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의 품성(Pastoral Character) 1. 현대목회의 위기: 목회자의 품성(character)에 주안점을 두지 않고 목회 자의 기능(function)에만 주력하는 신학의 흐름에 문제 가 있다. (1). 현대는 제3의 불인 원자력의 시대이다. ①.제1의 불의 시대: 원시문화가 획기적으로 발전됨. ②.제2의 불의 시대: 18c.영국의 산업혁명으로 물질문명의 발전과 자본주 의 형성됨. ③.제3의 불의 시대: 20c. 미,쏘로부터 시작된 원자력시대가 도래했다. ⒜.현대를 6T. 시대라고 한다. Ⓐ. Bio technology 시대. Ⓑ. Cultural technology 시대. Ⓒ. Environment technology 시대. Ⓓ. Information technology 시대. Ⓔ. Nano technology 시대. Ⓕ. Space technology 시대 *.기술문명이 최 첨단화 된 시대다. ⒝.현대를 3S. 시대라고 한다. Ⓐ. Screen. Ⓑ. Sport. Ⓒ. Sex. *. 감관문화(感觀文化)의 시대다: 말초신경을 자극하면서 사는 시대(쾌락주의 시대) ⒞. 4M.의 시대라고도 한다. Ⓐ. Material civilization Age.(물질문명 시대) Ⓑ. Machine Age.(기계문명시대)→Mechanism(기계화된 인간)→(자동화 로 소외되는 인간) Ⓒ. Marketing strategy Age. (마케팅 전략시대) Ⓓ. Mammonism Age.(배금주의 시대) *.영혼도 정신도 없는 물질화된 상막한 인간사회의 단면을 말해주고 있다. ⒟.다원의 사회(plural society))다. ⒠.전문화된 사회(professional society)다. *.목회도 전문화를 강조하여 기능을 강조하게 되었다. (2). 신학의 흐름도 시대변화에 따라 존재(Being)보다 행위(Doing), 즉 목회 자의 기능개발(機能開發)에 열을 올렸다. ①.목회자(Minister)란? ⒜. Leadership 개발. ⒝. 상담자(Counsellor) ⒞. 치유자(Healing and caring) ⒟. 교회행정 책임자로서 심지어는 교회의 경영기법에 관심을 두고 있다. 2. 목사란 어떤 사람인가? (1). 어원적 정의 ①. 헬라어 “Ποιμην”으로서 [엡4:11]에 나오는 말로써 목자(牧者)를 의미 하는 말이다. ⒜. 보호한다(to protect): 다윗이 사자들의 이에서 양을 보호하는 의미 다. ⒝.꼴을 먹인다: 모세가 시내산에서 십계명을 받아 하나님의 뜻을 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관리함을 의미한다: 병을 치료하고 추위와 더위 그리고 풍우를 막아주 며 양털을 제 때에 깎아 주어야 한다 (2). 예수님을 통해서 살펴보는 참 목자 상(像) ⒜.예수님은 하나님의 나라(βασιλεια του θεουυ, Kingdom of God)를 이 루기 위해서 “λόγος→σαρξ”가 되신 분이다. Ⓐ. 자신을 낮추시고 비우신 분. ⓐ. 하나님의 뜻을 위해서 ⓑ. 죄 인을 구원하기 위해서 그러므로 참 목사는 “자기희생을 바친 사람이어야 한다.”(천주교의 사 제 임직식 때의 모습이 의미 있음) Ⓑ. 군림하기 위해서 오신 분이 아니라, 섬기려 오셨다[마20:28] ⒝. 예수님이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기 위해서 걸으셨던 길 Ⓐ. 선지자(先知者):זביא(나비),Προφητης(프로페테스), prophet: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서 전하는 자 ⓐ. 가르침의 초점이 하나님의 뜻에 있었다. ⓑ. 하나님의 요구보다 사람들의 요구를 앞세우지 않았다. “하나님의 선지자들은 여호와 가라사대: 예수님은 Εγο ... ειμι(내 가...말하노니)”했다 Ⓑ. 제사장(祭司長): כהן(코헨) Άρχιερευς(아르키에류스), Priest[슥7:12] ⓐ. 