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을 섬기는 도리’와 ‘마음의 수양’
조선 중기 명신 백강 이경여 선생의 사상은 “하늘을 섬기는 도리(道理)”와 “마음의 수양(修養)”으로 집약할 수가 있다.
이는 오늘날까지의 모든 종교 철학을 아우르는 큰 가르침을 제시하신 것으로 생각되어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당대에 수많은 학자들이 이기일원론과 이원론, 사단칠정론 등 수많은 설을 주장했으나, 이는 진리의 일부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것이 참 진리라고는 하기는 어려운데, 백강 선생의 이 가르침은 오늘날의 모든 철학은 말할 것 없고, 기독교, 불교, 이슬람교, 유교의 교리를 다 아우르는 큰 가르침을 볼 수가 있는 것이다.
1631년(인조 9년) 10월 백강 이경여 선생 등이 “하늘을 섬기는 도리(道理)”를 가장 강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차(上箚) 하였다.
“임금은 높은 지위에 있고 무엇이든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니, 두려워 할 것은 하늘뿐입니다. 하늘은 이치이니, 한 생각이 싹틀 때 이치에 합하지 않으면 이는 하늘을 어기는 것이고, 하나의 일을 행할 때 이치를 따르지 않으면 이는 하늘을 소홀히 여기는 것입니다. ··· 정성으로 하늘을 섬기면 천명(天命)이 계속 아름답게 내려지지만 하늘을 어기고 이치를 거스르면 그 천명이 영원히 끝나는 것입니다. 그런데 하늘의 마음은 인자하여 차마 갑자기 끊어버리지 못하니, 반드시 재이(災異)를 내려 견책한 뒤 흐리멍덩하게 깨닫지 못하여 끝내 고치지 않은 다음에야 크게 벌을 내리는 것입니다 ··· 하늘이 멸망시키거나 사랑하여 돕는 것은 공경과 불경(不敬), 정성과 불성(不誠)에 달려 있을 뿐입니다. ··· 좋아하고 미워함을 사사로운 정(情)에 따르므로 상하가 막혔으니, 하늘의 노여움이 그치지 않는 것을 이상하게 여길 게 없습니다. 재앙이나 복은 자신이 초래하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삼가 원하건대 전하께서는 몸을 기울여 덕을 닦으소서. 심술(心術)의 은미한 곳으로부터 궁정의 사람 없는 곳과 동작하고 이야기하는 사이에 이르기까지 삼가 공순하고 공경히 두려워하지 않음이 없게 하소서. 천명을 스스로 헤아려 천리(天理)로써 보존하고 자연의 법칙으로써 움직여, 공경하고 조심스럽게 하기를 마치 효자가 어버이를 섬길 때 힘써 성의(誠意)를 쌓아 기필코 즐겁게 되시도록 하는 것과 같이 하소서.”
백강 이경여 선생이 “하늘을 섬기는 도리”를 이처럼 강조한 것은 하나님의 섭리와 가르침 그리고 자연의 이치를 두루 아우르는 진리 그 자체를 삶의 기준으로 할 것을 말한 것으로 생각된다.
기독교의 가르침도 한마디로 줄이면 “하늘을 섬기는 도리”로 볼 수가 있는 바 이는 다음과 같이 축약하여 말할 수가 있을 것이다.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로 죄(罪)사함을 받고 영생(永生)을 얻은바, 이제는 늘 하나님의 말씀을 주야로 묵상하고 기도하여 시냇가에 심은 나무처럼 늘 푸르러 하늘의 복(福) 있는 자가 되고, 성령(Holy Spiriy)의 인도하심으로 열매 맺어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을 닮아가고, 받은 하나님의 사랑을 예수의 인격으로 정제(淨濟)하여 크고 작은 일들을 이행하며, 나아가 이웃에게 봉사하고 그 사랑과 도(道)를 전파하는 일들에 무엇보다 최선을 다해야한다. 이러한 모든 일들의 뿌리기 됨은 ‘사랑’이니 오직 하나님을 사랑하고, 우리의 이웃들도 제 몸처럼 사랑하며 나아가 우리 자신의 생명도 소중히 여겨야 한다. 이러한 복된 일들을 이루어 가려면, 날마다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하고 성령의 인도하심을 구하며 기도하여야한다. 이를 소홀히 하면 우리도 부지부식(不知不識)간에 잘못되어 하나님이 기뻐하지 아니하시는 모습으로 전락하여 큰 화(禍)를 당할 수 있음을 명심하여야한다.”
다음으로 “마음의 수양(修養)”에 대하여 백강 이경여 선생은 효종대왕에게 성심(聖心)을 기르는 것을 가장 소중한 일로 여기라고 하면서, 신독(愼獨) 즉 ‘홀로 있을 때라도 마음가짐과 행동이 도리(道理)에 어그러짐이 없어야 할 것’을 가장 소중한 덕목으로 지킬 것을 말씀하였다.
