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 정유/화학 정경희]
♣️ 화학: MEG 제품 약세 2023년 지속될 듯
1) MEG는 대표적 화학물의 하나로 PTA와 같이 Polyester Polymers를 생산하는데 쓰임
>> 중국 MEG 자급율은 2005년 23%. 2022년 103%에서 2023년 130%에 도달 예정. 순수출국으로 변화중
- 중국은 Polyester Polymers Downstream 제품부터 Upstream으로 자급율을 높이고 있음
- 현재 PTA까지 자국내 수요를 상회하는 Capa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앞단인 PX와 MEG의 자급율 증가중
- 2020년 글로벌 순수입 비중에서 중국은 32%로 1위였고, 2022년 글로벌 MEG 순수입 비중은 80%로 글로벌 전체 9.3백만톤의 대부분을 차지. 따라서 중국의 순수입량에 따라 글로벌 시황이 변동됨
2) 2023년 중국 MEG 수요 성장이 10%에 달해도 전년비 수입량은 약 3백만톤이 감소하는 수준으로 전망
- MEG는 최근 몇 년간 공급 증가, 특히 중국 중심 아시아에 집중된 증설로 아시아 Cash Margin이 2022년 약 $(380)/MT에 이를 정도로 시황이 악화되었음
- 이에 따라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업황가동율은 61% 수준의 약세가 이어질 전망
- 국내에서 MEG를 생산하는 화학사에는 대표적으로 롯데케미칼과 대한유화가 있음
▶️ 보고서: bit.ly/3lVnWYQ
감사합니다.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