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 모닝브리프: 삼성SDI,에코프로비엠,DL이앤씨,네오위즈
▶️삼성SDI (006400): 매수(유지) | TP: 1,050,000원(상향) : 빨라지는 증설 속도, 이제 저평가 이유 없다 (Analyst 조철희)
- 수주 행보가 공격적으로 바뀜. 내실(수익성) 위주의 수주전략으로 보수적인 성장 전략을 펼쳐왔었지만, 2022년 하반기부터 자의든, 타의든 수주 행보가 공격적으로 변함. 전략 변화의 배경에는;
1) IRA로 2차전지 회사들의 협상력이 제고돼 수주 타겟 영업이익률이 10% 이상으로 높아졌고,
2) EBITDA보다 낮은 CAPEX를 진행해왔기 때문에 경쟁사들 대비 상대적으로 자금 여력도 있으며,
3) 차세대 모델 개발(원통형 46파이 전지, 중대형 Gen 6 전지)로 수주 물량을 확보해야 하는 필요성도 높음
- 증설 속도, 이제는 남들만큼 빨라지고 느린 성장에 대한 우려가 빠르게 해소될 것. 2026년 예상 capa(원통형+중대형)를 기존 170GWh에서 230GWh로 상향
=> 이는 22년말부터 연평균 30%(기존 21%)가 늘어나는 것. 기존대비 60GWh 추가 상향의 근거는
최근 언론에 보도된 것처럼 GM(MOU 체결 가능성), Volvo(수주 논의 중), BMW 등으로부터 올해 추가 수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임
=> 현재 수주 시 설비 가동 시작 시점은 2026년이 될 것. 향후 4년간의 생산설비 CAGR은 주요 2차전지 회사들(LG에너지솔루션, CATL, SK온) 추정 평균인 29%와 유사
- 목표주가를 105만원(SoTP)으로 23.5% 올림. 수주모멘텀을 근거로 2차전지 사업부에 적용한 EV/EBITDA multiple을 기존 17.5배에서 21.8배(LG에너지솔루션, CATL의 평균 multiple)로 상향
=> 삼성SDI를 포함한 국내 회사들은 향후 5년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미국 2차전지 시장의 최대 수혜가 예상
=> 참고로 중국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던 2018~2021년 CATL의 12MF EV/EBITDA multiple은 평균 20.3배(13~43배)였음
- 리포트 링크: http://bit.ly/3YuNPwl
▶️에코프로비엠 (247540): 매수(유지) | TP: 250,000원(상향) : 판매량 강세와 계약 체결 기대감의 합작품 (Analyst 김정환)
- 에코프로비엠에 대해 매수의견을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25만원으로 79% 상향
=> 23년 목표 PER을 기존 50배에서 72배(양극재 peer 기업 포스코케미칼의 20~21년 12MF PER 평균)로 높였고, 추정 EPS는 14% 상향
=> 주가는 올해 들어 127% 상승했는데 삼성SDI 등 고객사의 신규 투자 계획 구체화 및 장기 공급 계약 체결 기대감 상승 때문
=> 이러한 변화는 26년 이후의 이익 추정치 상향 및 뚜렷해진 이익 증가 가시성으로 높은 multiple 부여를 정당화
=> 이익 추정치 상향의 근거는 가팔라진 삼성SDI의 전기차용 2차전지 탑재량 증가세(1월 +53% YoY), SK온의 올해 전지 출하량 가이던스의 반영 때문
=> 다만 2차전지 양극재 및 원재료의 가격 하락 전환과 1~2월 전기차 판매 증가율 둔화로 업황이 강세라 단언할 수 없고 올해 이익 컨센서스가 하향되고 있다는 점은 위험 요인
- 2023년 추정 매출액은 7.4조원, 영업이익은 5,104억원으로 각각 기존 대비 19%, 16% 상향
=> 양극재 출하량은 전년대비 66% 증가, 전기차용 한정으로는 114% 증가할 전망. 1분기말부터 판가가 하락한다는 전망은 유지
