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볶이
- 가래떡에 채소 등을 넣어 볶거나 끓인 음식.
고려시대에도 즐겼던 음식으로 보이며 15세기 이후 여러 문헌에 다양한 형태로 소개되어 있으나,
고추장을 넣어 매운 맛을 기본으로 하는 떡볶이는 한국전쟁 이후 발달한 요리로 보인다.
양념의 재료에 따라 고추장 떡볶이, 궁중 떡볶이 등으로 나뉘어지며,
조리법에 따라서는 국물 떡볶이, 기름 떡볶이 등도 있다.
튀김이나 순대, 김밥, 어묵 등을 곁들여 먹는다.
떡볶이의 유래
- 옛 문헌에는 떡볶이가 '병자(餠炙)'라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 중기인 1469년 전순의가 쓴 의서인 <식료찬요(食療纂要)>에는 떡에 고기와 고추를 넣고 만든 음식을
'병자'라고 했으며, 1896년에 쓰인 조리서 <규곤요람(閨壼要覽)>에도 '병자'가 소개되어 있다.
은진 송씨 가문에서 19세기에 편찬하여 전래되고 있는 한글 서적인 <주식시의(酒食是儀)>에는
떡볶이가 부식 가운데 하나로 소개되어 있고, 19세기 말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리서인 <시의전서(是議全
書)>에는 떡볶이를 찜처럼 만드는 음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방신영이 1939년 근대식 조리법 책으로 편찬한 <조선요리제법(朝鮮料理製法)>에도
전통음식의 하나로 소개되어 있다.
[Daum백과]
깔끔하고 담백한 간장 소스와
쫀득쫀득한 조랭이떡의 만남!
오늘은 궁중떡볶이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고추장을 사용하지 않아
자극적이지 않은 궁중떡볶이!
우리 시니어분들 많이 좋아하시죠?
남아있는 떡과 채소들로 간단하게 휘리릭~
맛있는 궁중떡볶이 드셔보세요~
짭쪼름한 고기가 떡과 야채와 함께 어우러진 그 맛 !
궁중떡볶이 황금레시피입니다.
집에서 손쉽게 한끼 든든한~ 간식을 만들어보세요.
자세한 설명은 동영상을 참고해주세요.
[재료]
떡볶이 떡 500g
갈은 소고기 200g
표고 100g
양파 100g
파프리카 100g
대파 초록부분 ½대
*떡볶이 밑간
양조간장 1Tbs
참기름 1Tbs
*양념장
양조간장 1Tbs
굴소스 1Tbs
참기름 1Tbs
설탕 1Tbs
간마늘 1Tbs
다진대파 1Tbs
후춧가루 약간
*계량도구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Tbsp: Tablespoon(15ml)
tsp: teaspoon(5ml)
1컵(C)= 200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