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forum.paradoxplaza.com/forum/developer-diary/tinto-talks-28-4th-of-september-2024.1702099/
@Johan
- 이번주 주제는 게임상의 겨울에 대한 내용
- 기후와 겨울
- 각 위치의 겨울 기간은 해당 위치의 기후, 연중 시기, 인근 지역의 겨울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물론 겨울이 있는 시기는 북반구와 남반구가 다름
- 각 위치는 매일 겨울 수준을 변경해야 하는 시기를 계산함
- 겨울에는 세 단계가 있으며, 정확히는 '겨울이 없는' 단계까지 총 넷이지만 이것은 겨울로 치지 않음
- 한 시즌 동안 한 위치에 모든 유형의 겨울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온화한 겨울/일반적인 겨울/혹독한 겨울로 나뉘어짐
- 모든 겨울의 공통점은 군대의 소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겨울이 오면 항상 일부 병사는 사망한다는 것임. 또한 겨울을 자주 겪는 기후에 있는 팝들은 모피에 대한 수요가 더 높음
- 겨울의 식량
- 겨울에는 식량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지만 팝들은 여전히 동일한 양을 소모함
- 온화한 겨울에는 생산량이 25% 감소하며, 혹독한 겨울에는 기본적으로 0으로 떨어짐
- 따라서 위치에 저장된 식량이 많지 않다면 혹독한 겨울에 아사자가 발생할 수 있음
- 겨울의 건설
- 겨울의 또다른 단점은 일반적인 겨울과 혹독한 겨울이 건설에 영향을 미치며, 이 영향으로 인해 건설이 완전히 중단된다는 것임
- 이러한 '건설'은 건물의 건설부터 선박 건조에 이르는 모든 종류의 활동에 영향을 미침. 가령 스웨덴이나 노르웨이 같은 나라에서는 1년 중 몇 달을 허비해야 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계획을 짜야 하므로 게임 플레이가 조금 더 어려워질 것임
- 얼어붙은 바다
- 해협, 내해, 호수는 해역에 일주일 이상 혹독한 겨울이 지속될 때 결빙이 일어날 수 있음
- 얼어붙은 해역은 군대가 횡단할 수 있어 해역과 인접한 육지에 대한 군사적 통제를 강화할 수 있겠지만, 반대로 해군은 해역이 녹을 때까지 발이 묶여 있을 수 있음
- 또한 날씨가 변하면 얼음이 녹아 얼어붙은 해역 위에 있는 군대에게 치명적인 결과가 일어날 수 있음
- 또한 해군은 얼어붙은 해역으로는 진입할 수 없음
- 겨울 산
- 프로젝트 시저에서는 겨울에 벌이는 전쟁의 위험성에 대해 새로운 요소를 추가함
- 지형이 '산'인 모든 위치는 일반적인 겨울/혹독한 겨울 동안 군대의 이동이 차단되며, 이를 이용해 자연 국경과 흥미로운 전략 게임 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을 것임
- 다음주는 공휴일이라 쉬고 다다음주에 도로/개발/번영도 등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
첫댓글 겨울에 산이 차단되는건 아이디어 좋네요
흠.. 멀티코어를 전부 사용할 수 있어야할텐데..
꽁꽁 얼어붙은 한강 위로 여진족이 걸어다닙니다
오오오
후반에 얼마나 랙이 걸리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