=> 출하량 상향의 근거는 삼성 SDI의 공격적인 북미 투자와 SK온의 포드 F-150 라이트닝 생산 가속화로 양극재 판매가 강세인 점을 반영
- 하이망간 양산과 신규 고객 유치가 추가적인 주가 상승의 key. 에코프로비엠의 추가적인 주가 상승 내지 peer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기 위해선 점유율의 상승이 수반되어야 할 것
=> 점유율 상승을 위한 첫번째 방법은 하이망간 양극재 양산. 회사는 망간 비중을 늘린 NMX, OLO 등의 양극재를 출시할 계획인데 이는 하이니켈과 LFP의 중간 성격의 제품이고,
=> 따라서 하이니켈 탑재가 어렵고 높은 니켈 비중을 낮춰야하는 전기차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일 수 있음
=> 두번째는 미국과 유럽의 기업 중 2차전지 셀을 자체 생산하려는 신규 고객의 확보. 헝가리 공장과 북미 공장 투자로 기존 고객(삼성SDI, SK온)이 아닌 신규 고객을 확보한다면 점유율 상승이 예상
- 리포트 링크: http://bit.ly/3F7BYxi
▶️DL이앤씨 (375500): 매수(유지) | TP: 48,000원(유지) : 대형 플랜트 공사 연달아 수주, 수긍하는 매출액 목표 (Analyst 강경태)
- 샤힌 프로젝트 공사 범위 조정으로 1.4조원 규모 플랜트 공사 수주. 현장은 S-Oil의 Shaheen(이하 샤힌) 프로젝트
=> 샤힌은 울산 온산국가산업단지 내 S-Oil 부지에 고부가가치 석유화학제품 생산시설을 구축하는 프로젝트이며,
=> 공사 범위에 따라 3개 패키지로 구성. 총 사업비는 9.3조원이며, 직접 투자(EPC) 금액만 7.7조원에 달하는 대형 공사
=> 지난해 1번 패키지에 포함된 특정 공사에 대해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DL이앤씨에 계약자 지위를 양도. 3월 8일부로 현대건설은 계약금액 정정, DL이앤씨는 신규 수주 내역을 공시
- 플랜트 실질 수주잔고 3.8조원, 올해 2월 초에 회사가 제시한 2023년 플랜트 부문 매출액 목표 1.4조원(+51.3% YoY)은 무난하게 달성될 것
=> 2월 22일에 공시한 해외 화공플랜트 공사 수주 소식과 더불어 공사비 1.4조원에 달하는 샤힌 현장까지 더해지며 실질 수주잔고 3.8조원 이상으로 증가
=> 3월 9일 울산 샤힌 현장 기공식 이후 기성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 올해 감소하는 주택 부문 매출액은 플랜트 부문에서 모두 보완할 것
- 플랜트 부문 성과와 더불어 단계별 PF 관련한 위험을 대부분 헷지하고 사업을 시작하는 DL이앤씨에 대해 목표주가 48,000원과 최선호주 의견 유지
- 리포트 링크: http://bit.ly/3JnLHSK
▶️네오위즈 (095660): N/R : 컨퍼런스 후기: 느껴지는 변화 (Analyst 정호윤)
- 2023년 최대 기대작인 P의 거짓 출시가 8월로 정해진 가운데, 개발의 마무리 작업과 스팀 및 콘솔 플랫폼에 대한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음
=> P의 거짓 판매가격은 65,000원으로 엑스박스는 게임패스에 포함(계약금 150억원)되고 스팀과 플레이스테이션에서는 패키지판매로 매출이 발생할 예정
=> P의 거짓 출시 이후 확장팩과 IP를 활용한 신작을 출시할 전망이며, 2024년은 던만추 IP를 활용한 신작 출시를 준비하고 있음
- 올해 게임섹터 중소형주는 네오위즈에 주목해야한다고 판단
=> 23년에는 다수의 신작 출시로 안정적인 매출 성장을 기대. 현재 밸류에이션이 시장 컨센서스 기준 12.9배로 부담이 적으며 P의 거짓 또한 시장 기대치 이상의 흥행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음
- 리포트 링크: http://bit.ly/3mC2IQe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