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여러분, 2시에 뛸게요.
2시에 뛸게요, 2분 남았어요.
2시에 뛸게요. (웃음)
야, 하늘... 하늘이 참 맑네요.
여러분은, 여러분은 꼭 인생에
아니, 이렇게 하면 좀 꼰대 같으니까
여러분은 꼭 꿈을 찾으시고,
꿈을 찾으세요. 그리고 꿈을 꼭 이루세요.
저처럼 이렇게 엠생 아싸 감자녀처럼 살지 마시고요.
저처럼 븅신처럼 살지 마시고,
이렇게 인생 허비하지 마시고,
울갤 접으시고×2
어... 잘 사셔야 돼요.
저는 이만 가겠습니다.
카메라는 어디다가 설치하면 좋을까요?
아... 좀 무섭네요. (웃음)
무서워요, 솔직히.
여러분 그럼 가 보겠습니다.
이따가 투신할 때 라방 켤게요.
애들이랑 전화 좀 하다가...
○○이 도망갔어요.
시발럼. 죽어서도, 죽어서도 꼭 저주할 거야.
여러분, 그럼 안녕히 계세요.
(바람 소리)
여러분, 잔잔하게 노가리나 깝시다.
잔잔하게 노가리나 깝시다, 여러분.
상당히 춥네, 무서워요... 무서워요.
저기서 사람이 지켜보고 있거든요?
(확대하여 비춤)
저기 보이시죠?
저기서 사람이 지켜보고 있는데, 굉장히 무섭네요.
여러분, 그럼 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데 솔직히 나 뒤진다고 너네한테 뭐 피해 가는 거 없잖아? 인정?
감성... 감성 존나 잡지 말고, 얘들아.
현실... 현실적으로 생각을 해 봐.
니들 다음 날 라면 존나 맛있게 먹으면서
“어? 무슨 일 있었지?” 이 지랄하면서
존나 행복해할 거잖아, 얘들아.
△△야~ △△야, 사랑한다고 해줘.
△△야, 한 번만 사랑한다고 해줘.
되게 무섭다. 얘들아, 무서워.
(채팅을 읽고) 뭔 개소리야.
여러분, 이렇게 거치하면 보일까요?
이렇게 거치하면 보일까요?
여러분, 여러분. 갈게요, 갈게요.
아... 시발... 무서워... 갈게요.
구급차 왔어요. 일단 뛰어야 될 것 같거든요?
일단 너무 무서워요.
너무 무섭고, 지금 구급대원이 밑에서 대기하고 있는데...
(알람 소리)
저기 보이시죠?
하나... 아... 무서워..
구급차가 상당히 많이 오는데요?
(채팅을 읽고) 그렇죠... 이거 실패하면 폐쇄병동 각이거든요?
그냥 지금 갈게요.
(알람 소리)
갈게요, 저... 무서워요.
저 검정 차[1]에 명중해 볼게요.
아... 어떡해... 무서워...
(알람 소리)
아... 여기서 뛰면 죽겠죠?
하나... 하나... 아아... 하나...
하....
하나... 둘... 하나... 둘...
하나... 아아... 오르가즘 느껴져.
갈게요. 아... 간다? 간다?
투신 (비명소리[2])
투신 10분 후
(알람 소리)[3]
투신 15분 후
(알람 소리)
투신 16분 후 옥상에 올라온 경찰 관계자에 의해 라이브 방송이 종료되었다.
https://m.fmkorea.com/5685521855
https://www.google.com/am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304171633011/amp
보면서 한국 가정의 파탄이 진짜 상상이상이구나
일본 90년대 10대 소설같기도 하고
한국 하이퍼리얼리즘을 넘어선 선을 넘은 느낌같기도하고 진짜 각자도생 생존의 시기 같습니다
첫댓글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너무 가슴아프네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너무 안타깝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안타깝네요. 하지만 저런 건물위에서 뛰어내리면 아래에 서 있던 멀쩡한 사람도 같이 죽을 수 있어요.
참....이 상황 현실이라는 것이 믿기지가 않네요..씁쓸하고 무서운 세상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일본 만화 속 호러 스토리 같네요.
메타버스 속 가상게임 같기도 하고요.
현실과 가상 , 이생과 저생 과의 중간계.
삶의 종말도 엔드 게임 속 케릭터 처럼...
바람처럼 사라지네요.
게임 오버, 삭제..
(중심이 없는 삶에 구심점이 없으니 삶의 끈도 쉽게 놓지요.
부디 천국으로 천도되길 바랍니다.)
속이 너무 답답하고 목이 꽉 막히네요.
경쟁에 노출된 아이들의 피폐한 삶이 슬프네요.
아이 탓이 아닌데. 그 만의 특출한 재능과 능력이 있었을 텐데요.
개인으로서 존중 받지 못하고 잘 난 사람들의 들러리, 루저로 폄하 되면서
얼마나 아프고 상처 받았을까 요.
짧디 짧은 인생 마감하면서 아이는 무엇을 보여 주고 싶었을까요.
부조리, 불평등 ,비교 ,차별...
세상의 잣대가 1등이 아닌 개성을 인정하고 포용하는 삶이 되었으면 합니다.
한국 사회가 왜 이렇게 변화되고 무서울까요.
....................꽃봉우리도 피지 못하게 만들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