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역동경제 혁신 인사이트 개최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jsessionid=l2gRJgYa1dt6EzkxlKTHGmvk.node40?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71566&menuNo=4010100
3대 게임체인저 기술 물결 속에서 신기술∙신산업 전략을 논하다! |
|
◆ 신기술·신산업으로 달라지는 역동적 일상을 상상한 숏폼·디자인(웹툰, 일러스트) 20편 발굴, “2024 신기술·신산업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개최 ◆ 3대 게임체인저 중심 미래 성장전략과 대(對) 글로벌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2025 역동경제 혁신 인사이트 포럼” 실시 |
기획재정부는 12월 4일(수) 오후 2시, 여의도 FKI타워(구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2024 신기술·신산업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과 「2025 역동경제 혁신 인사이트 포럼」을 개최하였다.
기획재정부 김범석 제1차관(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장 대독)은 개회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 바이오, 양자 등 3대 미래 게임체인저와 첨단기술, 산업이 변화하는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어 민관학 얼라이언스 구축을 통한 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올해 최초로 개최하는 역동경제 혁신 인사이트 포럼이 신기술과 신산업 관련 아이디어와 비전을 융합하는 행사로 역동경제를 견인하는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2024 신기술·신산업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개최】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개최된 이번 공모전은 역동경제 로드맵에서 강조한 3대 게임체인저인 인공지능(AI), 바이오, 양자 등 신기술과 신산업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고자 진행하였으며, 심사위원회 심사를 거쳐 총 20개 작품을 수상작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기획재정부는 오늘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하여 대상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상 등 총 20개 작품에 상장과 상금을 수여하였다.
학생부와 일반부로 나누어 진행한 이번 공모전에서 학생부 대상(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상) 작품인 웹툰 “지붕 뚫고 충전킥! 우주 태양광 발전을 통한 미래 모습”은 최근 우주의 태양 에너지를 광전지로 수집해 마이크로파 빔으로 지구에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는 기업에 관한 기사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것으로, 우주 태양광 발전과 무선 전력 송신이 상용화된 미래의 일상을 그린 작품이다.
또한, 일반부 대상(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상) 작품인 숏폼 “첨단기술이 그리는, 대한민국의 미래”는 혁신적인 기술을 통한 우리의 일상과 경제의 변화를 알기 쉽게 표현하는 한편, 첨단기술 글로벌 강국으로의 도약에 나선 우리나라를 그린 작품이다.
【2025 역동경제 혁신 인사이트 포럼 실시】
올해 최초로 개최하는 역동경제 혁신 인사이트 포럼은 미래를 선도할 게임체인저와 주요 혁신기술의 변화가 세계 경제와 한국경제의 혁신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2025년의 주요 경향(트렌드)을 조망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➊미래를 선도할 게임체인저와 성장전략(한국경제산업연구원 김광석 부원장), ➋인공지능(AI) G3 도약을 위한 전략(경희대학교 김상균 교수), ➌글로벌 퀀텀 리더십을 위한 전략과 비전(고려대학교 채은미 교수), ➍미래를 여는 첨단 바이오(고려대학교 오민규 교수) 등 신기술, 신산업 분야의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섰다. 발제 이후에는 전문가 간 패널 토의를 통해 3대 게임체인저 기술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 성장전략을 공유하며, 우리나라의 대(對) 글로벌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기획재정부는 앞으로도 신기술과 신산업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숏폼과 같은 친숙한 매체를 활용한 콘텐츠 공모전을 지속적으로 개최하는 한편, 매년 전문가 포럼을 실시하여 향후 관련 정책 수립 시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 (붙임 1) 「2025 역동경제 혁신 인사이트」 포스터
(붙임 2) 기획재정부 1차관 개회사
담당 부서 | 기획재정부 | 책임자 | 팀 장 | 장도환 | (044-215-8870) |
|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 전략기획팀 | 담당자 | 사무관 | 양성미 | (mymariah20@korea.kr) |
붙임 1 | | 「2025 역동경제 혁신 인사이트」 포스터 |
붙임 2 | | 기획재정부 1차관 개회사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장 대독] |
안녕하십니까?
기획재정부 1차관 김범석입니다.
오늘 2025년 역동경제 혁신 인사이트에 오신 여러분들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먼저, 이번 행사를 준비해주신 산업연구원 김인철 부원장님과
총괄 세션의 연사를 맡아주신
태재 미래전략연구원의 장석인 선임 연구위원님,
한국경제산업연구원의 김광석 부원장님을 포함하여
행사에 참석해주신 국내 귀빈 여러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오늘 행사는 AI, 바이오, 양자 컴퓨팅 등
3대 게임체인저와 주요 혁신기술의 변화가
글로벌 및 한국경제 혁신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2025년 주요 트렌드를 조망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1부>의 신기술, 신산업 콘텐츠 공모전에서는
우리 미래인 학생들과 일반 국민들께서 생각하시는
미래 신기술・신산업이 우리 삶에 미치는 바램과 기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2부>의 2025 역동경제 혁신 인사이트의 첫번째 세션은
3대 게임체인저의 성장전략입니다.
