단 및 선택이 없습니다.
그것은 당신의 본성과 조화를 이루며 대상 위에 존재하는 느낌입니다.
그것은 자유감이 아닙니다, 누가 자유로워진다는 것인가요?
길을 정하는 것은 자유의식 일까요?
“행위”로 알려진 것은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것은 거기에 있고, 알려지지 않은 것은 거기에 없다.
Besides "doing," there was the second discovery of the silent mind, in which there is no experience of the mind at all, which is when there is no self or self-awareness at all.
"행하는 것"외에는 마음의 경험이 전혀 없는 침묵하는 마음의 두 번째 발견이 있었는데, 그것은 자기 인식이나 자각이 전혀 없습니다.
Roberts saw clearly how "doing", along with the absence of willing or thinking, made room for the silent mind.
로버츠는 의욕이나 사고의 부재와 함께 '행하는 것'이 어떻게 침묵하는 마음을 위한 공간을 만들어 주는가를 똑똑히 보았습니다.
Many discoveries were made, and Roberts mentions a few. Esthetic values fell away, so that music now sounded like noise, and silence was more natural to listen to.
많은 발견이 있었으며 로버츠는 몇 가지를 언급했습니다.
미적 가치가 떨어져 나갔고, 그래서 음악은 이제 소음처럼 들렸고,
그리고 침묵은 듣는 것이 더 자연스러웠다.
She also discovered the necessity of assuming some self-consciousness, in order to function in an acceptable way from day to day. For as self-consciousness falls away, awareness of the body as real, also fades. It seems barely to exist, as all things teeter toward Isness.
그녀는 또한 매일 매일 수용 가능한 방식으로 기능하기 위해 일부 자의식을 가정 할 필요성을 발견했습니다.
자아의식이 사라짐에 따라 신체에 대한 인식도 희미해지기 때문입니다.
모든 사물이 Isness(존재적 본성, 현존) 쪽으로 기울기 때문에,
그것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Roberts now compares her journey to a felled tree whose sap still runs, and only slowly ceases, until what is left is what it Is and has not a thing to do with the sap.
로버츠는 이제 자신의 여정을 수액이 여전히 흐르는 벌목 된 나무와 비교하고, 남은 것이 무엇이고 그것이 무엇이며 수액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을 때까지 천천히 중단됩니다.
The uneasy part of it is that, as the sap or life goes, it is not
renewed; there is no food or divinity to fill the void, and one must come to terms with this, says Roberts.
그것의 불안한 부분은 수액이나 삶이 진행됨에 따라,
그것은 새로워지지 않고, 공허함을 채울 음식이나 신성이 없으며, 사람은 반드시 그래야 한다는 것이다.
로버츠는 이에 대해 말합니다.
When acclimation to this occurred, Roberts realized, "that what is Is truth itself and all that Is," and that truth is known not by thought or experience, self or consciousness.
이에 대한 적응이 일어났을 때 로버츠는 "진리 그 자체와 존재하는 모든 것"이며, 진실은 갈망이나 경험, 자아나 의식에 의해 알려져 있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The end of her journey was marked by the dissolution of any difference between self and no-self, and the fading away of all the insights and knowledge and events described in this book. They had lost their relevance for this present moment.
그녀의 여행의 끝은 자아와 무아의 어떤 차이도 해체하고,
이 책에 묘사된 모든 통찰력과 지식과 사건들이 희미해져 가는 것으로 특징지어졌다.
그들은 그들의 길을 잃었다 그들은 지금 이 순간과 관련이 없었다.
In the next Chapter, Roberts talks about the very subtle nature of self, no-self and mind.
다음 장에서 로버츠는 자아, 무아, 정신의 아주 미묘한 본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The Silent Mind
조용한 마음
In this and the following sections of the book, Roberts addresses details of her journey. In this chapter she explores the further subtleties of self, no-self and mind.
로버츠는 이 책의 다음 섹션에서 다음과 같이 그녀의 여정의 세부 사항을 설명합니다.
이 장에서 그녀는 자아, 무아, 정신의 미묘함을 더 탐구합니다.
She speaks of the mind no longer seeing itself as object to itself, no longer bending on itself, once self-consciousness has broken up. Neither the mind nor anything else can be attended to in the self-conscious way, for there is no 'other'.
그녀는 더 이상 자신을 대상으로 간주하지 않는 마음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일단 자기 의식이 깨지면 더 이상 자기 자신을 자기 자신에게 객관적으로 보지 않고, 더 이상 자신 스스로를 굽히지 않습니다.
'다른 것'은 없기 때문에 마음이나 그 밖의 어떤 것도 자의식으로는 주의를 기울일 수 없습니다.
A different type of knowing remains when the relative mind ceases to exist. It is the type of knowing that is not a knowing at all, for there is only Being. How can anything be known, when it Is? How can the eye see itself? Or music hear itself? How can 'I' know 'that', when 'I' AM 'that'?
상대적인 마음이 멈추면 다른 유형의 앎이 남습니다.
그것은 전혀 알지 못하는 유형입니다, 왜냐하면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단지 존재하는 것입니다.
언제 무엇을 알 수 있습니까?
눈은 어떻게 그 자체를 볼 수 있을까요?
아니면 음악 자체가 저절로 들립니까?
‘나’는 ‘어떤 것’인 경우 '나'는 그 '어떤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Roberts states that when we can no longer attend to the subject of our awareness, we have no consciousness of there being a subject. One question that arises is whether thinking goes on without a thinker.
Roberts says that when there is no self,
no self-consciousness, the conditioned mind functions at its full potential, and there is no longer reflection, introspection or the intrusion of feelings and biases.
로버츠는 더 이상 우리가 인식의 주제에 관심을 가질 수 없을 때,
우리는 주제가 있다는 것에 대한 의식이 없다고 말합니다.
한 가지 의문점은 사고자가 없이 사고가 진행되는지 여부입니다.
로버츠는 자아가 없고 자의식이 없으면
조건화된 마음은 그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며,
감정과 편견의 반성, 성찰 또는 침입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Instead, "whatever is to be known is spontaneously there...in the now moment."
대신 "알려지는 것은 무엇이든지 자발적으로 존재한다.
지금 이순간에."
Therefore, thought goes on even when there is no self, no thinker.
그러므로 자아가 없고, 사고하는 자가 없어도 사고는 계속됩니다.
But the most noticeable effect of the no-self, of the absence of self, according to Roberts, is the 'Silent Mind'. It is a permanent, unchanging silence, not the relative, variable silence of self-consciousness.
그러나 로버츠에 따르면, 자아 부재의 가장 두드러진 효과는 '침묵한 마음'이다.
그것은 자아의식의 상대적이고 가변적인 침묵이 아니라 영원하고 변함없는 침묵이다.
She reveals that the silence of no-self is a union or gathering of several types of silence she had known in her life. She recounts those varieties of silence, beginning at age 6, and makes it clear that they were transitory experiences, each of which served to prepare her for the next quality of silence.
그녀는 무아의 침묵이 합일이거나
그녀 자신의 삶에서 알고 있었던 몇 가지 유형의 침묵의 집합이라고 밝힌다.
그녀는 6살 때부터 시작된 그러한 다양한 침묵들을 다시 설명하며, 그것들이 일시적인 경험이라는 것을 분명히 하는데, 그것은 각각 그녀에게 다음 침묵의 질을 준비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Each preparatory silence, or "foretaste of an advanced state," as Roberts calls them, appears new, wondrous, divine and glorious at first, and then, through acclimation, becomes our ordinary state, Roberts points out.
준비를 위한 각각의 침묵 또는 "고급 상태의 체험"
로버츠는 그들이 처음에는 새롭고 놀라운 신성하고 영광스러워
보인 다고 하며, 그리고 순응의 승화를 통해 우리의 평범한 상태가 된다고 로버츠는 지적한다.
And so we can never see our present state set against a former state.
The result is a humbling and even a wondering of whether any growth has occurred at all.
따라서 우리는 현재 상태가 이전 상태와 대립되는 것을 것을 결코 볼 수 없습니다.
결과는 겸손하고 심지어 진전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는지 궁금해 하는 것입니다
She says, "...our true growth in this spiritual life -- which is the work of grace -- is imperceptible to consciousness, and imperceptible on a daily basis."
그녀는 말한다. "...이 영적 삶에 있어서 우리의 진정한 성장 - 이것이 바로 그거야. 은혜의 일 - 지각할 수 없는 의식이며, 지각할 수 없는 매일 일뿐."
She sees these growths in the understanding of silence, as a stepwise entry into the state of no-self, wherein we are guided by a balance of self-preservation and self-extinction mechanisms, with the former predominant in the first half of life, and the latter in the second half.
그녀는 이러한 성장을 침묵의 이해에서 단계적 진입으로 보고 있는데, 우리 자신의 균형에 의해 인도되는 자아 없는 상태로의 진입
여기서 우리는 자기보존과 자기절제 메커니즘의 균형에 이끌려
전반기에는 우세하고, 후반기에는 절반을 지배한다.
With the extinction of self, we come upon no-self, which is beyond self, silence and every experience. Beyond no-self, Roberts speaks of the dissolution of 'that' which remains, or It, or no-self, as it consumes itself, or "draws back into Itself as if overcome by Its own intensity."
자아의 소멸과 함께 우리는 모든 경험과 침묵, 자아를 넘어서는
‘무아’에 도달한다.
‘무아’를 넘어 로버츠는 '그것'은 자아를 상실하면서 남아 있는 그대로, 즉 그 자체가 아닌 '그것'의 해체를 이야기한다.
또는 '그것'은 자신의 강렬한 의도에 의해 극복된 것처럼 스스로를 다시 끌어들입니다."
She describes, in this regard, a "fullness of act" which overcomes one, and which sees, at any moment, all of existence dissolved into what Is.
그녀는 이와 관련하여 하나의 사람임을 극복하고, 어느 순간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 무엇인가에 녹아있는 것을 보는 “충만한 행동”을 설명합니다.
Roberts says, "I do not understand this mechanism, but I do know this dissolution, this enduring intensity, is the ending and the last of all silences."
로버츠는 "이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하지만
이 지속적인 강렬함은 침묵의 끝이자 마지막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The implications of that "fullness of act" deserve a separate post, which I shall compose, for they bear on 'not this, not this' and my own confessions in The Wild Song of Standing Free.
그 " 충만한 행동"의 함축된 의미는 별개로 분리가 필요합니다.
내가 작곡할 말로 표현이 되지 않는
'이것이 아니라, 이것이 아니라'와
나 자신의 고백들인 자유로운 야생의 노래를 내가 작곡할 것이다.
In the next Chapter, Roberts elaborates on further portions of her journey. I have been reading the scholarly Lists of Donmeh and Advaitin, and find Roberts confessions so refreshing compared to the rigid and dry scholarly offerings.