하나님과 인간의 중보자(仲保者) 가).인간편에서 ㄱ). 속죄의 제물을 가지고 인간을 대신해서 하나님께 나아가는 사 람. 나). 하나님 편에서 ㄱ). 속죄의 은혜를 베푼다. ㄴ). 하나님의 복을 빌어 준다.[민6:23-] Ⓒ. 왕(王):םלך(멜렉크) Άρχων(아르콘) King: 재림 후에 이루어진다. *.목사는 예수님이 재림할 때까지 종(δουλος)으로서 교회를 섬기면서 봉사 하는 작은 예수가 되어야 한다.(인간 예수님를 본받아 성역을 해야 한다.) ⒞.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를 이루기 위해서 이 땅에 교회를 세우고 그 교 회 안에 사도, 목사, 전도자, 교사를 세우셨다[엡4:11] Ⓐ. 그러므로 목회자의 사역(使役)[마4:23] ⓐ. 선포(宣布): κηριγμα(케리그마), proclamation.(preaching) ⓑ. 가르침(敎育): διδακη(디다케), Teaching ⓒ.치유(治癒)와 돌봄: θεραπια(쎄라페이아), Healing and Caring *.목사는 무엇을 행하는 것(to do)보다 먼저 무엇이 되어야 하느냐(to be) 가 더 중요하다. (3).목사가 갖추어야 할 인격의 덕목 ①. 겸손과 온유[마11:29], 자기 희생과 죽기까지 하나님께 복종함.:( 예수 님의 마음)[빌2:5-8] ②. 믿음, 소망, 사랑의 사람. ③. 정직하고 성실하며, 믿을 수 있는 자 ④. 정의롭고,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자세. ⑤. 청빈하면서도 부끄러워 않고, 겸허하면서도 비굴하지 않는 인격을 갖어 야 한다. (4).목사직에 내포된 요소들 ①. 목사(Pastor)는 ⒜. 좋은 예배 인도자가 되라.(타종교의 예배와 기독교의 예배의 다른 점 을 부각시키면서 예배드려라 Ⓐ. 진리와 영으로 드리는 예배 Ⓑ. 성도들에게 영의 양식을 풍요케 하라. ⓐ. 말씀과 성찬이 있는 예배 가). 음성의 설교, 행동이 따르는 모범의 설교, 인격의 설교가 있다. 나). 성찬식은 영성적인 예식이 되게 하라. ⓑ. 기독교와 타 종교의 “기도의 다른 점”을 분명히 알고 기도하게 하 라. ⓒ. 대중기도의 바른 7가지 요소가 구비된 기도를 드리게 하라. ⒝. 설교자는 기능에 있어서 성경적인 설교를 하라. Ⓐ. 설교의 촛 점을 하나님의 뜻에 두라.(회중에게 촛 점을 두는 이가 많 다.): 선지자들은 듣든지 아니 듣든지 하나님의 말씀만을 전했다. Ⓑ. 오늘의 말씀이 되도록 적용하라.(설교에서는 적용보다 성경해석이 더 중요하다) ⒞. 좋은 교사가 되라.(항상 배우면서 가르치기를 다 하라) ⒟. 모범을 보이는 Readership을 발하는 지도자가 되라. ⒠. 성경적인 상담자가 되라. ⒡. 하나님의 말씀과 은사, 그리고 기도로써(영성을 구비함) 성도들의 영 적, 심리적, 육적인 치료자가 되라.(심리학의 연구도 필요함.) ⒢. 교회 행정 책임자로서 교회행정을 바르고 엄정하게 처리하라. ②. 목사(Minister)의 직임 ⒜. 성도들을 온전케 하고, ⒝. 모든 봉사와 선교, 교육에 전력하며, ⒞.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세우는 일에 전력하며, ⒟. 믿음 안에서 모든 사람이 하나 되게 하며, ⒠. 진리의 말씀 안에서 연합하여 ⒡. 그리스도의 완전한 교회(신앙과 사랑의 공동체)를 이루며 ⒢. 모든 성도들로 하여금 그리스도 안에서 장성한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 여 ⒣. 하나님의 나라의 백성을 온전하게 길러 내야 한다. *. 그래서 제도적인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들을 길러 내는 훈련장으로써, 하 나님 나라가 오게 하는 이 세상의 잠정적인 도구가 되어야 한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