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나무들에 대한 예의 / 곽흥렬
오일장이 서는 날이다. 요즈음 들어 장날이면 재래시장 구경하는 재미에 푹 빠져 지낸다. 오늘도 다음 장도막까지 쓸 거리를 사고 바람도 쐴 겸 산책 삼아 읍내 나들이에 나섰다.
조붓한 주택가를 돌아서 장판으로 막 들어서려던 참이었다. 맞은편에서 삼십 대 후반 아니면 사십 대 초반쯤으로 보이는 두 여인이 두런두런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걸어오고 있다. 그 가운데 한 여인인 길가에 면한 집 마당의 매화를 보고는 자지러지듯 감탄사를 쏟아낸다.
"하이고야! 벌써 꽃이 피었네. 벚꽃인가?"
옆에서 듣고 있던 다른 여인이 "어데? 어데?" 하며 꽃나무 쪽으로 눈길을 보낸다.
"아이다. 살구꽃이다. 아니 복사꽃 같기도 한데…"라고 깔깔거리며 지나쳐 간다
2월 하순, 아직은 겨울의 끝자락이니 벚꽃이 피었을 리라 만무하다. 살구꽃이야 그렇다 쳐도 벚꽃이 개화하려면 짧아도 한다, 게다가 복사꽃을 보려면 또 그러부터 한 열흘 가량을 더 기다려야 한다.
평소 꽃나무들에 대해 얼마나 무관심하고 무신경하게 살아왔으면 2월에 핀 매화를 보고 4월 꽃인 벚꽃이니 살구꽃이니 하는 소리를 꺼내고 있을까. 매화가 속으로 "으이구. 이 한심한 여편네들아. 남의 이름을 함부로 불러도 유분수지." 하고 나무랄지도 모를 일이다. 나 역시 매화하고 똑같은 마음이 되어 혀가 끌끌 차인다. 두 여인의 대화를 가만히 곱씹고 있으려니 나의 이야기로 생각이 옮겨간다.
내 이름은 일어날 흥興자 매울 렬烈 자를 써서 '흥렬'이다. 그런데 지인이나 사회활동 관계로 만나는 사람 중에 가운데 글자인 '흥'을 '홍'으로 읽어 '홍렬'이라고 부르는 이들이 심심찮게 있다. 한글로 표기해 놓았을 때 얼핏 보면 일쑤 '흥'과 '홍'이 헷갈리는 모양이다. 그렇다고 하여 한글세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지금 세상에서 늘 한자로 적어 둘 수도 없는 노릇 아닌가. 일어날 흥 자를 아예 읽어내지 못하는 부류가 태반이기 때문이다.
고전소설 「흥부전」에서의 흥부를 보거나 우리 민족의 애창 가곡인 <바위고개>의 작곡가 이흥렬 선생하며 한국의 피카소로 불렸던 김흥수 화백 등등의 경우만 보더라도 사람 이름에 '흥' 자가 '홍' 자에 비해 그다지 적게 쓰이진 않는 성싶은데, 그들은 왜 주의 깊게 살피지 않고 흥을 홍으로 읽어버리는지 아무리 헤아려 보아도 그 연유를 모르겠다.
어쨌든 매화를 두고서 벚꽃이니 살구꽃이니, 심지어 복사꽃으로까지 이야기하는 예의 그 여인들처럼 남의 이름을 아무렇게나 불러대는 것 같아 기분이 썩 개운치가 못하다.
이름을 부르더라도 좀 제대로 불러야 할 것이다. 멀쩡한 자기 이름을 놔두고 엉뚱한 이름으로 호칭한다면 어느 누구인들 좋은 마음이 들 리가 있겠는가.
꽃나무들의 이름을 처음부터 잘 아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세심히 살피면 그들의 앞가슴에 달린 무형의 명찰이 눈에 들어오게 되어 있다. 그러기에 이름을 정확히 안다는 것은 그것에 대한 예정의 다른 표현 일지다.
어디 꼭 꽃나무뿐이랴. 무엇이든 아는 만큼 보이는 것이고, 또한 관심과 사랑으로 대하면 그 대상이 스스로 말을 걸어오게 되어 있다고 하지 않던가. 매일같이 주머니에 들어올 돈이나 헤아리고, 오늘은 뭐 맛있는 거 해 먹을까 내일은 어디 가서 무엇으로 재미나게 놀까 그런 궁리만 할 줄 알았지 공원의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에 관심을 둘 줄은 모르는 지극히 속물주의적인 삶을 되풀이해 온 결과는 아닐는지…
숨 가쁘게 돌아가는 세상사에서 비록 세세하게 많이는 모른다 할지라도,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는 꽃나무들만이라도 관심을 갖고 이름을 익혀 두었으면 한다. 그것이 항싱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로 향기를 선사하는 그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