다음 장에서 로버츠는 그녀 여정의 다른 부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저는 돈메와 아드바이틴(불이론자)의 학술 목록을 읽었습니다.
로버츠가 고백한 내용은 딱딱하고 건조함에 비해 참신하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Questions and Comments
질문과 의견
This Chapter takes a question/answer form toward further elaborating certain points of Roberts' journey. A few selections are summarized here.
이 장은 로버츠의 여정의 특정 지점을 더 정교한 설명을 위한 질문/답변 양식을 취한다.
여기에 몇 가지 선택이 요약되어 있습니다.
Roberts notes a change in perception of Oneness. Initially that perception saw the giving way of the sensory to Oneness, or perception of individuality shifting to perception of Oneness.
로버츠는 Oneness(완전한 일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주목합니다.
처음에 그 지각은 일체에 대한 감각의 관념으로 보았으며,
또는 개성에 대한 인식이 일체에 대한 인식으로 전환되는 것을 보았다.
At the end of the journey, the reverse takes place: the initial
perception is of Oneness, and then that of separate form. Although with time, Roberts reports, form becomes harder and harder to see.
***********************
여정이 끝나면 그 반대가 발생합니다.
초기에 지각은 일체에 대한 것이며, 그 다음에는 분리된 형태의 인식입니다.
로버츠는 시간이 흐르면서 형상이 점점 더 알아차리기 어려워진다고 보고한다.
Roberts also tells that despite the toll the journey had taken on her psyche and ability to function day-to-day, her friends noticed nothing unusual about her at all.
로버츠는 또한 그 여정이 그녀의 정신력과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쳤음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친구들은 그녀에 대해 전혀 특이한 점을 눈치채지 못했다고 말한다.
Roberts feels this is accounted for by her nature, preparation and temperament, being an extreme realist, a mother of four, and a contemplative familiar with and trusting in the ways of God.
로버츠는 이것이 그녀의 본성, 준비 및
기질, 극단의 현실 주의자, 4 명의 어머니, 그리고
하나님의 방식에 익숙하고 신뢰하는 명상으로 간주했다.
On the practical level, there was no confusion, and on the impractical level there was disorder and confusion stabilized and neutralized by the existence of the now moment, the stillness of the mind.
실제로는 혼란이 없었으며,
그리고 비현실적인 차원에서는 지금과 같은 순간, 마음의 고요함이라는 존재에 의해 안정되고 무력화되는 무질서와 혼란이 있었다.
Yet, even, while there is the now moment, it has its own time, Roberts says, and time is an important factor, as acclimation to the stages of the falling away of the self, is necessary.
***************************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록 지금이 있는 동안, 그것은 자신만의 시간을 가지고 있다.
로버츠는 시간이 중요한 요소라고 말하는데, 이는 자아에서 멀어지는 단계에 적응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라고
Next Roberts clarifies "doing." Though John of the Cross speaks of the "perfect act," which is an act of love prompted out of union with God, and which occurs as an outward flow no matter what a person is actually doing, whether sitting with a friend or doing the dishes. It is a giving
that is the yield of union.
다음 로버츠는 "행동"을 설명합니다.
십자가의 요한은 "완벽한 행동"을 말하는데, 이는 하나님과의 연합에서 비롯된 사랑의 행위입니다.
친구와 함께 앉거나 설거지를 하든지, 실제로 어떤 일을 하든지 간에, 사람이 실제로 무엇이든 관계없이 외부 흐름으로 발생합니다
그것이 합일에의 항복에 대한 선물입니다.
"Doing," however, as Roberts speaks of it, is not based on such a union, therefore there is no outward flow created. "Doing" is not such an energy phenomenon depending upon two states: the self and God. "Doing" is identical to existence; it is without will.
그러나 로버츠가 말한 것처럼 "행위"는 그러한 합일에 근거한 것이 아니며, 따라서 외부 흐름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행위'는 자아와 신이라는 두 가지 상태에 따라 신뢰할 에너지 현상이 아니다.
"행위"는 존재와 동일하며. 의지가 없는 것이다.
Roberts compares this natural "doing" of the no-self to the "doing" that occurs in the bodies cells and organs.
******************************
로버츠는 무아의 이 자연스러운 "행위"를
신체 세포와 기관에서 일어나는 "행위"에 비유한다.
Moving to another subject, she talks about Christian experience for the first time in the book. She says Christian experience, with the help of God, both inwardly as stillness, and outwardly as the Eucharist, can lead to the self's union with God.
다른 주제로 넘어 가며 그녀는 책에서 처음으로
기독교 경험을 말한다
내적으로 고요함과 외적으로 성체(미사와 성찬 예배에서 먹는
특별한 빵) 처럼 모두 하나님께서는
자아와 하느님의 연합으로 이끈다.
Roberts expressed the need to articulate and explore the journey form self to no-self. Even though such a description may not help someone in the midst of such a passage, a person will at least know that it exists and that is difficult, and requires time and acclimation.
로버츠는 자아로부터 무아에 이르는 그 여정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탐구할 필요성을 표명했다.
그런 설명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러한 행로 가운데 있는 사람은 적어도 그것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과 그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고, 시간과 적응을 필요로 할 것입니다.
She says Christ demonstrated this journey or passage from self to no-self through action, by ending his life on the cross. The road to a new life is not bliss; it is a complete and often difficult death, difficult for Christ, "the greatest of selves," and it is Christ's realistic message to those who would take the journey to no-self, Roberts says.
그녀는 그리스도가 십자가 위에서 그의 삶을 끝냄으로써,
행동을 통해 자기 자신에서 자기 자신이 없는 것으로의 이 여정이나 통로를 증명했다고 말합니다.
새로운 삶으로 가는 길은 행복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완전하고 종종 어려운 죽음입니다. 그리스도에게는 어려운
"자아 중에서 가장 위대한 자"인 그것이
무아로 여행을 떠나려는 사람들에게 보내는 그리스도의 현실적인 메시지라고 로버츠는 말합니다.
The next Chapter delves into the place of Christ in her journey.
다음 장에서는 그리스도의 여정을 자세히 살펴봅니다.
What is Christ (Part One)
그리스도 란 무엇인가 (1 부)
Roberts tells that Christ was totally effaced and at the same time revealed in a new way. The Trinity disappeared. First came the loss of self. With loss of self, Christ dissolved into the still-point, or God within, or Holy Spirit. Then there was the loss of the Holy Spirit into the Father, or the One God. Then after nine months, this Oneness of One
God became lost and a terrible void remained, beyond knowing and unknowing.
로버츠는 그리스도가 완전히 무색 해지고 동시에
새로운 방식으로 드러났다고 말합니다.
삼위 일체가 사라졌습니다.
처음에는 자아를 잃은 것입니다. 자아의 상실과 함께 그리스도는 정지 점으로, 또는 그 내면에 있는 하나님, 즉 성령으로 용해되었습니다.
그리고 성령을 아버지, 아니 하나님께 빼앗기는 일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9개월이 지나자, 하나님의 온전함이 사라지고, 알지도 못하고 앎 저편의 두려운 공허함이 남았습니다.
This void is the Passageway, a crucifixion in which Roberts heard a distant voice of Jesus asking God why he had abandoned him. Roberts says, "...here in this void of voids -- beyond self, union and a divine center -- I understood this man and knew exactly where he was at."
이 공허는 십자가에 못박힌 길입니다.
로버츠가 예수의 가까이에서 예수님이 왜 자신을 버렸냐고 묻는
소리를 들었던 곳이죠.
로버츠는 이렇게 말합니다.
"자아, 합일, 신성의 중심 너머의 이 공허함 속에서
저는 이 분을 이해하고 그가 어디에 있는지 정확히 알고 있었습니다."
Resurrection, according to Roberts, is seeing "that" which remains when there is no self. It is God's knowing, not our knowing or unknowing.
Prior to his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Christ's knowing was not totally divine, and so he referred to his Oneness with the Father, and could say, "I am God."
로버츠에 따르면 부활은 자아가 없을 때 남아 있는 "그것"을 보는 것이다.
그것은 하나님이 아시는 것이지, 우리가 알고 있거나 알지 못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못 박음과 부활에 우선하는 그리스도의 지식은 전적으로 신성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아버지와의 하나됨을
언급했으며 "나는 하나님입니다."라고 말할 수 있었다.
Christ was, therefore, human, and he required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in order to know further spiritual growth. The resurrection is not oneness of the self with Christ or God, but oneness of Christ with God. "God IS Christ and only Christ," and that is the nature of man's oneness with God.
그러므로 그리스도는 인간이었으며 십자가에 못 박히심과
더 영적인 성장을 알기 위해 부활하는 것입니다.
부활은 그리스도나 하나님과 함께하는 자아의 하나됨이 아니라
하나님과 함께하는 그리스도의 합일입니다
"하나님은 그리스도 이시며 유일한 그리스도"이시며
그것이 바로 인간이 하나님과 함께 하는 합일의 본질인 것입니다.
Roberts explains that Christ's journey reveals our own. Christ knew the first contemplative movement in the union of self with God. And Christ knew the second contemplative movement in his complete physical, psychological and ontological death.
로버츠는 그리스도의 여정이 우리 자신을 드러낸다 고 설명합니다.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자아를 합일시키는 첫 번째 관상운동(觀想運動)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그리스도는 그의 완전한 육체적, 심리적,
그리고 존재론적 죽음에서 두 번째 관상운동(觀想運動)을 알았습니다.
So, Christ, too, knew the great void between the human and the divine, which is known as the Passageway to the resurrection. The resurrection is not the final step for Christ or any of us. There is Ascension, or the final dissolution into God, wherein, Roberts says, Christ is the Eternal Form out of which all multitudes arise and into which they all
dissolve.
그래서 그리스도 역시 부활의 통로라고 알려진 인간과 신성 사이의 큰 공백을 알고 있었습니다.
부활은 그리스도나 우리 중 어느 누구에게도 마지막 단계가 아닙니다.
로버츠의 말에 따르면, Ascension승천, 즉 하나님에 대한 마지막 해체가 있습니다.
로버츠는 는 그리스도는 모든 무리가 발생되고 그것들이 모두 용해되는 영원한 형태라고 말합니다.
Roberts is convinced that few understand the meaning of Christ's death, and that failure to understand is, in her opinion, is the real tragedy of Christ's death. For to be forgiven is not sufficient; to have a liberated self, when Christ has no self, is not possible.
로버츠는 그리스도의 죽음의 의미를 이해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확신합니다.
그리고 그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그녀의 생각으로는,
그리스도의 죽음에 대한 진정한 비극입니다.
용서받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해방 된 자아를 갖는 것은, 그리스도가 자아가 없을 때에는,
불가능합니다.
Roberts says, "To be forgiven is not enough; eventually there must be and end to the very need to be forgiven."
로버츠는 이렇게 말합니다. "용서 받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결국에는 용서받아야 할 필요성으로 끝나야 합니다."
Christ demonstrates what we have to go through. He did not die for us.
