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il TR / Mold TR 비교표] |
|
|
|
▶ Type별 비교 |
유입식 변압기 대비 몰드변압기는 Size가 적어 공간 할용도가 높으며, 점검 및 유지보수가 간편함 |
|
항목 |
유입식 변압기 |
몰드 변압기 |
절연 종별 |
A종 |
B, F 종 |
권선 온도 상승한도 |
55℃ |
80℃, 100℃ |
정격 전압 |
765Kv 이하 |
33kV 이하 |
사용 장소 |
옥내, 옥외 |
옥내 |
연 소 성 |
가연성(인화점:130∼150℃) |
난연성 / 자기 소화성 |
폭 발 성 |
사고시 폭발 가능성 있음 |
비폭성 |
흡 습 성 |
개방형은 흡습하는 경우가 있음 |
흡습하지 않음 |
소 음 |
소 |
중 |
전력 손실 |
중 |
소 |
단락 강도 |
약하다 |
매우 강하다 |
절연 특성 |
안정 |
안정 |
유지보수 |
절연유의 여과 및 교환 |
진공청소기에 의한 청소 |
흡습 호흡기의 흡습제 교환 |
외관 점검 |
질소 가스통 교환 |
- |
(질소 봉입장치가 있는 경우) |
점 검 |
절연유의 누유 및 특성점검 |
코일 및 철심에 대한 외관점검 |
유면 높이 점검, 유온 점검 |
온도계의 지시치 관리 |
호흡기 변색 점검 |
- |
붓싱의 오손상태, 균열, 과열 점검, 절연저항 측정 |
절연저항 측정 |
|
▶ 권선 구조에 대한 비교 |
유입식 변압기의 열화에 의한 절연열화 현상 및 절연내력 파괴 위험성 대비 몰드 변압기는 위험이 적음 |
|
구분 |
유입식 변압기 |
몰드 변압기 |
열로 인한 열화 |
절연유의 산화,열 분해 등으로 절연유의 내압 저하 |
온도상승 초과시 절연물 열화 |
유기 고체 재료의 열 분해 에서 CO, CO2 발생 |
( 냉각팬 부착시 용량 30%증가 운전가능 ) |
흡습으로 인한 열화 |
절연유 및 고체절연물이 대기중 의 수분을 흡수, 절연 내력 및 기계적으로 파괴 |
- |
기계적 응력으로 인한 열화 |
단락 또는 순간적인 대전류에 의한 전자 기계력, 또는 이상 진동, 충격으로 인한 고체 절연물 또 는 구조물이 기계적으로 파괴 |
- |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열화 |
나금속 부분 과열,부분적 내부 아크 국부가열 등 간헐적이면서 빈번한 스트레스시 절연물 및 Oil 의 열분해 현상으로 절연열화 현상과 GAS가 발생 |
- |
|
▶ 옥내에 부속설비 등과 같이 밀집 설치하는 경우 |
유입식 변압기는 화재 및 사고시 폭발의 우려가 있으며 주변기기에 기계적 파급 및 누유 등 의 우려가 있으나 몰드변압기는 난연성, 비폭발의 특성을 가짐 |
|
구 분 |
유입식 변압기 |
몰드 변압기 |
사고 시 파급 영향 |
화재 발생으로 동일 옥내에 설치된 모든 기기에 사고영향이 파급되고 확대 될 수 있음 |
자기 소화성 절연물인 Epoxy를 사용 하므로 화재 사고시 주변 기기에 파급되지 않음 |
급격한 과부하 및 사고 시 차단기 미 동작 시 순간적인 압력 상승으로 폭발 가능성이 있음 |
폭발 가능성 없슴 |
절연유의 누유로 인하여 콘크리트 강도가 약해짐 |
환경 유해물질 (기름,Gas등)이 없음 |
구조가 복잡 하므로 반입, 반출이 어려움 |
구조가 간단하여 운반 및 설치가 간편함 |
첫댓글 몰드 변압기는 h종 건식 변압기라도 부리고 있습니다.참고 하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