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튼의 종류
커튼 디자인의 종류
커텐의 종류를 살펴보고 다양하게 연출하도록 하자

이름이 붙여 질 때는 기준이 되는 분류가 먼저 되어야 된다.
재료에 의해서 폴리에스터, 조직에 의해서 쟈카드, 쓰임에 의해서 물실크, 가공방법에 의해서 선염 등으로 명명되어 진다.
이처럼 기준을 안다면 정확한 이해로 많은 경우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자료를 드립니다.
1. 용도에 따른 분류
A. 글래스 커튼(GRASS CURTAIN)
조명하고 막(幕)과 같은 재료로 주로 만들어지며, 유리의 바로 앞에 치는 것인 데, 늘 쳐져 있도록 되어 있다. 빛을 분산시키고, 어느정도 프라이버시를 보장해주며, 유리의 심한 광택을 부드럽게 할 필요가 있을 때 바람직하다. 커텐의 색과 무늬를 통해서 방에 빛을 전달함으로써 독특한 시각적 효과를 주므로 색이 중요하다. 상황에 따라 분홍색이나 노랑색을 사용하여 방분위기를 따뜻하게 할 수도 있고, 연한 초록이나 파랑색을 사용하여 차가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다.
B. 드로우 커튼(DRAW CURTAIN)
보통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직물로 만드는 것이며, 창문위의 수평가로대위에 설치한다.
필요에 따라서 현관앞에 치거나 옆으로 모아 거둘 수 있게 디자인되어 있다. 옜날에는 글래스커튼과 드레퍼리의 사이에 달았는 데 요즘은 이것만 쓰는 경우가 더 많다. 글래스커튼보다 더 무거운 재료로 만든다.
C. 드레퍼리 (DRAPERY)
빛, 온도, 프라이버시등을 융동성있게 조절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다. 팽팽하게 잡아당겨 펼치는 것이 아니라 느슨하게 걸려 있는 직물은 모두 여기에 속한다. 처음에는 추운 쪽을 따뜻하게 보이도록 벽에 드리운 것에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창에 쳐질 수도 있고, 창가에 고정되어 늘어뜨릴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드레퍼리는 완전히 장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드로우커텐보다 두껍고 무거운 직물로 만들어진다.
2. 형태에 따른 분류
-Tailored Curtain : 수직선을 강조하고, 단순한 선을 살린 천정에서 바닥까지 길게 늘어 뜨린 커튼의 형태
-Tie-back Curtain : 늘어뜨린 커튼을 테슬이나 커텐홀더로 고정시킬 수 있는 커튼의 형태
- Pinch-Pleated Curtain : 커튼의 상단에서 큰 주름을 하나 또는 두세개의 잔주름을 한꺼번에 박아 바닥까지 주름이 잡히도록 만든 형태.
- Rod Pocket Curtain : 커튼폭을 rod길이보다 길게 만들어 닫힌 상태에서 잔주름이 생기게 한 형태
- Ruffled Curtain : 로맨틱하고 장식적인 효과를 낸 커튼으로 밸란스와 타이백도 주름으로 장식하여 조화시킨형태
- Cafe Curtain :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 창 윗부분으로 보이는 바깥풍경을 즐길 수 있다. 주로 짧은 창에 설치한다.
- Tier Curtain : 둘 혹은 그 이상의 짧은 수평으로 된 커튼이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한다.
- Sash Curtain : 창틀에 다는 글래스커튼의 일종으로 창틀의 윗쪽과 아랫쪽의 두 주렴틀사이에 팽팽하게 잡아당겨 펼칠 수도 있고 느슨하게 주름을 잡아 달 수도 있다.
- Hourglass Curtain : Sash커튼과 같은 방법으로 커튼을 끼운 다음 가운데 부분을 묶어주면 된다.
- Tab Curtain : 후크나 고리를 사용하지 않고 빳빳한 커튼지로 고리형을 만들어 로드에 끼운 형태
- Criss Cross Curtain : 일반적으로 타이백스타일의 변형으로 얇은 천을 사용하여 러플을 달기도 한다.
- Accordion Curtain : 사진기의 주름상자 모양을 한 스크린을 개폐하는 형식의 간막이. 가동성이 있는 벽 또는 간막이용 커튼의 일종
- Roller Shade : 회전 구동기구를 사용하여 스크린을 개폐하는 것으로 Convertional roll과 Reverse Roll 두 가지가 있다.
- Roman Shade : 주름이 없는 파넬상 커튼의 일종으로 접어 올리면서 상하로 개폐한다. 차일용으로 사용
- Botton up Shade : Roller Shade가 거꾸로 달린 모양으로 햇빛조절과 환기, 전망을 겸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 Austrian Shade : 얇고 부드러우며, 주름이 잘 잡히는 불투명한 나일론, 산동견, Voile 등이 적합하다.
- Ballon Shade : 광택이있는 부드럽고 유연한 새틴이나 chintz가 적합하다. 상자주름을 잡고 주름가운데 ring tape를 달아 그 고리를 통해 밧줄을 잡아당긴다.
- Venetion Blind : 수평으로 층층이 선 슬랫의 각도를 조절, 승강조작에 의해 일조나 통풍을 손 쉽고 미묘하게 조절한다. 레이스커튼 대신으로 드레이프와 매치시키거나 안쪽을 인테리어에 맞추고, 바깥쪽을 외관색과 통일시켜도 좋다.
- Vertical Blind : 슬랫이 세로로 늘어선 것으로 홀더체인으로 연결되어 180도를 회전한다. 좌우로 개폐하기 때문에 사람의 출입이 있는 곳도 배치가 가능하다.