그는 말하기를 “대개 본심이 지켜지지 않으면 덥지 않아도 답답하고 춥지 않아도 떨리며 미워할 것이 없어도 노엽고 좋아할 것이 없어도 기쁜 법이니, 이 때문에 군자에게는 그 마음을 수양하는 것보다 중대한 것이 없는 것입니다. ··· 마음의 수양이 어찌 일조일석에 되는 것이겠습니까. 정자(程子)는 말하기를 ‘천덕(天德)·왕도(王道)는 그 요체가 홀로 있을 때에 삼가는데 있을 뿐이다’라고 하였습니다. 홀로 있을 때를 삼가지 않아서 유암(幽暗)하고 은미(隱微)한 데에 문득 간단(間斷)되는 곳이 있다면 어떻게 날로 고명(高明)한데에 오르겠습니까<효종4년 1653년 7월2일 백강 이경여 상공 ‘재변(災變)극복을 위한 상차문(上箚文)’에서>”라고 하였다.
아울러 백강 이경여 선생은 사람의 마음이 가장 소중하다고 보아 학문을 하는 목적으로 민심(人心)을 바르게 살필 것을 가장 강조하여 다음과 같은 시를 남겼다.
學貴多聞 且闕疑 升高致遠 有前期(학귀다문 차궐의 승고치원 유전기)
千塗萬轍 同歸一 要把人心 戒入危(천도만철 동귀일 요파인심 계입위)
학문은 많이 듣고 널리 물어 의아(疑訝)한 것을 아는데 귀함이 있는 것이니, 그 배움이 높고 멀리 이르고자 하면 먼저 기약함이 있어야 한다.
학문하는 길은 천 가지 길과 만 가지 수레바퀴가 있으나 궁극은 하나이니, 반드시 민심(人心)을 옳게 파악해서 위험한 길에 들지 않도록 경계해야 하는 것이다.
한편 성경은 생명의 근원이 사욕(私慾)을 극복하는 ‘마음’에 있다고 보아 잠언 4장 23절에서 ‘모든 지킬 만한 것 중에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라고 하였으니 이는 ‘마음의 수양(修養)’을 최고의 덕목으로 본 것인데 이것은 궁극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마음을 닮으라는 것으로 귀결된다. 기독교의 가르침의 핵심은 신도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마음과 인격과 성품을 닮으라는 것으로 귀결되는 것이니 이로써 천국에 들어갈 수 있게 하라는 것이다.
아울러 이 “마음의 수양”이 얼마나 중요한 가를 보여주는 글을 소개한다.
“하버드 의과대학의 스티브 교수가 마음과 질병에 대한 책을 썼다. 내용인즉 마음가짐에 따라 병이 낫고 안 낫는 결과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남을 미워하는 마음, 원망하는 마음, 해치려는 마음을 품고 있는 사람은 병에 걸리기 쉽고 병에 걸린 후에도 잘 낫지를 않는다는 것이다. 반면에 누군가를 도와주려 하고 사랑하고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다른 사람을 도우려는 사람은 병에 잘 걸리지를 않고 또 병에 걸렸더라도 잘 낫는다는 것이다. 마음가짐에 따라 건강이 달라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마음가짐에 따라 경제 역시 달라진다. 가난하게 사는 사람은 가난하게 살 수 밖에 없는 마음가짐을 지니고 있고 부요하게 사는 사람은 그렇게 살게 되는 마음가짐을 지니고 있다. 이때의 부(富)에는 부동산 투기를 해서 쌓은 부나 권력과 밀착하여 얻은 부는 제외된다. 정상적인 방법으로 정직하게, 부지런하게, 창조적으로 얻은 부를 일컫는다. 열심히 일하고 절약하고 저축하며 부요하게 살아가는 사람은 그렇게 되는 마음가짐이 있기 마련이다.”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웨버(Max Weber)도 이에 대하여 썼으니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이란 제목의 책이다. 이 책에서 그가 쓰기를 비종교인들에 비하여 종교인들이 경제적으로 더 안정되고 부요하고, 종교인들 중에서도 타 종교인들에 비하여 크리스천들이 훨씬 빠르게 경제적으로 성공한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같은 크리스천들 중에서도 천주교 신자들 보다는 개신교 신자들이 훨씬 더 빠르게 경제적으로 성공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그렇게 되는 이유를 그는 그 책에서 실감나게 분석하고 있다. 바로 마음가짐 탓이란 것이다. 그리고 그런 마음가짐은 성경의 가르침 특히 생활의 윤리가 실생활의 밑바탕이 되어 있기 때문이라 지적하고 있다.
2024. 2.14. 素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