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읍내에 있는 유일한 국보(40호) 문화재; 정혜사지 13층석탑.
정혜사 터에 있는 13층 석답으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형태를 가졌다.
13층이라는 층수도 독특하고 2층부터는 10분의 1씩 축소한 것도 특이하다.
전체 높이 5.9m. 기단폭은 2m.
기단은 단층으로 막돌을 쌓았고 그위에 탑신을 세웠으며 상륜부는 없어졌다.
1935년 5월 24일에 국보 40호로 지정보호되었으며 안강읍내에 있는 유일한 국보급 문화재이다.
<백과사전 설명>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정혜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13층 석탑.
국보 제40호. 높이 5.9 m, 기단 너비 2.1 m.
신라 때 작품으로 유례를 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이다.
기단은 현재 단층 토축(土築)으로 고태(古態)를 보이고 있으나 이것이 어느 정도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초층 옥신은 특히 큰데, 사우(四隅)에 굵은 사각형 석주를 세우고 그 안에 양측으로 우주(隅柱)에 붙여 소주(小柱)를 세웠으며
그 위에 인방(引枋), 아래에 하방(下枋)을 걸쳤고 이러한 시설은 4면에 모두 같이 설치되었다.
초층 옥개석은 옥석(屋石)과 받침이 별석으로 옥석은 8석, 받침은 4석으로 되었으며 받침수는 3단이다.
옥개받침은 각층 3단으로 초층에서와 같고 상륜부는 노반(露盤)이 남아 있을 뿐이다.
탑은 보기드문 13층이며 초층에 비해 2층 이상이 일반적인 체감의 비례를 무시하고 줄어든 점 등,
특수한 형태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초층 옥신 4면의 감형(龕形) 개설과 아울러 기단도 통식에서 벗어난 특수 형태로 축조되었다.
관련자료: http://akjeil.new21.net [안강소식-지명유래-옥산리]
옛친구. 함께 청소년포교를 하던 부산 김 선생이 국보문화재를 보러 이곳까지 왔다.
국보도 소중하지만 친구가 더 반갑다.
전형적인 교사 타입
와 이래 살쪘소?
[법보] 안 만드니 이렇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