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회마을과 병산서원.
봉정사 보고나서
밥먹으로 갑니다.
안동에는.
간고등어, 헛제사밥. 그리고...


찜닭 먹으러 갑니다.

안동 시장이 재미난게 많네요.
시장에서 자유 식사시간 줘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여긴?

아마도
안동에서 제일 유명한...
맘모스제과점입니다.
예전에도 밥먹고 나서 아이들이 여기 언급하고 기어이 빵을 사왔던 기억이 있습니다.
오늘은 안동 안내가이드가 여기 코스로 돌아봅니다.

호불호가 갈린다는 찜닭.
내 테이블은 거의 다 먹었는데
많이 남긴 이들도 있더라구요.
그러기에 더욱 안동에선 자유식사도 고려해볼만한 일입니다.
안동역 앞에 차를 두고 시장을 찾았습니다.
시간 여유있길래 안동역 앞도 .

노래비가 떠억 버티고 있습니다.

"안동역에서"
아주 유명한 노래입니다.
물론 우리 친구들은 생소한 노래입니다만...

하회마을.
"우리 전통 대문은 안으로 열립니다."
"그런데 지금 아파트는 밖으로 열립니다. "
이 사실 하나 갖고도 많은 얘기를 할 수 있었습니다.

사람 천지이던데
어떻게 용케 사람없는 시간을 잡았네요.
안동의 골목길.
우리 전통길은 일직선이 없었습니다.
굽어진 대로.

안채 가림벽입니다.

판벽.
몇번을 안동을 찾았는데
담벼락에 대해서 알게 되었네요.


옛 우체통이랍니다.
지금도 사용한다고 하네요.
단지 편지를 안보내서 무용지물이지만...

여기도 꺼리가 좋은데
오늘은 안전점검으로 출입금지입니다.
우리 일행 셋 어머님들.

충효당.

글씨가 그림입니다.
한자는 그림으로 공부해도 재미가 솔솔합니다.

입암고택.
잘들 모아주셨네요.
하회마을 전통 이야기가 우리 아이들에겐 좀 힘든 코스입니다.
그럼 어떻게 풀어가야 할까...
숙제로 남았습니다.
아이들이 즐길수 있는 하회마을.
자료집을 보물찾기 식으로 만들어 볼 일입니다.
도전!!!
하회마을 숨겨진 보물찾기 미션 여행.
체험학습 동행과 함께~~~

돌아 나오는 길.

우린 먼저 부용대 보고 하회마을 돌았는데
하회마을을 먼저 보고 가야 더 흥미롭습니다.
부용대 오르는 한켠 옥연정사는
류성룡이 징비록을 집필했던 곳입니다.

부용대에서 내려다보는 하회마을.

저기 배를 타고 건너와도 되고
우리처럼 뒷길로 가도 됩니다.

그리고 별신굿탈놀이.

무대.

시작합니다.


할머니.

부네.

이매와 초랭이.

굿판을 끝내고
가면을 벗고서 무대인사중입니다.


병산서원
복례문.

복례문앞 16년 10월 29일 토요일.

여기 참 좋네요.
16년 7월 중순입니다.
아주 더웠던 날.
백일홍이 한창.

10월 29일의 만대루와 병산.

여긴 7월.

병산서원.
서원을 해설할땐 무슨 얘기부터 해야할까...
외부에 의뢰 해설하면 아이들이 힘들어합니다.
해설 주의사항. (저는 해설사의 자세나 기법 강의를 간혹 나갑니다.)
"해설은 자기가 아는 것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고
듣고 싶은 사람이 듣고싶은 얘기를 하는 것이다."
뭐 그렇습니다.
그래도 오늘 많이 배웠습니다.
함께 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첫댓글 병산서원이 그리 멋있다던데~~안동하회마을과 부용대~~만...
병산서원도 좋아요. ㅇ.
선생님^^~~안동 체험팀과 공유합니다
공유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