He mediates the dissolution of self; he IS the Passageway and the final seeing. At the end of the journey, Roberts says, one sees that "...it is ONLY Christ who dies and rises."
그리스도께서는 우리가 겪어야 할 것을 보여 주 십니다.
그는 우리를 위해 죽지 않았습니다.
그는 자아의 해체를 중재합니다.
그는 통로이며 최종 목격자입니다.
로버츠씨는 "여행이 끝날 때쯤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됩니다."라고 말합니다.
"...죽고 일어서는 것은 오직 그리스도뿐입니다."
Where Is Christ? (Part Two)
그리스도는 어디에 있습니까? (두 번째 부분)
The following is not an outline, but an excerpt of the last two pages of this chapter.
다음은 개요가 아니라 마지막 두 페이지의 발췌 부분입니다.
"Christ is not the self, but that which remains when there is no self.
He is the form (the vessel) that is identical with the substance, and he is not multiple forms, but one Eternal form. Christ is the act, the manifestation and extension of God that is no separate from God. We cannot comprehend 'that' which acts or 'that' which smiles, but we all
know the act-- the smile that is Christ himself. Thus Christ turns out to be all that is knowable about God, because without his acts, God could not be known. Act itself is God's revelation and this revelation is not separate from God, but Is God himself. This I believe is what Christ would have us see; this is his completed message to man. But who
can understand it?
"그리스도는 자아가 아니라 자기가 없을 때 남는 자입니다.
그는 물질과 동일한 형태 (용기)이며,
여러 형태가 아니라 하나의 영원한 형태입니다.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분리되지 않은 행위이며
하나님의 표현과 확장입니다.
행동 그 자체는 신의 계시이며 이 계시는 신과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신 그 자신입니다.
우리는 행동하는 '그것'과 미소를 짓는 '그것'을 이해할 수는 없지만,
우리는 모두 그 행위를 압니다. 그것은 그리스도 그 자체입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께 대하여 알 수 있는 모든 것을 아십니다.
하나님께서 하신 일이 없으면 하나님을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내가 믿는 것은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보시게 하신 것입니다.
이것이 그리스도께서 인간에게 보내신 완전한 메시지입니다.
하지만 누가 이해할 수 있을까요?
"Complete understanding can only come at the end of the journey because full, complete understanding at the beginning would nullify any necessity of taking a journey. The is why we only came upon the full revelation of Christ at the end of the journey, and not at the beginning. What always struck me as unusual on this journey was that
Christ seemed to have followed me, and not the other way around. It was only >after< certain experiences, or after I had come to a certain point, that Christ was revealed, but not during or beforehand. By coming 'after', however, Christ verified what had been lived through and shed light on its underlying reality -- his own Truth. It seems that nothing
can be truly verified or honestly understood until it has first been lived, which is why the Christian journey is a lived reality and not merely an intellectual belief. In the end, the, Christ's mystery and revelation only unfolds as much as we ourselves unfold; and if grace precedes, revelation follows."
"완전한 이해는 여정이 끝날 때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처음부터 완전히 이해가 되면 여정을 행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이 여정에서 내가 항상 일상적이지 않은 특이한 것으로 여기는 것은 그리스도는 나를 따라 왔고, 그 반대도 아닌 것 같았습니다.
그리스도가 밝혀진 것은 특정한 경험 후에나, 또는 내가 어떤 경지에 이른 후에 였으며, 그 동안에나 사전에 어떠한 계시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그 후'에 와서, 그리스도께서는 어떤 것들을 통해 살았으며
근본적인 실재, 즉 자신의 진실에 대한 빛을 흘렸는지를 입증하셨습니다.
처음 살아보기 전까지는 진정으로 검증하거나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없는 것 같은데, 이것이 기독교의 여정이 단순히 지적인 믿음이 아니라 살아있는 실재인 이유입니다.
결국, 그리스도의 신비와 계시는 우리 자신이 전개하는 만큼만 전개됩니다. 그리고 은혜가 앞장서면 계시가 뒤 따라옵니다. "
Roberts concludes this chapter by declaring that her Christian life, her entire journey, both revealed here and in her book previous to this in which the fulfillment of the first comtemplative movement is described, has been an "on-going quest for an honest, absolutely truthful, final
identification with Christ." This journey is complete once we see. Once we see that Christ is everywhere. Relative to that is the Holy Spirit or God-imminent or the I AM, and the Father or God-Transcendent or The Absolute. There is nowhere and no thing that Christ is not.
로버츠는 이 장을 마치며, 그녀의 기독교 생활, 즉, 첫 번째 명상 활동의 성취가 묘사된 이 책의 앞부분과 이 책에서 모두 드러난, 그녀의 기독교 생활, 세속적인 여정이 "그리스도와 정직하고, 절대적으로 진실하며, 최종적인 확인에 대한 지속적인 추구"였다고 선언함으로써 마무리 짓는다.
그리스도가 어디에나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이 여정은 우리가 일단 보고 나면 완료됩니다.
그와 관련하여 성령 또는 목전의 신, I AM이며, 성부, 초월의 신, 절대자이다.
그리스도가 없는 곳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Self 자아
An Outline (Part One) 개요 (1 부)
This is a complex chapter in which layers of insight blend and (con)fuse, only to find an attempt at separation in her next book: 'What is Self?'. Of course, that separation is attained by further layers of insight, but at least that way there's bound to be something for everyone.
이것은 여러 층의 혼란과 통찰이 뒤섞여 있는 복잡한 장이다.
그녀의 다음 책 '자아란 무엇인가?'에서 분리를 시도하려는 시도를 발견했을 뿐이다.
물론, 그러한 분리는 더 많은 계층의 통찰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적어도 그렇게 하면 모든 사람에게 무언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By way of outline, I'll attempt to do some separation for the reader here, but expect to sense what I sense: that blending of layers of insight. Help from fellow Roberts watchers is openly sought! Here goes...
개요를 말씀드리면, 독자를 위해 몇 가지 분리를 시도하겠습니다.
하지만 제가 느끼는 걸 알아차리길 바랍니다
여러 층의 통찰력이 뒤섞여 있다는 걸 알 수 있죠
동료 로버츠 관찰자들의 도움이 공개적으로 요청됩니다!
자, 갑니다...
In discussing self, Roberts makes clear that her knowledge of self comes from the perspective of no-self. Traditionally, self is known by not-self, which may otherwise be known as the personal unconscious or the collective unconscious.
로버츠는 자아에 대해 토론하면서 자아에 대한 그녀의 지혜는 자아가 없다는 관점에서 나온다는 것을 분명히 합니다.
전통적으로, 자아는 자신이 아니다 라고 알려져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개인적인 무의식이나 집단적인 무의식으로 알려져 있을 수 있습니다.
She recognizes that her view of self is so different from that of the traditional view, that it may appear "incomprehensible and unacceptable."
그녀는 자기 자아에 대한 관점이 세상 사람들과 너무나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해할 수 없으며 수용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전통적인 견해입니다.
The true object of consciousness, Roberts says, is consciousness. This is the knowing-self.
로버츠는 의식의 진정한 대상은 의식이라고 말합니다.
즉 이 아는 자아입니다.
The other dimension composing the whole of consciousness is the feeling-self, in which the object of consciousness is the senses.
의식 전체를 구성하는 또 다른 차원은 의식의 대상이 감각인 느낌(감정)의 자아입니다.
Roberts compares the nature of consciousness and the nature of the sensory system. The nature of consciousness is that of the self which arises from the reflexive action of the mind, or the action of the mind attending to itself. Out of this action the self arises, or thinker, doer, feeler arises. This is the knowing-self, consciousness attending to consciousness.
로버츠는 의식의 본질과 감각 체계의 본질을 비교합니다.
의식의 본질은 자아의 본질입니다.
의식의 본질은 마음의 반사적 작용이나 자기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이는 마음의 작용에서 생기는 자아입니다.
이 행동으로 자아가 생겨나거나 사상가, 행위자, 감정이 생겨납니다.
이것은 의식에 주의를 기울이는 아는 자 그 자체입니다.
The sensory system looks not inward at itself, but outward to its environment, for which is stands ready to respond.
감각 체계는 그 자체를 안쪽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반응할 준비가 되어 있는 그것의 환경을 바깥으로 봅니다.
The problem here, Roberts declares, is that we may fail to distinguish between the self and sensory objects in the environment. This occurs because the sensory objects are not seen as they are; they are seen as filtered through the mind, and, therefore, as receivers of a stamp of subjectivity.
로버츠는 여기서 우리가 환경에 있는 자아와 감각적 물체 사이에서 벗어나지 못할 수도 있다고 말합니다.
이것은 감각적인 물체가 있는 그대로 보여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그것들은 정신을 통해 여과된 것으로 보여지고, 따라서 주관성의 인장을 받는 사람으로 보여지기 때문입니다.
This problem exists as long as the self exists, as long as the mind bends on itself or attends to itself, as long as thinker, feeler, doer, stand together as self.
이 문제는 자아가 존재하는 한 마음이 있는 한 존재합니다
스스로 굴복하거나 스스로 의지합니다.
사상가, 감정가, 행동 자, 자아와 함께 자립하십시오.
The difference between consciousness and the senses becomes clear once the self is no more, once the mind ceases to bend on itself.
의식과 감각의 차이는
일단 자아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면
일단 마음이 스스로 휘어지지 않게 되면 분명해집니다.
Such was Roberts' experience. When the self disappeared into a void;
when the mind could no longer attend to itself, or look within, the senses took over without falling into the same void as consciousness.
로버츠의 경험도 이와 같았습니다. 자아가 공허로 사라 졌을 때;
마음이 더 이상 자기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일 수도 없고,
내면을 볼 수도 없게 되었을 때, 감각은 무기력함과 같은 공허함에 빠지지 않고 점령되었습니다.
However, it was not only the self that had disappeared, but God too: the union forming the Divine Awareness aspect of consciousness had disappeared. Now it felt as though all life energy had been depleted.
그러나 사라진 것은 자아 일뿐만 아니라 신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의식의 신성한 자각을 형성하는 합일은 사라졌습니다.
이제는 모든 생명 에너지가 고갈 된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This sense of life, she says, constitutes the feeling-self, which is subtle energy located at the center of consciousness or center of being, and whose existence depends upon the knowing-self, even as a planet depends upon gravitational force for its placement.
그녀는 이 삶의 감각은 감정 그 자체를 구성한다고 그녀는 말합니다.
행성이 그 배치를 위해 중력에 의존하는 것처럼
의식의 중심이나 존재의 중심에 위치하며,
그 존재는 아는 자아에 달려 있습니다.
It is these two divisions, the knowing self and feeling self, which form the whole of consciousness.
의식 전체를 형성하는 것은 이 두 가지 분열, 즉 아는 자아와 느끼는 자아입니다.
With the disappearance of self and God, the entire affective system of feeling and emotion disappeared, for it could not be kept in place any longer.
