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탈출기 12,1-8.11-14
그 무렵 1 주님께서 이집트 땅에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씀하셨다. 2 “너희는 이달을 첫째 달로 삼아, 한 해를 시작하는 달로 하여라. 3 이스라엘의 온 공동체에게 이렇게 일러라.
‘이달 초열흘날 너희는 가정마다 작은 가축을 한 마리씩, 집집마다 작은 가축을 한 마리씩 마련하여라. 4 만일 집에 식구가 적어 짐승 한 마리가 너무 많거든, 사람 수에 따라 자기 집에서 가장 가까운 이웃과 함께 짐승을 마련하여라. 저마다 먹는 양에 따라 짐승을 골라라. 5 이 짐승은 일 년 된 흠 없는 수컷으로 양이나 염소 가운데에서 마련하여라. 6 너희는 그것을 이달 열나흗날까지 두었다가, 이스라엘의 온 공동체가 모여 저녁 어스름에 잡아라. 7 그리고 그 피는 받아서, 짐승을 먹을 집의 두 문설주와 상인방에 발라라. 8 그날 밤에 그 고기를 먹어야 하는데, 불에 구워, 누룩 없는 빵과 쓴 나물을 곁들여 먹어야 한다.
11 그것을 먹을 때는, 허리에 띠를 매고 발에는 신을 신고 손에는 지팡이를 쥐고, 서둘러 먹어야 한다. 이것이 주님을 위한 파스카 축제다. 12 이날 밤 나는 이집트 땅을 지나면서, 사람에서 짐승에 이르기까지 이집트 땅의 맏아들과 맏배를 모조리 치겠다. 그리고 이집트 신들을 모조리 벌하겠다. 나는 주님이다. 13 너희가 있는 집에 발린 피는 너희를 위한 표지가 될 것이다. 내가 이집트를 칠 때, 그 피를 보고 너희만은 거르고 지나가겠다. 그러면 어떤 재앙도 너희를 멸망시키지 않을 것이다.
14 이날이야말로 너희의 기념일이니, 이날 주님을 위하여 축제를 지내라. 이를 영원한 규칙으로 삼아 대대로 축제일로 지내야 한다.’”
제2독서 1코린토 11,23-26
형제 여러분, 23 나는 주님에게서 받은 것을 여러분에게도 전해 주었습니다. 곧 주 예수님께서는 잡히시던 날 밤에 빵을 들고 24 감사를 드리신 다음, 그것을 떼어 주시며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너희를 위한 내 몸이다. 너희는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 25 또 만찬을 드신 뒤에 같은 모양으로 잔을 들어 말씀하셨습니다. “이 잔은 내 피로 맺는 새 계약이다. 너희는 이 잔을 마실 때마다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
26 사실 주님께서 오실 때까지, 여러분은 이 빵을 먹고 이 잔을 마실 적마다 주님의 죽음을 전하는 것입니다.
복음 요한 13,1-15
1 파스카 축제가 시작되기 전, 예수님께서는 이 세상에서 아버지께로 건너가실 때가 온 것을 아셨다. 그분께서는 이 세상에서 사랑하신 당신의 사람들을 끝까지 사랑하셨다.
2 만찬 때의 일이다. 악마가 이미 시몬 이스카리옷의 아들 유다의 마음속에 예수님을 팔아넘길 생각을 불어넣었다. 3 예수님께서는 아버지께서 모든 것을 당신 손에 내주셨다는 것을, 또 당신이 하느님에게서 나왔다가 하느님께 돌아간다는 것을 아시고, 4 식탁에서 일어나시어 겉옷을 벗으시고 수건을 들어 허리에 두르셨다. 5 그리고 대야에 물을 부어 제자들의 발을 씻어 주시고, 허리에 두르신 수건으로 닦기 시작하셨다.
6 그렇게 하여 예수님께서 시몬 베드로에게 이르시자 베드로가, “주님, 주님께서 제 발을 씻으시렵니까?” 하고 말하였다.
7 예수님께서는 “내가 하는 일을 네가 지금은 알지 못하지만 나중에는 깨닫게 될 것이다.” 하고 대답하셨다. 8 그래도 베드로가 예수님께 “제 발은 절대로 씻지 못하십니다.” 하니, 예수님께서 그에게 대답하셨다.
