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남산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
(慶州南山神仙 庵磨崖菩薩半加像)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 칠불암 뒤쪽의 높은 절벽에 새겨진 통일신라 후기의 마애보살반가상. 보물 제199호.
전체높이 190㎝. 절벽의 바위면을 주형의 감실처럼 얕게 판 안에 두광과 신광을 갖추고 반가부좌의 자세로 앉아 있는 마애보살상이다. 상 주변에 가구의 흔적과 기와편이 산재하고 있어 원래는 목조 전실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머리에는 삼면보관을 쓰고 눈·코·입이 명확하고 부드럽게 조각되었으며 은은한 미소를 띠고 있어 표정이 자비롭다. 두 볼은 통통하고 턱에는 살이 붙어서 풍만한 인상을 준다. 신체 비례는 어깨와 무릎의 폭이 넓은 편이어서 안정된 자세이며, 얇은 천의는 두 어깨 위에서 몸에 밀착되게 흘러내려 약간 비만한 몸체의 곡선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두 손은 가슴 앞으로 올려서 오른손에는 꽃가지를 들고 왼손은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있다.
오른발은 대좌 아래로 내려 연꽃 족좌를 밟고, 왼쪽 다리만 결가부좌하여 유희좌에 가까운 반가의 자세를 취하고 있다. 발 아래로는 평면적이지만 화려하고 장식적인 구름무늬가 표현되어 있어 마치 천상의 세계에 있는 보살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 같다. 상의의 옷주름과 대좌 위로 흘러내리는 주름선들은 이 구름무늬와 어우러져 반가상 전체표현에 생동감을 주고 있다. 광배는 상 전체를 감싸면서 약간 도드라지게 조각되어 있고 그 안에 3줄의 선으로 원형의 두광과 신광을 구분하였다.
이 반가보살상은 신체의 양감이 강조된 조각기법이나 섬세한 세부표현, 그리고 약간 평면적이면서 장식적인 면이 보이는 점 등에서 통일신라 전성기 조각양식이 형식화되어 가는 단계인 8세기 후반 또는 말경의 상으로 추정된다.(다움백과에서 전재)
1. 일출전 신선암 입구 능선갈림길에서
2. 신선암에서
3. 다시 신선암입구 능선갈림길에서
남산의 모든 사물들에 황금빛이 스며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