자아와 신이 사라짐에 따라 느낌과 감정이 사라졌습니다.
더 이상 제자리에 보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This disappearance of the affective system, and the recognition that it could not be resurrected, was the basis for Roberts' feelings of terror.
Once confronted, however, the terror went away and never reappeared.
이러한 감정 체계의 소멸, 그리고 그것이 부활할 수 없다는 인식은 로버츠가 느끼는 공포의 바탕이 되었습니다.
And Roberts then discovered that the stillness of no-self was not effected or moved by any terror or element of the unknown at all. She learned, too, that the mind is ineffectual without an affective system to work upon. And she came to see how the affective system itself is built around a hard-nut nucleus known as "the indefinable, personal sense of subjective energy and life."
그리고 로버츠는 무아의 고요함이 공포나 미지의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또한 마음은 활동할 수 있는 정서 체계 없이는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그녀는 "정의 할 수 없는, 개인으로의 감성인 마음속에 존재하는 에너지와 생명 "으로 알려진 견고한 핵 주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 시스템 그 자체가 만들어지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Summarizing, Roberts says, "...self includes the entire affective emotional network of feelings from the most subtle unconscious stirrings of energy to the obvious extremes of passionate outbursts. Though separate from the cognitive system, the affective life so infiltrates the mind and all its processes that we can never separate our energies from the cognitive faculties as long as consciousness or self remains."
요약하자면, 로버츠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자체에는 전체 감정적 요소가 포함됩니다.
감정의 네트워크는 에너지의 가장 미묘한 무의식적인 휘젓는 소리부터 열정적인 분출의 명백한 극단까지입니다.
인지 체계와는 별개로, 감정적인 생명은 마음과 그 모든 과정에
침투하여 의식이나 자아가 남아 있는 한 결코 우리의 에너지를
인지 능력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In the next portion of this chapter entitled Self, Roberts continues to develop and add to these layers of psycho-spiritual insight.
이 장의 다음 부분 인 자아에서 로버츠는 계속
이러한 정신적 통찰력을 개발하고 추가합니다.
Self (Part Two) 자아 (2 부)
Based upon her personal discovery, Roberts asserts that self includes the affective system of willing, feeling, emotion, as these are expressed along a spectrum of energy ranging from the subtle and unconscious, to the obvious outbursts of passion. This system is separate from the cognitive system, but it so greatly infiltrates the mind (cognitive system) and the entire mental apparatus, that these energies of the affective system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cognitive
faculties until the no-self is experienced.
로버츠는 자신의 개인적인 발견을 바탕으로
로버츠는 자아가 의욕, 감정, 감정이라는 정서 체계를 포함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것들은 미묘하고 무의식적인 것에서부터 명백한 열정의 분출에 이르는 다양한 에너지 스펙트럼을 따라 표현되기 때문입니다.
이 체계는 인지 체계와는 별개이지만, 마음(인지 체계)과 전체 정신 장치에 너무 많이 침투하여, 이 영향 체계의 에너지는 무아를
경험하기 전까지는 인지 능력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Roberts states that the extent of infiltration by the affective system is hardly known, as we tend to believe we can be objective about it.
로버츠는 우리가 그것에 대해 객관적일 수 있다고 믿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정서 시스템에 의한 침투의 정도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She looks further into the nature of the affective system.
She says that a child feels before it thinks, and in time discovers the separation between seer and seen, and becomes self-conscious.
At this point, Roberts says, feelings become fused with knowing.
그녀는 정서 시스템의 본질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 봅니다.
아이는 생각하기도 전에 느끼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는 자와
보이는 것의 분리를 발견하고, 자의식이 된다고 그녀는 말합니다.
로버츠는 이 시점에서 감정이 아는 것과 융합된다고 말합니다.
There is more to the understanding of self, she says, than being aware of self. There must be a sense of personal feeling behind it, which says, "this is me," "I am myself." This personal energy becomes a core feeling, or that which makes us human. And it claims all psychic and physical energy for its own. But it is only self, Roberts says, and "man is more than self, more than consciousness."
그녀는 자아를 인식하는 것보다 자아를 이해 하는 데에 더 많은 것이 있다고 말합니다.
"이것이 나" "나는 나 자신이다" 라고 하는 개인적인 감정이 그 이면에 분명히 있을 것입니다.
이 개인적인 에너지는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는 핵심 감정이 됩니다.
그리고 그것은 모든 심령과 자체적인 물리적 에너지를 요구합니다.
그것은 오직 자아 일 뿐입니다,
로버츠는 "자신보다, 의식 이상의 것” 이라고 말합니다.
So when the reflexive mechanism, or self-consciousness, closes down or ceases to exist, the experience of psychic and physical energy goes as well; or at least they are not experienced as before. This results in a sense of weightlessness, of being detached from action, and this sense
continues as long as one notices or chooses to remember life prior to the disappearance of self-consciousness, or the abilities of mind to bend upon itself. In time, Roberts says, she acclimated to the lack of feeling any energy.
그래서 반사적인 메커니즘, 즉 자기 의식이 닫히거나 존재하지 않게 되면, 심령적, 육체적 에너지의 경험도 마찬가지로 갑니다;
또는 적어도 그들은 이전처럼 경험하지 못합니다.
이것은 무중력 상태를 초래하고, 행동으로부터 분리되고,
이러한 감각은 자기 의식이 사라지기 전에 삶을 기억하거나
선택하는 한 계속됩니다.
로버츠씨는 시간이 지나면서, 그녀는 어떤 에너지도 느끼지 못하는 것에 적응했다고 말합니다.
Summarizing, Roberts says, "In the history of the self, then, physical energy comes first, the reflexive mechanism comes next and regards this energy as its own being. With this recognition a division is created between physical energy and what we will now call 'self-energy', will, mental or psychic energy, which some people believe is beyond the physical realm."
요약하자면, 로버츠는 이렇게 말합니다. "자신의 역사에서, 물리적 에너지가 우선이고, 반사적인 메커니즘이 그 다음에 와서 이 에너지를 자신의 존재로 간주합니다.
이러한 인식으로 물리적 에너지와 우리가 '자기 에너지', 의지, 정신 에너지 또는 심령 에너지라고 부르는 것 사이에 분열이 생깁니다.
어떤 일부 사람들은 물리적인 영역을 벗어난다고 믿습니다.”
So now instead of only the energy of the body, there arises energy of the mind, "which resulted when the sense of personal energy infiltrated the cognitive system to energize its thoughts and acts."
그래서 이제는 신체의 에너지만이 아니라 "개인적인 에너지의 감각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인지 시스템에 침투했을 때 그 결과"라는 정신의 에너지가 생겨납니다.
Self, then, is not merely the thinking process; it is the doer, the experience of energy. Considering that self is the intimacy of connection between the reflexive mechanism (knowing-self) and the experience of energy (feeling-self), and that this intimacy is necessary for life, it is not conceivable, Roberts says, that self can bring about
its demise.
그렇다면 자아는 단순한 사고 과정이 아니라 실천가입니다.
에너지 경험입니다.
자기 자신이 반사적인 메커니즘과 에너지의 경험(느낌-자체) 사이의 연결의 친밀감이며, 이러한 친밀감이 삶에 필요함을 고려하면, 자기 자신이 그 죽음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고
로버츠는 말합니다.
"To think...self can get rid of itself is a contradiction," she says.
"...when the time is ripe," there is no need of self. Self seems to
outgrow its usefulness. This does not mark a falling back to an infantile form of life, but a leap forward, a seeing of what lies beyond the self, beyond the fulfilled human potential.
"자기 자신을 제거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모순이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 때가 무르익었을 때" 이 말에 자아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자아는 그 유용성을 능가하는 것 같습니다.
이것은 유아적인 삶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자아를 넘어서, 실현된 인간의 잠재력을 넘어서 놓여 있는 것을 보는 도약, 즉 비약적인 발전을 나타냅니다.
But because self cannot bring about its own demise, intervention by an outside agent is required. This intervention ideally occurs when one reaches the limit of human potential, for it is then when one may be
able to live without a self.
그러나 자아는 스스로의 죽음을 가져올 수 없기 때문에
외부 대리인에 의한 개입이 요구됩니다.
이 개입은 인간의 잠재력의 한계에 도달했을 때 이상적으로 일어납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사람이 자아 없이 살 수 있을 때이기 때문입니다.
Roberts concludes that self is the "way" by which one moves to a higher life. "Obviously, then," she says, "the purpose of having a self is to eventually go beyond it."
로버츠는 자아는 자신이 더 높은 삶으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결론 짓습니다. "분명히, 자아를 갖는 목적은 결국 그것을 넘어서기 위한 것입니다."라고 그녀는 말합니다.
She compares the oneness of self with God, and the Oneness that remains when there is no self. The former is an experience relative to the experiences of fragmentation or lack of wholeness. The latter Oneness is non-relative, simply indescribable. Yet Roberts admits that a whole self, a self that is one with God, is a necessary preparation for the
Oneness of no-self.
그녀는 자아와 하나님과의 일체(합일), 그리고 자아가 없을 때 남아 있는 일체를 비교합니다.
전자는 분열의 경험과 관련된 경험 혹은 완전성의 부족에 관련된 경험입니다.
후자의 일체는 비상대적이며, 간단히 말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로버츠는 하나님과 하나되는 자아 전체가
일체로서의 무아를 위한 필수적인 준비물이라는 것을 인정합니다.
Self (Part Three) 자아 (3 부)
This is dedicated to my friend David H.
이것은 내 친구 David H에 바치는 것입니다.
So the core or seed of self "is our deepest experience of life and energy." Out of this seed grows the affective system, the feeling-self, the will, emotions and feelings.
자아의 핵심 또는 씨앗은 "우리의 생명과 에너지의 가장 깊은 경험이며 이 씨앗에서 정서 체계, 감정 자체, 의지, 감정과 느낌이 자라납니다.
Consider a board balanced on a fulcrum, like a child's seesaw ride, Roberts suggests. The fulcrum is the cognitive system, the knowing-self.
The board is the affective system, the feeling self. The ends of the board represent the extremes of attraction and repulsion, while the part closest to the unmoving center represents subtle, unconscious movements.
로버츠는 아이의 시소 놀이기구처럼 중심점에 균형을 맞춘 널빤지를 생각해보라고 제안합니다.
지렛점은 인지 체계, 즉 아는 자신입니다.
보드는 정서적 시스템, 느낌 자체입니다.
보드의 끝은 끌어당김과 거부감의 극단를 나타내는 반면,
움직이지 않는 중심에 가장 가까운 부분은 미묘한 무의식적인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Optimum stability exists at the center of the two systems. The non-contemplative one gains and maintains equilibrium despite forces that exist to unbalance the whole system.
두 시스템의 중심에는 최적의 안정성이 있습니다. 그만큼
비-사색적인 사람은 전체 시스템의 균형을 풀기 위해 존재하는 힘에도 불구하고 평형을 얻고 유지합니다.