- 발 : 한국인의 감정에 맞는 디자인과 기후, 풍토에 걸맞는 소재를 사용한 발은 비록 우리 고유의 것은 아니더라도 빛의 조절은 물론 방해, 바람막이, 가리개 등의 역할로 예로부터 우리와 친숙하다. 커튼과 같은 볼륨감도 없고, 블라인드와 같은 차거움도 없다.
- Cornice : 창의 윗쪽에 상자와 같이 처리된 부분으로 나무, 금속, 혹은 다른 장식적인 재료로 만들어진다. 천으로 덮힌 Cornice는 때로는 가장자리에 술과 엮은 실로 장식되며, 나무로 만들었을 때는 Curtain-Box라 하기도 한다.
- Valance : 창문의 윗쪽에 장식된 부분으로 Gather나 Pleats로 주름장식을 한다.
- Swag : 창문 윗쪽에 장식된 부분으로 양쪽에서 폭포모양으로 한 짧은 천조각을 좀더 손으로 모양을 잡아 늘여 뜨린 형태
3. 직물에 따른 분류
a. Drape Curtain : 중량감이 있는 두꺼운 커튼을 통칭하여 부르는데 평직, 능직, 수자직을 기본으로 하는 것으로 천이 지닌 광택이나 질감에 특색이 있으며, 차폐, 차광, 차음, 보온효과 가 있다. 일광에 강한 것은 선염한 것이지만 후염한 것은 색상이 다양하다. 바탕이 튼튼하고 주름이 아름답게 보이는 것을 선택한다.
b. Print Curtain : 드레이프나 케이스먼트등에 비하면 선명하고 대담한 빛깔과 무늬가 있다. 핸드 프린트(무늬가 크고 다색채가 가능한 고급프린트로 편면프린트이다), 오토 스크린 프린트(핸드프린트와 머쉰 프린트의 중간적인 것으로 색채수는 10색정도), 머쉰 프린트(색채수는 4~5색 정도로 무늬의 크기에 제한이 있지만 거의가 양면프린트) 등이 있으며,호화로움을 나타내고자 할 떈 안감을 대도록 하고 같은 천으로 침대커버, 테이블 클로스, 쿠션을 만들거나 셰이드류에 많이쓰인다.
c. Casement Curtain : 투시성이 있는 발이 굵은 천으로 드레이프와 레이스의 중간적인 존재이다. 재질은 마, 아크릴, 면, 모 등으로 비꼬아서 짠 것이 많다. 빛깔은 안정감이 있는 자연색, 아이보리색 계통에서 부터 컬러플한 것까지 다채롭다. 빛을 통과시키면서 무늬나 색채를 즐길 수 있으므로 실내를 경쾌하고 화려하게 만든다. 천에 안팎이 없기 때문에 간막이로 유용하다. 주간에만 사용하는 방은 한겹으로도 가능하지만 주택에서는 비치지 않는 천과 이중걸이가 좋다.
d. Lace Curtain : 가는 실로 짠 비치는 얇은 천이며, 빛을 부드럽게 하고 섬세한 주름의 아름다움이 있다. 재질은 일광과 세척에 강한 폴리에스터 계통이 많으며, 프린트 가공, 플로키가공(염료를 뿜어 염색하는 가공), 오팔가공(약품으로 천의 일부를 뽑는 가공)으로 무늬를 낸 것, 무지, 줄무늬 등이 있다. 지름의 분량을 많이 잡으면 아름다운 느낌이 있고, 밤에는 거의 밖에서 환하게 들여다 보이므로 드레이프나 프린트 커튼과 이중걸이로 한다.
e. 무지커텐 : 선염은 약간 두껍고 고급을 만들 수 있으며 후염은 켈리코(흰무명), 포플린과 같은 얇은 천을 비롯하여 도비(Dobby), 쟈카드(Jacquard)를 사용한 바탕무늬의 흰 천을 착색하여 커튼을 만든다.
f. 샤워 커튼 : 욕실이나 세면실 등의 방수를 목적으로 한 것으로 나일론, 사란, 염화비닐을 가공한 것이 있다.
4. 특수 커텐
a. 차음커튼
1. 무거우므로 단단한 커텐 레일을 쓴다.
2. 시공방법이 중요하므로, 틈을 만들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3. 일반적으로 커텐의 3.5배(1.9kg/m2) 중량이고, 두께는 1mm이다.
4. 레이온 100% 안에 특수 경질염화비닐을 사용한다.
b. 차광커튼
1. 바탕에 광성을 지닌 특수(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와 라미네이트 된 형태
2. 금속계 물질을 중착한 형태
3. 수지와 금속 쌍방으로 구성된 3층 구조 형태
4. 차광성이 강한 특수 흑색계통을 짜넣어 통상의 커튼보다 조직밀도를 높게 한 형태
c. 제전커튼
1. 병원용으로 전격쇼크 방지에 쓰인다.
2. 제전성이 좋은 금속섬유, 혼방사를 소재로한 커튼
d. 항균 커튼
대장균, 백성균, 곰팡이 등의 미생물을 막는 특수 가공 커튼.
e. 방염 커튼
1. 방염 효과가 높은 것
2. 유독가스의 발생이 적은 것
3.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염성능의 저하를 가져오지 않는 것
4. 내 세탁성이 좋은 것
5. 안전하고 피부 장해를 일으키는 독성이 없는 것.
(종류)
1. 후가공에 의한 것, 이것은 방염약제의 함침에 의한 처리가공으로 방염성능을 가진 것
2. 난연소재의 사용에 의한 것, 방염성능에 관하여 세탁내구성이 있다.
3. 불연소재의 사용에 의한 것, 유리섬유 등 소재 자체가 불연성인 것, Texture 를 중요시하는 드레이프류에 대해서는 후처리가공, 기능을 중요시하는 레이스, 케이스먼트류에 대해서는 현재 연소시의 발연성, gas독성등이 부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