“내가 너를 씻어 주지 않으면 너는 나와 함께 아무런 몫도 나누어 받지 못한다.”
9 그러자 시몬 베드로가 예수님께 말하였다. “주님, 제 발만 아니라 손과 머리도 씻어 주십시오.”
10 예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목욕을 한 이는 온몸이 깨끗하니 발만 씻으면 된다. 너희는 깨끗하다. 그러나 다 그렇지는 않다.” 11 예수님께서는 이미 당신을 팔아넘길 자를 알고 계셨다. 그래서 “너희가 다 깨끗한 것은 아니다.” 하고 말씀하신 것이다.
12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의 발을 씻어 주신 다음, 겉옷을 입으시고 다시 식탁에 앉으셔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내가 너희에게 한 일을 깨닫겠느냐? 13 너희가 나를 ‘스승님’, 또 ‘주님’ 하고 부르는데, 그렇게 하는 것이 옳다. 나는 사실 그러하다. 14 주님이며 스승인 내가 너희의 발을 씻었으면, 너희도 서로 발을 씻어 주어야 한다. 15 내가 너희에게 한 것처럼 너희도 하라고, 내가 본을 보여 준 것이다.”

제가 명동에 가게 되면 꼭 가는 음식점이 있습니다. 아주 맛 좋은 순대국밥 집이지요. 사장님께서 직접 만든 이 순대는 다른 곳에서는 맛보기 힘든 고유의 독특한 맛이 있습니다. 그래서 무척이나 좋아하는 곳입니다.
언젠가 어떤 신부님께서 자기 명동에 갈 일이 있는데, 혹시 어디서 점심을 맛있게 먹을 수 있느냐고 묻는 것입니다. 저는 당연히 이 집을 소개했지요. 그런데 나중에 들은 이야기는 왜 그런 집을 소개해줬냐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깜짝 놀라서 “맛이 없어요?”라고 물었지요. 이에 너무나 불친절하다는 것이었습니다.
하긴 그 집이 친절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제게 물어본 질문은 친절한 집이 어디냐는 것이 아니었거든요. 그보다는 ‘맛있는 집이 어디냐?’는 것이었지요. 그래서 맛있는 집을 소개한 것인데, 불친절하다는 이유를 대며 제게 왜 이 집을 추천했냐고 물으면 제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제가 정말로 잘못한 것일까요?
이때의 일이 떠올려지면서 어쩌면 우리 모두는 많은 답을 원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한 가지 질문에 대해 여러 가지의 답이 합해져야만 정답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지요. 맛 집이다 하면 맛은 기본이고, 친절하고, 깨끗하며… 각종 조건들을 다 만족해야만 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맛 집하면 맛 좋은 것만으로 충분할 수 없는 건가요?
맛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단점들을 찾을 수밖에 없어 불만이 늘어나고 불평할 수밖에 없습니다. 어쩌면 행복도 그렇지 않을까요? 너무나 많은 조건들이 채워져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이미 온 행복을 깨닫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요? 그리고 이미 다가온 행복에 대해서도 부족하다며 불평불만을 던지고 있는 것이지요.
오늘은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 그리고 부활에 대한 파스카 신비를 기념하는 성삼일의 시작인 주님 만찬 성목요일입니다. 당신께서 잡히시던 날 밤에 제자들과 함께 최후의 만찬을 나누면서 성체성사를 제정해주십니다. 이는 사랑의 성사로서 당신의 온전한 희생으로 우리에게 주어진 커다란 은총인 것이지요. 이것만으로도 충분한데 우리들은 마치 베드로가 “주님, 제 발만 아니라 손과 머리도 씻어 주십시오.”라고 말하는 것처럼 이것저것을 계속해서 청할 뿐입니다. 즉, 자신이 원하는 것들이 다 이루어져야만 행복할 수 있다며 주님께 협박(?)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었을까요? 그러나 주님의 사랑만으로도 우리는 충분히 행복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그 사랑을 보여주시며 이렇게 말씀하시지요.
“내가 너희에게 한 것처럼 너희도 하라고, 내가 본을 보여 준 것이다.”