The contemplative seeks to go a step further and move from awareness of the center point of equilibrium of the affective system, to the still point or true center of being (I AM).
사색하는 사람은 한 걸음 더 나아가서, 감정적인 시스템의 평형점에 대한 인식에서 정점 또는 존재의 진정한 중심(I AM)으로 나아가려고 합니다.
Now the will is the center of the affective system, Roberts says, and the provider of energy for the affective system. Also, underlying the will is the still point or true center of being. So when the will does not move, or is free of desire, the affective system does not move, a state of desirelessness exists, and it is easier to access the still-point (I AM).
이제 의지는 감정적인 시스템의 중심이며, 감정적인 시스템의
에너지 공급자라고 로버츠는 말합니다.
또한 의지의 밑바탕은 존재의 정점 또는 진정한 중심입니다.
따라서 의지가 움직이지 않거나 욕망이 없을 때, 감정적인 시스템이 움직이지 않고, 욕망이 없는 상태가 존재하며, 진아(I AM)에
접근하기가 더 쉽습니다.
This center or will, can be known independent of the cognitive system, which also touches the center of the affective system.
이 중심이나 의지는 인지 체계와 무관하게 알 수 있는데,
그것은 또한 감정적인 시스템의 중심에 닿기도 합니다.
Once the contemplative knows the still-point (IAM) and turns attention there, the movement of the affective system comes to a stop, and there is a sense of stillness and peace.
일단 명상하는 사람이 진아(I AM)를 알고 거기에서 주의를 돌리면, 정서적인 체계의 움직임이 멈추게 되고, 고요함과 평화감이
생깁니다.
The nature of this unitive state is union of human and divine will and power, so that will is now God's will, not contrary to that. Here is where one may become further tested by the world. Now situations arise that would test movement of the will, test the integrity of the unitive state. The requirement is for attention to be unceasingly on the still-point (I AM).
이 연합 상태의 본성은 인간과 신의 의지와 힘의 결합이므로, 그 의지는 이제 신의 뜻이지 그것과 반대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전 세계에서 더 많은 테스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제 의지의 움직임을 시험하고, 통합의 완전성을 시험 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진아(I AM)에서 끊임없이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What Roberts learned is that while there was no more wavering from abidance at the still-point, no longer any tipping of the board symbolic of the affective system, there was still the movement of the ever-horizontal board up and down. This was Roberts way of saying that she was tested at her innermost core.
로버츠가 알게 된 것은 진아에서 더 이상 굽히지 않고,
더 이상 감정적인 시스템을 상징하는 보드의 기울임도 없는데도,
여전히 수평적인 보드의 움직임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로버츠가 그녀의 가장 깊은 곳에서 테스트를 받았다고 말하는 방식입니다.
And what she observed and discovered was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herself and God. What demonstrated this gap was the initial spontaneous movements in response to life events. These movements were automatic and harmless, yet mystifying to Roberts, as she was not sure of their source, whether it was herself, or God, or some subtle instinct.
그리고 그녀가 관찰하고 발견한 것은 자신과 신 사이에 틈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 차이를 보여준 것은 생활 사건에 대한 반응에 대한 초기의 자연스런 움직임이었습니다.
이 동작들은 자동적이고 무해하지만 로버츠에게는 신비스러웠습니다. 그녀 자신이든 신이든, 아니면 어떤 미묘한 본능이든 간에
그들의 근원을 확신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But these movement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herself and God. Within that gap between the center of the board or affective continuum, and the still-point (I AM), was the battleground between the forces of self-preservation and self-extinction. This battleground
appeared to be separate from consciousness and untouchable, not under one's control or will.
그러나 이러한 운동은 자신과 신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보드의 중심이나 감정적인 연속체와 진아(I AM) 사이의 그 틈새 안에는 자기 보존과 자기 소멸의 세력 사이의 싸움터가 있었습니다.
이 싸움터는 의식과 별개이며 손댈 수 없는 것처럼 보였고,
사람의 통제나 의지에 의해서가 아니었습니다.
Seeing this battle for what it was, understanding it, the battle simply ceased. Roberts found that the initial spontaneous movements also stopped, and the still-point (I AM) was then able to further draw the affective system into its silence.
이 전투가 무엇인지를 알고, 이해하면서, 전투는 중단되었습니다. 로버츠는 초기 자발적인 움직임도 멈췄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진아(I AM)는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을 그 침묵으로 더욱 끌어낼 수 있었습니다.
When the 'drawing' was complete, the continuum was no more, self was no more, and the still-point was no more. The gap between the still center of the affective continuum (self) and the still-point (God) was no more.
Therefore, no self, no God there remained. Only what Is.
'도면'이 완성되었을 때 연속체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고, 자아도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으며, 진아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고요의 중심(자아)과 진아(신) 사이의 간극은 더 이상 없었습니다.
그러므로 자아도, 신도 남아 있지 않았습니다.
단지 무엇이냐 하는 것 뿐입니다.
Self (Part Four of four) 자아 (4/4 부)
The affective system, Roberts says, is the cause of all suffering. Out of it arises all fear, anxiety, and psychological suffering.
로버츠는 감정 시스템이 모든 고통의 원인이라고 말합니다.
그것으로부터 모든 두려움, 불안, 그리고 심리적인 고통을 발생시킵니다.
It would follow, she suggests, that those who have lost the affective system, are free of psychological disorders and would have no reason to seek professional help, and that is why the psychiatric literature has no description of those who have gone beyond the self.
그녀가 제안하는 바에 따르면, 감정적인 시스템을 잃은 사람들은 심리적인 장애가 없고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이유가 없습니다.
그래서 정신 의학 문헌은 자아를 넘어선 사람들에 대한 설명이
없는 것입니다.
Among the questions that arise is the concern that the lack of an affective system might lead to lives that are cold, detached, robot-like. Roberts says that one has to live the no-self life to understand it.
지금 나오는 의문점들 가운데 하나가 감정적인 시스템의 부족이 차갑고, 분리되고, 로봇과 같은 삶을 초래할 수 있다는 '걱정'이라는 우려입니다.
로버츠는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아의 삶을 살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She says, "All that need be said is that it is a dynamic, intense state of taking care of whatever arises in the now-moment. It is a continuous waking state in which the physical organism remains sensitive, responsive, and totally unimpaired. When fully adjusted to the dimension
of no-self, nothing is found to be missing or wanting.
It is only in the encounter with other selves that a self or affective system is a reminder of what >was<."
그녀는 이렇게 말합니다. "그것은 지금의 순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처리하는 역동적이고 강렬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물리적인 유기체가 민감하고, 반응하며, 완전히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는 연속적인 깨어있는 상태입니다.
무아의 차원에 완전히 적응하면 잃거나 원하는 것이 없습니다.
자아 또는 감정적인 시스템이 무엇이었는지를 상기시키는 것은
다른 자아와의 만남에서입니다.
She says that one of the reasons people cannot imagine life without an affective system is that few grasp the whole picture of what the affective system is. It is not merely the extremes of love and hate. It is personal energy and will, and these giving rise to all desire, and these desires or expectations coloring our world, our thoughts and
perceptions, our experiences, our spiritual experiences of love, bliss, lights, visions, sounds, ecstasies, etc.
그녀는 사람들이 감정 시스템이 없는 삶을 상상할 수 없는 이유 중 하나는 감정 시스템이 무엇인지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이해하는 사람이 거의 없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그것은 단지 사랑과 미움의 극단이 아닙니다.
그것은 개인적인 에너지와 의지이며, 이러한 것들은 모든 욕망을 낳고, 이러한 욕망이나 기대는 우리의 세계, 우리의 생각과 인식, 우리의 경험, 사랑의 정신적 경험, 행복, 빛, 비전, 소리, 황홀감 등을 색칠합니다.
It is all the self, the affective system. It is who we are fooled into believing who we are.
그것은 모든 자아, 정서 시스템입니다.
그것은 우리가 속아서 우리가 누구인지 믿는 것입니다.
So when the affective system, our psychological familiarity, our spiritual feeling, our desires, our self, falls away, what is left to serve as a standard? There are no standards, no valu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o-self.
그러면 감정적인 시스템, 심리적 친근감, 정신적 느낌, 욕망, 자기자신이 떨어질 때, 표준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 남아 있을까요?
The no-self needs no values. It is already in the now moment. There are no options to consider, no standards to consult. The no-self is so empty that is is empty of love, bliss and joy, and empty of hate, sadness and evil. It is in the now moment. The practice of virtue is absent. Virtue is simply present. The bottom line is that the will, which is the core
of the affective system, disappears, and it was will that had put virtue and vice into motion in the first place.
무아에게는 아무런 가치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미 지금 이 순간입니다.
고려해야 할 옵션도, 협의해야 할 기준도 없습니다.
무아는 너무나 공허하여 사랑과 행복과 기쁨이 공허하고
증오와 슬픔과 악이 공허합니다. 지금 이 순간입니다.
덕행이 없습니다.
덕은 단순히 존재하는 것입니다.
미덕의 실천은 없습니다.
덕은 단순히 존재하는 것입니다.
요컨대, 감정 체계의 핵심인 의지는 사라지고
애초에 미덕과 악덕을 움직이게 한 의지입니다.
This was Roberts' major discovery about the self: "that its very nucleus is the will or volitional faculty." When the affective system first falls away, it is the will that abruptly goes, and later the emotions and feelings.
이것은 로버츠의 자아에 대한 주요 발견입니다:
"그 핵은 의지 또는 자발적인 능력입니다."
처음 감정체계가 사라질 때, 돌연히 가는 것은 의지이고,
나중에는 감정과 느낌입니다.
One of the difficult aspects of the journey, then, is acclimating to a lack of movement of the will, or the complete dissipation of personal energy. That is why lifelessness and lack of energy were experienced by
her along with the disappearance of the self.
그러므로 여정의 어려운 측면 중 하나는
의지의 이동 부족 또는 개인적인 에너지의 완전한 소산입니다
에너지. 그것이 바로 그녀가 자아의 소멸과 함께 생기가 없고
에너지가 부족했던 이유입니다.
In fact, much of Roberts' journey was the process of becoming accustomed to life without personal energy (or will) and without the experiences personal energy draws and gathers. And when personal energy is no more, perhaps, Roberts suggest, it is easier to see how there would be no
results of that energy: no virtues, no vices.
사실 로버츠의 여행의 대부분은 개인적인 에너지(또는 의지)가 없고 개인적인 에너지가 끌어당기고 모이는 경험 없이 삶에 익숙해지는 과정이었습니다.
그리고 아마도 로버츠가 제안하는 개인적인 에너지가 더 이상 없을 때, 어떻게 그 에너지의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지를 보는 것이 더 쉬울 것입니다. 미덕도, 악덕도 없습니다.
