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음 깊을,심 深
t-->th번데기혹은 st--->s발음변화
친구 간의 우애가 돈독하다 할때 독 역시 깊다,두텁다는 말이다.
두+텁=도+탑 w는 과거 v,f발음
Tibeto-Burman (previously published reconstructions)
두텁다 도탑다 深깊을,심
thick 두꺼운
Garo
독일어
dick [dɪk]
1.형용사 (↔ dünn) 두꺼운, 굵은, 뚱뚱한
2.형용사 두께{굵기}가 ∙∙∙인
3.형용사 부푼, 부은
지금 중국에서 표준어라 하는 말은 동북 3성의 청나라시기의 만주족 발음을
쓰고 있다.변두리발음이 표준어가 된 것이다.
오히려 광동이나 복건성발음이 옛날발음에 훨씬 가깝다.
이 쪽 지역이 과거 유목민족이 내려와서 터를 잡은 곳이다.
이 근처에 바로 스키타이 유목민족 일명 사카족인 객가족이 살고 있다.
객가족들이 사는 지역은 과거 백제사람들이 많이 살던 곳으로 백제의 흔적이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그리고 양자강 이남은 과거 신라가 있었던 곳이다.
대륙신라 사로국이 있었던 지역이다.
원효 김교각 최치원 장보고 선덕여왕 김유신 김춘추 모두 대륙에서 태어나고
활약을 펼친 것이다.김춘추 역시 고구려에게 협상 실패하고 바다 건너 일본에 간 것이
아니라 대륙에 있던 倭 그러니까 신라땅 밑에 왜가 당시 대륙에도 있었다.
그 밑으로 간 것이지 한반도에서 바다 건너 일본섬에 간 것이 아니란 말이다.
당과 협상하러 바다건너 찾아간 것이 아니라 이웃나라 붙어 있는 당나라에 간 것이다.
한반도에서 건너간 것이 아니다.
북경어 발음은 만주족 여진족의 발음으로 근대 중국어 발음이 이 발음을 따른다.
중국의 역사는 거의 다 북방 유목민족의 역사.
진시황의 나라 진나라 유민이 강제노역을 피해 과거 신라로 들어왔지.
진시황 출신이 서융이라고 함은 티베트지역,중앙아시아에서 온 사람들이 살던 곳이지.
페르시아계 투르크계 티베트계 잡다하게 섞여 살고 있었지비.
Middle Chinese
Modern Chinese
튘 튚 츂 슆 쉽 쉼 심
Central Chin
Bodo
미얀마어 어근 ship
ㅍ-->ㅂ-->ㅁ 입술발음의 변천이 적용된다.
팊-->칲-->싶-->십-->심 한국어 한자음 탄생!축하합니다!
짚다는 경상도사투리다.참고로 내가 경상도 토박이니까 어릴적 많이 썼다.
Konyak-Chang
thick은 짙다.깊다 deep와 아주 관련된 말이다.
그러니까 우리말 두껍다 란 역시 티베트에서 온 말이다.
어근 툭/뚝 +ㅂ다
얼굴 화장이 짙다.깊다
짙은 눈썹 찐하다 깊은 색깔이다.얕은 색깔이다.
Burmish
미얀마어
အဆီပါ [əsʰipa]
뜻이 깊다
튘 튚
튘 팈
튁 틱
deep 깊은
딮-->짚-->깊 발음변화 역구개음화가 일어나는 대표적인 예다.
우리말 깊다의 고대음이 살아있는 영어
역구개음화 대표단어
졈심을 겸심으로 발음.
딤치 짐치 김치
딜다 질다 길다 long /디리 지리 기리 길이
딜 질 길 (路)
딜쌈 질쌈 길쌈
날개딧 날개짓 날개깃; 깃(羽)
디름 지름 기름
길이와 관련된 말이다.
부정회귀
==>구개음화를 거꾸로 적용하는 것을 부정회귀/역구개음화
독일어
tief [ti:f]
1.형용사 (↔ seicht) 깊은, 깊숙한
2.형용사 (안쪽으로) 깊숙한, 깊은
3.형용사 깊은, 한창때의
tief [tiːf]
1.형용사 (↔ flach, seicht) 깊은, 깊숙한
2.형용사 깊숙한, 속이 깊은
3.형용사 대단한, 심한, 깊은
네덜란드어
diep
1.형용사 깊은, 심오한
2.형용사 깊숙이 들어간
3.부사 깊이, 매우
스웨덴어
djup 1 [juːp]
1.형용사 깊은
2.형용사 (비유적) 진지한, 숙고하는
3.형용사 완전한(fullständig)
힌디어
दीर्घ [di:rgh]
형용사 길이가 긴, 크기가 큰, 폭넓은, 깊은, 거대한 (=लंबा, बड़ा)
터키어
dikkatli 딬<--> 딮었으리 짚었으리 깊었으리
형용사 주의하는, 주의 깊은, 조심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