3대 게임체인저 분야에서는
글로벌 Winner가 세계시장을 독식하고
다른 수많은 경쟁자들은 순식간에 몰락(Loser standing small)하거나 승자 중심 생태계에서 조연으로 위상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게임체인저 기술분야에서의 승리는
주력산업이 성공적으로 전환(spin off)되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전후방 연관효과로 이어져
전통산업을 혁신시키고 새로운 미래산업을 창조하는 촉매로 작용할 것이지만,
이와 반대로 주력산업과 전통산업이 침체되고
새로운 미래산업의 전망이 어두워질 수도 있습니다.
2 | | 3대 게임체인저 중심 신기술·신성장 분야 트렌드 |
3대 게임체인저를 중심으로 하는 신기술·신성장 분야의
트렌드는 몇 가지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경쟁을 위한 게임의 판이 점차 커지고
다른 기술·신산업 영역의 게임판까지 흡수하고 있습니다.
과거 산업 기술의 영역과 칸막이가 희미해지면서
3대 게임체인저 분야로 점차 흡수되고
이 시장은 점점 더 팽창하고 있습니다.
AI 승자가 단순히 기존 IT 산업뿐 아니라,
자동차, 로봇, 기타 전통 제조업, 바이오 산업까지도
흡수하는 형태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기술 경쟁의 사이클이 짧아지고 있습니다.
기존 게임의 승자가 새로운 게임에서 도태되고,
승자의 지위가 지속되는 기간이 짧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무한경쟁 속에서 결국 강하고 빠르며 치열한 자만이
생존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하고,
산업계와 기업의 비용과 스트레스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세 번째는 이러한 산업과 기술의 발전 트렌드는
실제 수요와 괴리되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공급자 중심의 급속한 과잉 기술과 산업은
숙련 전문가를 단순 노동자로 전락시키거나
전통 일자리를 소멸시켜 실업자를 양산할 것입니다.
신기술 수용자와 부적응자 간의 격차(gap)는 확대되어
개인의 불행은 물론 사회적 갈등이 확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네 번째로 美 신정부 출범 이후 세계 경제질서는
새롭게 재편될 가능성이 높고,
신기술·신산업 영역 역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변화 속도도 빨라질 것입니다.
3 | | 정부·민관학 협력 : 3대 게임체인저 F.O.C.U.S |
이러한 변화속에 대한민국호가 어떻게 민관학이 협력하여 기민하게 대응하는가에 따라 우리 세대는 물론,
여기 참석하신 중·고·대학생, 청년인턴 등 미래세대의 경제적 풍요에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 행사를 준비한 정부와 포함한 민관학 alliance는 3대 게임체인저 분야에서 Focus를 맞춘 대응이 필요할 것입니다.
첫 번째로 3대 게임체인저,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에서 중점 핵심과제를 달성하는데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 F : Frontier Technology Development (3대 게임체인저 기술개발로 혁신 주도)
두 번째로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개방형 금융지원체계를 구축토록 하겠습니다.
* O : Open Finance & Investment (개방형 금융 지원체계 구축)
세 번째로 범국가 차원의 AI위원회, 바이오위원회를 출범
시키고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강화하겠습니다.
* C : Collaboration (협력을 통한 시너지 창출)
네 번째로 미래 인재와 기술력 강화를 위한 인력양성 계획을 마련하여 추진하겠습니다.
* U : Upskilling (미래 인재와 기술력 강화를 위한 인력 양성)
끝으로 규제혁신을 통한 산업 성장과 민간의 참여를 촉진
하겠습니다.
* S : Smart Deregulation (규제 혁신을 통한 산업 성장과 민간참여 촉진)
이러한 종합적 대응과 함께 중요한 것은
산업·기술 현장에서 절박하게 제기되는 R&D 예산,금융·세제 지원, 규제완화, 인력양성, 국제협력, 지방정책 등의 정책수요에
적시적이고 현실적인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현장에서 제기되는 요청들에 대해 현실과 제도까지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가칭“와이즈맨”제도 같은 시스템 구축도 적극 고민하여 추진하겠습니다.
오늘 2025년 역동경제 혁신 인사이트는
현재 대한민국호가 이러한 세계사적 혁신 트렌드 속에서 어떤 위치에 있고,
2025년 3대 게임체인저의 트렌드에
어떻게 대처해 나갈지 해답을 구하는 자리일 것입니다.
금년 최초로 개최되는 창립행사가
내년 2026년에는 국제포럼으로 격상되어
여러 전문가에 인사이트를 주는 저명한 포럼으로
자리잡기를 기대합니다.
이 자리에 계신 어린 학생들부터 학계, 연구기관, 기업분들, 정책 담당자들의 통찰력(insight)가
집단지성의 프로세싱을 거쳐 완성된 정책 솔루션으로
출력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