So there is only living in the now moment, without feelings or practice of virtue, without struggling or the measuring of action. Roberts says, "Somehow each moment contains within itself the appropriate action for each tiny event in life without the need for thought or feeling."
따라서 지금 이 순간에는 감정이나 미덕의 실천도 없이, 몸부림도, 행동의 측정도 없이 살고 있을 뿐입니다. 로버츠는 말합니다.
"어쩌면 매 순간마다 생각이나 감정이 필요 없는 삶의 작은 사건
하나하나에 대한 적절한 작용이 그 자체 안에 담겨 있습니다."
She calls the preceding description, "doing." Because of the extreme condition out of which "doing" arises,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and it raises many questions pertaining to ethics, morals, society, and so on.
그녀는 앞의 설명을 "행동"이라고 부릅니다.
이 가운데 '행동'이 발생하는 극단적인 조건 때문에,
매우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윤리, 도덕, 사회 등과 관련된 많은 질문들을 제기합니다.
>From all this, Roberts asserts, it follows that there is a better way of knowing a person than by the fruits of their actions (which sounds, and is, contrary to a Christian standard.) And that better way is by knowing God, and not by knowing the person at all.
이 모든 것들로부터, 로버츠는 기독교의 기준과는 반대로, 그들의 행동의 결과보다 사람을 아는 더 좋은 방법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더 좋은 방법은 신을 아는 것입니다. 그 사람을 전혀 아는 것이 아닙니다.
For how can we know another when there is no self, no other, as such?
And how, then, can there be a relationship? Again, this becomes very difficult to grasp as virtually everyone is dependent upon relationships, even those who have strong inner resources may not be strong enough to be independent (not absent) of relationships.
자기 자신이 없고 다른 사람이 없을 때 어떻게 다른 사람을 알 수 있습니까?
그러면 어떻게 관계가 있을 수 있습니까?
다시 말하지만, 사실상 모든 사람들이 관계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이해하기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심지어 강한 내부 자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조차도 관계에서 독립적일 만큼 충분히 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eople who are dependent upon relationships tend to view life as an "I" and an "other" affair. The true Other, and therefore the true "I", is found by turning within, not outward toward another.
관계에 의존하는 사람들은 삶을 "나"와 “별개”사건으로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진정한 다른 것, 그리고 따라서 참 "나"는 다른 것을 향해 바깥쪽으로 향하지 않고 내면으로 돌림으로써 발견됩니다.
Once wholeness is won by the turning within, then one can withstand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be truly generous, and be conscious in love, wanting only growth for the other, whatever that may mean.
일단 내면의 선회로 온전함을 얻으면,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견뎌낼 수 있고, 진정으로 관대할 수 있으며, 사랑에 의식할 수 있으며,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든 간에 다른 사람을 위한 성장만을 원할 수 있습니다.
And what is the true Other? It is the still-point at the center of our being. "The real problem in life, then, is not between people, but between the individual and his true Other," says Roberts.
그리고 진정한 다른 것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우리의 존재 중심에 있는 정지점입니다.
"그렇다면 인생의 진짜 문제는 사람들 사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과 그의 진정한 다른 사람들 사이에 있는 것입니다."라고
로버츠는 말합니다.
And so having found the Other, relationships are founded on That. We now love not the affective, emotional self of the one with whom we are in relationship, but the true Other, the still-point, God in others.
그래서 다른 사람들을 찾아서 그들에 기반한 관계들이 만들어졌습니다.
우리는 이제 우리가 사귀고 있는 사람의 정서적이고 감정적인 자아를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타인, 정적인 하나님, 타인에 있는 신을 사랑합니다.
Roberts admits that is not so straightforward a seeing. First one must face and see the individual. And, secondly, see God.
로버츠는 그것이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첫 번째는
얼굴을 보고 개인을 봅니다. 둘째, 하나님을 보십시오.
It is only after the self disappears that the self in others disappears, and that only God is seen in the other, and the individual fades into still-point awareness.
자아가 사라진 후에야 다른 사람들의 자아가 사라집니다.
다른 사람에게는 오직 신만이 보이고, 개인은 정지점에 도달하게 됩니다.
This sameness of seeing God, and the goneness of emotion is not as plain and boring as it sounds. Roberts points out that infinite varieties of shapes and forms are made out of the same clay. Even individuality exists in the absence of self. People with no self, and snowflakes, have no self.
신을 보는 이 같은 동일성, 그리고 감정의 사라짐은 들리는 것만큼 평범하고 지루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을 보는 것과 같은 것과 감정의 사라짐은 평범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지루한 소리.
로버츠는 무한히 다양한 모양과 형태가 같은 진흙으로 만들어졌다고 지적합니다.
심지어 개성조차도 자기가 없을 때 존재합니다.
자아가 없고, 눈송이도 없는 사람은, 자기 자신이 없습니다.
What is really plain and boring, Roberts says, is the self, the
emotions, self-identity, self-possession, the 'I am this', and the 'I am that'.
로버츠씨는 정말 평범하고 지루한 것은, 자기 자신, 감정, 자기 정체성, 자기 소유감, '나는 이 이것', 그리고 '나는 저것이다'라고 말합니다.
The life beyond the self is more free, open and diverse, as it is
centered in the right place: the still point, the I AM.
자아 너머의 삶은 더 자유롭고, 개방적이고, 다양합니다.
정지점, I AM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Summarizing what she learned about the self, Roberts says that a self is necessary in order to know, feel, and experience. It protects us against death. It is necessary for survival and existence.
로버츠는 자기에 대해 배운 것을 요약하면서,
자아는 알고 느끼고 경험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그것은 우리를 죽음으로부터 보호합니다.
그것은 생존과 존재를 위해 필요합니다.
Just as self is developed, a time comes when it passes and fades away.
This movement, all movement through all steps of growth, is the only thing that neither changes nor passes away.
자아가 발달하는 것처럼, 시간이 지나고 사라질 때가 옵니다.
이 움직임, 모든 성장 단계를 통한 모든 움직임은 변화도,
사라지지 않는 유일한 것입니다.
The contemplative is one who is aware of the movement, first working at going with it, later discovering he is effortlessly moving with it, finally realizing that he is the movement Itself.
명상은 그 운동에 대해 아는 사람으로서 처음에는 그 운동을 계속하다가 나중에는 그가 그것을 가지고 힘들이지 않고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마침내 그가 그 운동 그 자체라는 것을 깨닫는 것입니다.
Conclusion 결론
Roberts reveals that she had not taken her journey alone, but that her friend and neighbor Lucille, who was 85 at the time, had also undergone an experience of losing the self. Lucille understood it to be part of the aging process, a preparation for death. And the stages Lucille went
through paralleled the experiences of Roberts.
로버츠는 그녀가 혼자 여행한 것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그 당시 85세였던 친구이자 이웃인 루실도 자아를 잃은 경험이 있다는 것.
Lucille은 이것이 노화 과정의 일부이며, 죽음에 대한 보상이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리고 루실이 겪었던 단계들은 로버츠의 경험들과 유사했습니다.
The major differences were that Lucille's loss of self occurred slowly over a period of years, whereas Roberts' changes were abrupt and within a narrow time frame of two years; and that for Roberts the mystery lie in what remains when the self is gone, and for Lucille the mystery lie in how much of her self she could live without; and for Lucille, the
complete loss of self meant presence in God and the end of her life, while for Roberts loss of self meant the beginning of life.
중요한 차이점은 루실리의 자기 상실 현상이 몇 년 동안 서서히 일어났다는 것입니다. 반면 로버츠의 변화는 갑작스럽고 2년이라는 좁은 기간 내에 있었습니다. 그리고 로버츠에게는 그 자신이 사라졌을 때 남는 것에 수수께끼가 있습니다.
그리고 루실에게 수수께끼는 그녀가 얼마나 많은 자기자신을 없이 살 수 있느냐에 있습니다; 그리고 루실에게 있어서, 완전한 자기자신의 상실은 신에 존재함을 의미했고, 그녀의 삶의 종말을 의미했고, 로버츠에게 있어서 자기자신의 상실은 삶의 시작을 의미했습니다.
Roberts states the two broad views afforded by her spiritual journey.
One is that the loss of self and the realization of what remains is the second part of a journey to God; The second view is that loss of self is a natural part of the life span, as one prepares to meet what lies beyond the self.
로버츠는 그녀의 정신적 여정이 주는 두 가지 넓은 견해를 말합니다.
하나는 자아의 상실과 남아 있는 것의 실현이 신으로의 여정의 두 번째 부분이라는 것이고, 두 번째 견해는 자아의 상실은 자아를 초월하여 놓여 있는 것을 충족시키기 위한 준비와 같이, 자아의 상실은 수명의 자연스러운 부분이라는 것입니다.
Whether the self is lost through the contemplative tradition or as the result of aging, what lies beyond the self invites one not to an end of any sort, but to a new beginning.
자아가 명상 전통을 통해 사라지든 아니면 노화의 결과로 사라지든, 자아를 넘어선 것은 자아를 어떤 종류의 종말이 아닌 새로운
시작에 초대합니다.
The contemplative's role in society, she believes, is to tell us about a transition or crossing over that each one of us will make, that some may be in the midst of making.
그녀는 사회에서 명상의 역할은 우리에게
우리 각자가 할 수 있는 전환 또는 교차에 대해 말해주는 것이며
일부는 만들어가는 중일지도 모른다고 믿습니다
Roberts very briefly compares her experiences to those of the mystics.
She says St. Theresa and St. John of the Cross had glimpses of the no-self and perceived them as transitory, not a doorway to the greatest depth.
Roberts는 자신의 경험을 신비 주의자들의 경험과 매우 간단히
비교합니다.
그녀는 성 테레사와 십자가의 성 요한이 자신을 흘끗 보고 그들을 가장 깊은 곳으로 통하는 출입구가 아닌 일시적인 존재로 인식했습니다.
Only Meister Eckhart, Roberts says, spoke of the step beyond union of self and God. Eckhart, she says, picked-up where St. Thomas Aquinas left off. She says the two should be studied together in order to gain knowledge of a full contemplative system.
로버츠 마이스터 에크하트 만이 유일하게 자신과 신의 결합을 넘어서는 단계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그녀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중단한 곳에서 에크하트는 다시 시작했다고 그녀는 완전한 명상 시스템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해 두 사람이 함께 탐구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The Spanish mystics, Roberts contends, in order to uphold theological propriety, revealed only as much as Thomistic or speculative confines would allow.
스페인의 신비주의자인 로버츠는 신학적 예의 범절을 지키기 위해 토미니즘이나 추측에 의한 한계만 밝혀냈다고 주장합니다.
Roberts points out that the mystic depends upon the separation of God and self for his mysticism, for his oneness experience that he or she so values. But the no-self experience becomes the Only God experience, and
with God eternally accessible, where is the mystical experience, the lights and visions? It is the end of the mystical life and the beginning of real life.
