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 木(목)
木
나무(목)8
가지(八) 많은(十)
나무의 상형
나무(木)의
草木(초목) / 풀(초)
木手(목수) / 손(수)
根
뿌리(근)6
땅속 걸친(艮) 부분을
艮 그칠(간)
停止(정지) / 그칠(지)
뿌리라(根) 하며
根本(근본)
根源(근원) / 근원(원)
本
밑(본)6
바닥(一) 부분을
本性(본성) / 성품(성)
밑둥이라(本) 하여, 나무의 근본(根本)이라 한다.
本質(본질) / 바탕(질)
本能(본능) / 능할(능)
林
수풀(림)5
나무들이(木) 많은 곳을(木)
密林(밀림) / 빽빽할(밀)
숲(林), 또는 임야(林野)라 하며
山林(산림)
森
빽빽할(삼)2
그(林) 중에 더욱 울창하여(木)
빽빽하게(森) 들어선 곳을 삼림(森林)이라 한다.
森羅萬象(삼라만상)
그물(라) / 코끼리(상)
村
마을(촌)5
수목이(木) 우거진 곳마다(寸)
樹木(수목) / 나무(수)
寸마디(촌)
마을을(村) 이루어
村落(촌락) / 떨어질(락)
材
재목(재)5
재주껏(才) 나무를(木) 다듬어
才 재주(재)
건축설비의 재목(材)으로 공급하였는데
材木(재목)
材料(재료) / 헤아릴(료)
柱
기둥(주)3
주로(主)
主 주인(주)
기둥(柱)이나
支柱(지주) / 지탱할(지)
圓柱(원주) / 둥글(원)
梁
들보(량)3
냇가의(涊) 다리(木)
涊 물이름(년)
들보(梁) 등의 용도로 쓰여졌다.
橋梁(교량) / 다리(교)
棟梁(동량) / 용마루(동)
枯
마를(고)3
특히 수령이 오래된(古) 나무에는(木)
古 예(고)
樹齡(수령) / 나이(령)
말라(枯) 죽어있는 부분이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枯木(고목)
枯死(고사) / 죽을(사)
朴
순박할(박)6
나무의(木) 껍질은 거북등의 점판처럼(卜)
卜점(복):거북등껍데기를
구워서 보는 점
투박하다, 곧 순박하다(朴)
淳朴(순박) / 순박할(순)
素朴(소박) / 흴.본디(소)
李
오얏(리)6
나무(木) 밑에서 아이들이(子) 서성이는 이유는
子 아들(자)
(자두)오얏이(李) 빨리 익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桃李(도리) / 복숭아(도)
梨
배나무(리)3
해마다 과수원에 이익을(利) 더해주는 나무로는(木)
利益(이익) 利潤(이윤)
利 이로울,날카로울(리)
배나무가(梨) 있으며
梨花(이화); 배꽃
梅
매화나무(매)3
매년(每) 매실이(木) 열리는
每年(매년) / 매양(매)
매화나무도(梅) 우리를 풍요롭게 한다.
梅實(매실) / 열매(실)
杏
살구(행)2
나무(木) 밑에서 입을(口) 벌리고 있어도 잘 떨어지는
銀杏(은행) / 은(은)
살구,은행의(杏) 열매를 얻으려고
杏林(행림): 의원
呆
어리석을(매)1
나무(木)위에 올라가서 입을(口) 떡 벌리고 있는
어리석은(呆) 행동을 하는
癡呆(치매)
癡(痴) / 어리석을(치)
保
지킬(보)4
치매(呆) 환자는 사람이( 亻) 곁을
亻(人) ; 사람인변
지키어 보호(保護)해 줘야 한다.
保存(보존) / 있을(존)
保險(보험) / 험할(험)
杖
지팡이(장)1
동네 나이 많은 어르신에게는(丈) 나무(木) 다듬어
丈人(장인) / 어른(장)
지팡이(杖) 만들어 드리고
竹杖(죽장): 대지팡이
柔
부드러울(유)3
창(矛) 자루로 쓰이는 나무는(木)
矛盾(모순)
창(모) / 방패(순)
유연(柔軟)해야 잘 부러지지 않는다.
溫柔(온유) / 따뜻할(온)
柔道(유도) / 길(도)
板
널빤지(판)5
통나무를(木) 돌이켜(反) 잘라
反對(반대) / 돌이킬(반)
널빤지, 판자(板子)로 만들어 쓰기도 한다.
看板(간판) / 볼(간)
鐵板(철판) / 쇠(철)
편백나무
육송
참죽나무
출처: 스토리텔링 벽운한자 원문보기 글쓴이: 벽운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반갑습니다.밥대디 님^^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반갑습니다.
밥대디 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