주님의 사랑만 받아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우리 역시 그 사랑의 힘으로 사랑을 실천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사랑을 실천하는 사람만이 진정으로 행복했습니다.
아무도 사랑하는 방법을 가르쳐주지 않는다. 사랑이란 우리의 생명과 같아서 날 때부터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다(F.M.밀러).
어제 백석 하늘의 묘원을 다녀왔습니다. 한식위령미사가 있었거든요. 죽음에 대한 묵상을 해봅니다.
조금만 바뀌어도 행복할 수 있는 세상
겨울은 추워서 운동하기가 상당히 힘듭니다. 또한 몸도 많이 게을러지지요. 그래서일까요? 이번 겨울 동안 체중이 차곡차곡 늘어서 난생 처음으로 갖게 된 몸무게 89Kg을 찍었습니다. 그래서 지난 3월부터 아침마다 열심히 운동을 하기 시작했으며, 저녁에는 술자리를 피하고 최대한 소식을 하려고 노력했지요. 조금씩 체중이 빠지기 시작하더군요. 그리고 드디어 어제 84Kg대를 찍었습니다. 너무나 기분이 좋았습니다.
사실 그저께에 비해서 갑자기 많이 빠진 것도 아닙니다. 그저께 85.1Kg, 어제는 84.9Kg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도 기분은 너무나 좋은 것입니다. 단지 200g 차이인데 말이지요. ‘200g은 화장실 한 번만 다녀오면 바뀔 수 있는 몸무게’인데도 말입니다.
조금만 바뀌어도 이렇게 기분이 좋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들이 그토록 원하는 행복 역시 쉽게 얻을 수 있지 않을까요? 즉, 내가 조금이라도 변화되도록 노력한다면 그리고 그 변화가 긍정적인 변화라면, 작은 변화에도 행복할 수 있는 것입니다.
너무 큰 것만을 원하려고 하지 마십시오. 그러면 작은 것의 행복을 깨닫지 못하니까요.
|
|
첫댓글 오늘도 새벽을 열며 반성합니다
사소한 불만족의 시작으로 눈덩이가 되어버리는 미움과 불만족인 시간들!
그로인해 제 마음도 아파왔음을
오늘 말씀 듣고, 다시금 작은행복이 내게
큰 행복으로 전해져 옴을 깨달으며 생활하는
감사한 시간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신부님 감사합니다^^
아멘 ! 감사합니다. 신부님 작은것에 만족하고 진정한 행복을 느낄수있도록 노력 하며 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주님께서 주시는 행복을 찾으려는 시각으로 오늘 하루 살겠습니다. / 신부님 그저 뵙기에는 60 킬로 대로 보이십니다. ^^
감사히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0^
작은 것 이라도 감사하며 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원한생명을주시는주님`사랑과진실이저의내면에서`움직이는빛의날이길~~감사하며삶을
사랑할것입니다~좋은날되십시요
주님 성체성사를 마련해 주신 주님께 감사드립니다. 아멘.
사랑으로 살 수 있는 삶이기를 ...열심히 노력합니다.~~ 감사합니다.^^*
생각을 조금만 바뀌어도 행복이 너울너울 찾는다는 것을 머리는 알고 있으면서도 실행하기는 참으로 힘이듭니다. 오늘 하루만이라도 긍정적인 생각으로 하루를 살아야겠지요?
일상의 작은 것들이 얼마나 소중하게 다가오는지 모르겠습니다. 주님께서 허락하신 오늘 하루 주님 안에서 행복을 찾고 그 마음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
실천하는 사랑..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아멘.
신부님의 강론 말씀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세요
감사합니다.
신부님...감사합니다^^^ 오늘도 저의 작은 실천에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합니다.
꾸벅~~
감사합니다..
네, 신부님
작은 일에 만족하며 행복을 찾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님만찬 성목요일... 오늘은 모든 신부님의 날이기도 하지요
신부님 좋은일만 가득하세요
저도 겨우내 차곡차곡 쌓인 몸무게 때문에 요즘 바짝 긴장하고
자전거 타기시작 했답니다.
신부님 화이팅 하세요.^^
신부님 감사합니다...^^* 작은것의 행복... 새기고 갑니다...
아멘
긍정의힘을 믿습니다
신부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