로버츠는 신비주의자가 신과 자아의 분리에 달려있다고 지적합니다. 신비주의자는 신과 자아의 분리에 달려있죠. 신비주의자는
그가 그렇게 소중하게 여기는 유일의 경험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 자신 없는 경험은 유일신의 체험이 되고, 신과 함께 영원히 접근할 수 있는 신과 함께 신비로운 체험과 빛과 환영은 어디에 있을까요? 그것은 신비한 삶의 끝이자 현실 생활의 시작입니다.
And that is what Roberts is talking about all along. She repeats that there is the theologically defined oneness of self with God, known in its highest category by the mystics; and there is "undefineable essential Oneness" beyond self and God, which theology does not deal with. It is the becoming of God, not merely the relationship with God.
These are the two ways of seeing and knowing.
그리고 그것이 로버츠가 내내 이야기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녀는 신학자들에 의해 가장 높은 범주로 알려진 신과의 자아에 대한 신학적 정의가 있다는 것을 반복합니다; 그리고 신학적으로 다루지 않는 자아와 신을 넘어 "의식할 수 없는 본질적인 하나"가 존재합니다.
그것은 단지 신과의 관계가 아니라 신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보고 아는 두 가지 방법입니다.
In concluding her book, Roberts states that it clears the ground for much more to be said about this contemplative movement of the loss of self and Divine Oneness.
그녀의 책을 마무리하면서,
로버츠는 그것이 자기와 신성의 합일에 대한 이러한 명상적인 움직임에 대해 더 말할 수 있는 더 많은 것을 명확하게 한다고 말합니다.
She says she is concerned for others who may find themselves moving beyond the mystical union, beyond the union of self and God. And she feels it is a grave mistake to think that mystical union is the final stage.
그녀는 자신이 신비로운 합일을 넘어서, 자신과 신의 합일을 넘어 움직이는 것을 발견할지도 모르는 다른 사람들을 걱정한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녀는 신비한 합일이 마지막 단계라고 생각하는 것은 중대한 실수라고 느낍니다.
She urges the mystic to release the experience of unity and all the feelings associated with it, and to move beyond.
She urges that any self at all, even the divine self, must be released.
그녀는 신비주의자에게 단결의 경험과 그것과 관련된 모든 감정을 풀어주고, 그 이상으로 나아가라고 촉구합니다.
그녀는 어떤 자아, 심지어 신적인 자아도 해방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That crossing of the line into the unknown is done by God alone. The self never crosses the line, it simply ceases to exist. (Aside: it reminds of a mug I have that says upon it, "Old waitresses don't die, they just give up their stations.")
미지의 세계로 선을 넘나드는 것은 신만이 행하는 일입니다.
자아는 결코 선을 넘지 않습니다. 그것은 단지 존재하는 것을 멈출 뿐입니다.
(옆으로: 제가 가지고 있는 머그잔이 생각나네요.
"오래된 여종업원들은 죽지 않아요,
그들은 단지 방송을 포기합니다.")
"For if truth be known," Roberts says, "only Christ dies and only Christ rises."
로버츠는 말합니다.
"진리가 알려지면 그리스도 만이 죽고 오직 그리스도 만이 일어납니다"
She quotes Matthew 10:39: "He who seeks only himself brings himself to ruin, whereas he who brings himself to naught for me discovers who he is."
그녀는 마태 복음 10:39을 인용합니다.
"자신만을 찾는 사람은 자신을 파멸로 몰고 가는 반면,
나를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 사람은 그가 누구인지 발견하리라."
Roberts adds that he will discover not only 'who' he is, but 'what', 'where', and 'that' he is, in God, and that outside God, nothing is.
로버츠는 자신이 누구인지 뿐만 아니라, 하나님 안에서,
그리고 하나님 밖에서는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입니다.
버나뎃의 무아체험
Bernadette Roberts [무아체험 The Experience of No-Self]
나는 이 글에서 내가 자아라고 부를 수 있는 모든 것들이 떨어져
나간 2년간의 경험을 말하려 한다. 유사한 경험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이 모두가 환상처럼 느껴질지도 모른다. 이런 일은 그 어느 책에도 나와 있지 않은, 알려진 바 없는 체험이라서 새롭고 놀랍기만 하다. 어린 시절부터 갖가지 명상체험을 해온 나로서도 이런 게 있으리라고는 짐작조차 못한 게 사실이다.
내가 살던 집에서 길 아래쪽으로 내려가다 보면 바닷가에 수도원이 하나 있었다. 한가한 오후가 되면 나는 종종 그곳 예배당에서 조용히 침묵 속에 앉아 있곤 했다. 그 특별했던 날도 여느 날과 다르지 않았다. 침묵이 예배당에 안에 충만했고,난 두려움이 그걸 깨뜨리길 기다리고 있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두려움이 전혀 찾아오지 않았다. 난 약간의 긴장감을 느꼈다.
두려움은 자아로 향한, 그리고 알려진 세계로 향한 움직임이다.
나는 두려움이 찾아올 거라 여기면서 `이번엔 넘어설 것인가,
아니면 이전처럼 다시 자아로 떨어질 것인가' 생각했다.
하지만 나 스스로는 움직이거나 선택할 힘이 없으므로 결정은 나의 몫이 아님을 알고 있었다. 내면은 잠잠했다. 난 고요 속에서 두려움과, 두려움에 대한 기다림이 떨어져 나간 순간을 알아채지 못했다. 나는 여전히 두려움이 오는 순간을 기다렸으나 어떠한 움직임도
일어나지 않았다. 나 자신은 그냥 그 엄청난 고요함속에서 가만히 머무르고 있을 뿐이었다.
그때 수녀가 예배당 열쇠를 딸랑거리며 흔들어댔다. 문을 잠그고 집으로 돌아가 아이들에게 저녁을 지어줄 시간이었다. 전에는 깊은 침묵에서 갑자기 빠져나오는 것이 쉽지 않았다. 에너지가 착 가라앉아서 마치 죽은 것처럼 몸이 축 늘어져버리는 탓이다. 그런데 그날은 일어나야겠다는 생각을 하지도 않았는데 그냥 저절로 일어나지는 것이었다. 그리고는 마치 바람에 떠다니는 깃털이라도 된 듯 나는 가볍게 예배당을 나섰다. 이상한 건 그뿐만이 아니었다. 전에는 예배당에서 나오면, 일상적인 나의 에너지, 즉 생각하는 마음으로 복귀하곤 했는데, 그날 나는 거대한 침묵 속에 계속 침잠해 있었다. 집으로 차를 몰고 돌아오는 길은 완전한 무의식과의 끝없는 싸움이었고, 저녁을 차리는 일 또한 산을 옮기는 것과 같은 수고로움과 같았다.
그 후로도 3일동안은 내게, 매 순간이 정신을 차리기 위한 투쟁이었다. 나는 나자신을 압도하며 엄습해오는 침묵을 떨쳐내기 위해 힘겨운 싸움을 벌여야 했다. 내가 하고 있는 동작을 끈질기게 나 스스로에게 상기시킴으로써, 나는 최소한의 집안일만 겨우겨우 해낼 수 있었다. `난 지금 당근을 씻고 있다. 이제는 당근을 자르고 있다. 지금 나는 팬을 꺼내고 있다. 이제 팬에다 물을 붓고 있다..', 이런 식으로 나를 채근하다가 결국은 지쳐서 소파 위에 쓰러지곤 했다. 그리고 쓰러지는 순간 나는 곧 꺼져버렸다. 어떤 때는 5분 지났는데도 몇 시간이 흐른 것처럼 느껴졌고, 또 어떤 때는 몇 시간이 지났는데 단5분만 지난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이처럼 내가 꺼져 있을 땐 꿈도 없고 주위에 대한 인식도 없었다. 아무 생각도,경험도 일어나지 않았다. 절대적인 무의 상태였다.
넷째 날이 되어서야 그 침묵이 좀 편해져서 나는 힘을 덜 들이고도 깨어 있을 수 있었다. 그래서 가까운 상점에 장을 보러 갔다. 순간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지금도 알지 못하지만, 갑자기 한 여자가 나를 흔들면서 물었다. "자고 있어요?" 나는 내가 어떻게 상점 안에 들어왔는지, 또 뭘 해야할지 몰라 한 동안 그녀에게 미소를 짓고 있다가, 비로소 내 물건들을 챙기기 시작했다. 난 또 다시 나 스스로에게 상기시키는 작업을 해야 했다. "나는 지금 바구니를 놓는다, 이제 오렌지를 집어들어야 한다..."
시간이 갈수록 그 침묵을 견디는 것이 점점 편해졌지만, 결코 돌아오지 않는 무언가가 있는 듯했다. 그것은 나의 어떤 `일부분'인 것 같았다. 다른 모든 점은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왔지만 나의 한 부분은 여전히 침묵 속에 있었고, 그것은 마치 내 마음의 한 부분이 꺼져버린 듯한 느낌을 주었다. 난 그것이 가장 늦게 정상으로 회복된 기억력 때문일거라 생각했다. 내가 정상으로 돌아왔을 때 과거에 대한 기억은 이미 흑백슬라이드처럼 죽어 있었고, 때문에 나는 먼 과거뿐만 아니라 바로 일분전의 기억마저도 온전히 되살릴 수 없었던 것이다.
이처럼 과거가 생명을 잃자,나는 과거가 전혀 없는 사람처럼 사는 법을 터득했다. 말하자면 현재의 순간만을 살게 된 것이다. 현재의 순간속에서 모든 것은 아무 노력 없이 일어났다. 이런 현상은 내가 실제적인 기억을 온전히 다 되찾았을 때도 계속 이어져, 나는 힘을 전혀 들이지 않는 삶을 살 수 있게 되었다. 나는 끊임없이 위대한 미지의 침묵을 응시했으며, 어떠한 행위도 이를 방해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다시 이로부터 한달정도 지난 후, 나는 내가 잃어버린 것이 실은 아무 것도 없으며, 오히려 무언가가 더 보태어졌음을 알았다. 하지만 그게 전부라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나는 뭔가 다른 일이 일어난 것이라고 생각했고, 결국 다른 사람의 경험을 통해 이 미스터리를 풀어볼 셈으로 도서관을 찾았다. 그러나 도서관의 어느 책에서도 나의 특이한 경험을 설명해주는 내용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런데 기적은 그 다음 일어났다. 도서관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 눈앞에 펼쳐진 골짜기와 언덕의 파노라마를 감상하며 그 길을 걸어 내려오던 그 때, 내면을 응시하고 있던 나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다름 아니라 나의 내면에 일상적인 `나'라는 중심이 없어졌음을 내가 알게 된 것이다. 거기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았고, 그곳은
비어 있었다. 이것을 알아차리는 순간 고요한 기쁨이 홍수처럼
밀려왔다. 나는 드디어 내가 잃어버린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었다. 그것은 바로 `나'였다. 마치 커다란 짐을 내려놓은 것처럼 육체가 가벼워 짐을 느낀 나는 내가 발을 땅에 붙이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내려다보았다. 며칠간 그런 기쁨을 만끽하며 길을 걸었는데, 때론 그 느낌이 너무나 강렬해서 이 기쁨의 홍수를 막고 있는 댐의 수문이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의심스럽기까지 했다.
처음의 기쁨이 점점 가라앉기 시작하자, 나는 홀로 고요히 나의
텅 빈 자아를 응시하고 싶은 생각에 얼마간 은둔자처럼 살기로
작정하고 숲 속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어느 날 늦은 오후, 바람부는 언덕 위에 서서 바다를 내려다보고 있을 때였다. 갈매기 한 마리가 나타나서는 바람을 타고 미끄러지듯 날아다니고 있었다. 나는 세상에 태어나 처음으로 갈매기를 보는 것처럼 신기한 눈으로 갈매기의 움직임을 계속 지켜보았다. 거의 최면에 빠진 것 같았다. 나는 마치 나 자신이 갈매기가 되어 날아다니는 것을 보는 듯했다. 실제로 그 순간엔 갈매기와 나 사이에 일상적인 분리감이란 존재하지 않았다. 아니, 분리감의 상실이라는 말로는 부족한, 무언가가 더 있었다. `무언가'정말 아름답고 알 수 없는 것이!
나는 사원 뒤에 펼쳐진 소나무 숲 언덕으로 눈길을 돌렸다. 여전히 거기에서도 대상과의 분리는 일어나지 않았다. 분리감 대신 오로지 시야에 찬 모든 대상을 통해 흐르는 무엇만이 존재하고 있었다.
모든 것과 일체감을 느낀다는 것은 마치 눈에 특수한 3차원 입체
안경을 쓰고 대상을 바라보는 것과 같은 느낌이었다. 나는 이것이야말로 "신은 모든 곳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실제로 경험한 것이라 확신했다. 나는 남은 생을 그렇게 그 자리에 서서 가만히 바라보며 보내고 싶었다. 하지만 마음 한편으로는 이것이 혹 꿈은 아닐까,
마음의 장난은 아닐까, 잠시 후면 사라져버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그런데 며칠이 지나도 그 3차원 입체안경은 내 눈에서 사라지지 않았다. 모든 분리는 `그것'속으로 용해되어 버렸고, 나는 분리하여 개별성을 보는 과거의 일상으로 되돌아갈 수 없었다. 그렇다고 처음의 상태 그대로 고정된 건 아니었다. 나는 같은 3차원 입체안경을 쓰고서도 보는 방식이 점차 변화하고 있음을 알아차리기 시작했다. 어느 한 대상, 즉 꽃이나 사람이나 동물등에 초점을 맞추면, 서서히 특수성이 감소하다가 모호한 일체성으로 변해버렸다. 그래서 대상의 구별이 상실되는 것이었다. 물론 시각적으로는 아무 변화가 없었다. 변화는 단지 인지하는 방식에 있을 뿐이었다. 나는 이 3차원 입체안경이 씌어진 상태에서는 개별성을 보는 것이 불가능함을 알았다. 모든 대상이 마음으로부터 희미해져서 뭔가 다른 것으로 대체되거나 `투명하게'보이기 때문이다. 이런 지각방식은 변함없이 영구적으로 계속돼, 나로 하여금 궁극적인 `봄seeing'에 도달하도록 도와주기도 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는 것이 신비로운 이유는 내 주변 대상에 초점을 맞출 수는 있지만 나 자신에게는 초점을 맞출 수 없다는 데 있다. 이는 사실 거울을 사용하지 않고 내 눈을 보는 것만큼이나 불가능한 일이다. 어찌됐건 이런 이유로, 나는 나 자신을 제외한 모든 것의 일체성을 바라보는 외부의 관찰자가 된 것처럼 느꼈다. 이런 관찰방식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에, 나는 인간의 근원적 의식, 우리 모두가 처음부터 가지고 있던 의식형태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한때 아동발달을 연구한 적이 있는 학생으로서, 나는 유아들이 비상대적 의식을 가지고 있고 그런 의식안에서는 주체와 객체의 구분이 없다는 걸 알고 있었다. 결론만 말하면 유아들에겐 자아 개념이 없다. 더 나아가, 우리 모두가 알고 있듯이, 유아는 생각하지 않는다. 유아의 의식에는 아직 내용물이 없으며 기억할 것 또한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 모두는 생각하는, 즉 자아를 의식하는 마음을 갖지 않은 채 태어난다. 따라서 성인들이 이런 방식으로 `본다'는 것은 갓 태어난 아이 같은 근원적 의식형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놀라운 것은 이런 의식형태가 실제의 삶에서 일상적으로 활동하는 것을 전혀 방해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물론 처음부터 그렇게 보는 방식에 익숙해지는 것은 아니다. 앞서도 얘기했듯이, 나 역시 내가 보는 모든 곳에서 비어 있음을 발견하는 경험을 했을 땐 단지 어리둥절하기만 했다. 나의 마음이 어느 특정 대상에 집중하지 못하고 완전히 비어버리는 상태를, 나는 견디기 힘들었다. 끊임없이 안팎으로 순전히 비어 있음만 바라본다는 것은 참아내기 힘든 존재 방식이었다.
더욱이 얼마 후에는 나의 머리(나의 마음, :나의 두뇌)가 무언가에 꽉 물려 더 이상 전혀 움직이지 못하게 된 것만 같았다. 나는 과거를 돌아볼 수도, 좌우로 움직일 수도 없었으며, 바로 지금 이 순간에 존재하는 무언가에만 필사적으로 초점이 맞추어질 뿐이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단지 똑바로 앞을 바라보는 것이었다. 그러나 나의 앞에는 바라볼 것이 아무 것도 없었다. 어둡고 텅 빈 허공만이 있을 따름이었다. 심지어 나는 내 두뇌에 불이 붙은 것 같은 착각에 빠지거나, 혹은 눈 뒤에서 가해지는 어떤 지독한 압력이 내 눈을 멀게 하고 있는 듯 느끼기도 했다. 그 압력이 "봐라! 넌 봐야해! 넌 볼 수 있어!"라면서 계속 명령해대는 끔찍한 감독자와도 같았다. 그것은 며칠이고 몇달이고 쉬지 않고 나를 밀어부쳤다.
이런 힘든 과정을 거친 후에서야 나는 내가 마침내 `보게'될 때가지 이 끔찍한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리라는 걸 알아차렸다. 하지만 뭘 본다는 말인가? 내가 무엇을 봐야한다는 것인가? 더이상 볼 수 있는 눈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 어떻게 볼 수 있다는 것일까? 나의 눈앞에는 여전히 아무 것도 없고, 오직 비어 있음만이 남아 있는데...
그러던 어느 날, 당시는 늦겨울이었고 나는 매일 아들과 함께 강둑에 서서 불어나는 물의 높이를 재곤 했다. 그럴 때면 아들은 떠내려오는 통나무를 겨냥해 돌맹이를 던졌다. 던지는 힘이 세고 시력이 좋은 그에게, 그와 같은 행위는 훌륭한 놀이가 될 수 있었다. 그런데 하루는 아들이 제시간에 오지 않아서, 나 혼자 강둑을 걸어 내려가 강가에 앉았다. 그리고는 빠르게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죽은 나무들을 바라보고 있었다. 순간, 아무런 이유도 동기도 없이 나의 얼굴에 미소가 떠올랐다. 그것은 짧은 `알아차림'의 순간이었고, 나는 드디어 "보았던"것이다. 나는 분명 그때 내가 보았다는 걸 알았다. 미소 그 자체와, 미소지은 자와, 미소를 짓게 한 대상이 하나라는 것을, 그것은 분리되지 않는 삼위일체로서 하나라는 것을 나는 보았고, 또 안 것이다. 어떠한 움직임도 없었다 하지만 그 `봄'은 얼굴에 떠오른 미소처럼 자연스럽고 자발적이었다. 다른 그 무엇도 없었다. 난 이것을 `알아차림의 미소'라 불렀다 내가 본 것이 마음에 의해 유지되거나 붙잡혀 있는 게 아니기에, 나는 그냥 계속 강물을 바라보기만 했다. 이제 모든 것이 끝났다는 걸 알았지만, 모든 게 그대로 이전과 다름없이 보였다. 변한 건 아무것도 없었고, 그 사실을 아는 것은 기분 좋은 일이었다. 모든 게 있는 그대로이고 변한 건 아무 것도 없다는 사실에 나는 감사했다. 너무나 좋아 믿어지지 않을 정도였다.
내가 뭔가를 발견했다는 것보다 모든 게 끝났다는 사실에 더 기쁨을 느꼈다는 말이 혹자에게는 좀 이상하게 들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내가 발견해낸 것들은, 붙잡을 수도 매달릴 수도 없는, 따라서 그것을 즐거워할 수조차 없는 것이었다. 게다가 그것은 너무도 분명하고 간단해서, 내가 전에는 왜 그것을 보지 못했는지 이해할 수 없을 정도였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내가 자발적으로 이 `봄'에 도달하는 방법이라는 건 존재하지 않는 것같다. 그것은 오히려 `스스로'드러나야만 했던 것이다. 내가 강가에서 깨달은 `미소 자체와, 미소의 대상과, 미소의 주체가 하나'라는 것은, 다른 말로 하면 미소는 미소의 주체도 객체도 아닌 다만 내가 없어질 때 나타나는 무엇을 의미하기에 존재자체가 대상도 주체도 될 수 없다는 걸 알게 되자, 나는 그것을 언제나 볼 수 있는 놀랍고 독특한 열쇠를 쥐게 되었다. 그것은 전혀 보려고 하지 않음으로써 가능한 것이었다. 물론 그 열쇠를 쥐게 되면서 나는 존재가 때로 강렬해진다는 것을 알았지만, 그렇다고 그게 황홀한 것이나 초월적인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와는 반대로 그것은 명백하고 자연스럽고,또 평범한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보고 있는 모든 곳에서 `보는'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걸 아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그도 그럴 것이 우리의 자아는 시야를 가로막아 자아가 사라질 때 남아 있는 `존재'를 보지 못하게 하지 않는가.
하지만 일단 보기 시작하면 새로운 삶의 방식이 열린다. 나에게 가장 중요한 변화는 내가 `하기'라고 이름 붙인 그 무엇이 내게 일어났다는 점이다. 그것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도 않고 생각도 필요없으며, 따라서 끊임없는 노력과 유지가 필요한 자아인식의 활동형태와는 구별된다. 오히려 이 '하기'는 모든 개인적 노력과 에너지가 중지될 때 자동적으로 뒤따라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제 `봄'과 `하기'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는 나는 어느 때보다도 행복하다. 그 무엇도 깨뜨릴 수 없는 고요와 기쁨이 충만하기에 그러하다.
정신세계5, 6월호에 실려 있습니다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