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I Love NBA
 
 
 
카페 게시글
非스포츠 게시판 이샤를 합시다 (2) - 홈 네트워크
theo 추천 0 조회 1,562 16.01.16 18:42 댓글 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6.01.16 21:29

    첫댓글 일단... 거실과 안방은 다른 공유기로 인식을 합니다. 메인 공유기에서 각각의 공유기로 아이피를 따로따로 설정해주니까요. AP명이 같다고 해서 같은 공유기로 인식하지는 못합니다. 그리고 거실과 안방의 거리가 얼마나 될지는 모르겠지만, 신호가 조금 더 강하다고 바로 안방으로 들어가면서 자연스럽게 바뀌지는 않을것 같네요. 와이파이 신호 2~3개까지는 계속 연결하고 있을듯...

  • 16.01.17 02:05

    theo님의 글인데, (2)시리즈가 되어 있어 (1)까지 읽고 왔습니다. 저번 학기(1달도 안 지났지만) 재이수까지 하여 겨우 B+을 가까스로 받은 네트워크가 새록새록 기억나고 재밌네요... theo님의 글은 여전히 달필이시네요...
    저도 조금이나마 보태자면... 히라쇼님이 쓰신 거 처럼... 와이파이가 자연스럽게 바뀌진 않을 것 같습니다. 복도에서 학교 무선랜을 사용하다가 학회실로 들어가도 더 강한 신호의 학회 AP(access point - 공유기) 보다는 학교 자체의 무선랜에 계속 접속되어 있더라구요(둘 다 자동 접속을 한 경우에) 핸드폰에서 더 강한 신호가 오면 바뀌게 할 수 있는 지는 몰라도 제꺼에서는 그게 잘 안 되나 보더라구요...

  • 16.01.17 02:11

    그리고 밑에 공유기에서 듀얼밴드를 지원하지는 않는 거 같은데... 2.4G와 5G의 차이점을 아실지도 모르겠지만 설명드리면(저도 정확히는 모르지만) 헤르츠가 낮을 수록 곡선으로 잘 휘는 속성(?)을 가져서 2.4G는 문 너머라던지 코너 돌아서도 어느 정도 와이파이가 통하는 반면 5G는 직선거리가 아니면 장매물이 사이에 있으면 와이파이가 잘 안 됩니다... 한 발자국 차이인데 안 잡히는 경우도 있구요... 하지만, 와이파이가 윗집 아랫집 겹칠 수도 있는데, 보통 와이파이 2.4G를 많이 쓰시기 때문에 5G가 잘 잡히고 주위에 2.4G 와이파이가 많다면 5G가 더 쾌적합니다...(SK 800MHz 주파수가 통화품질이 좋았던 것도 같은 원리입니다)

  • 16.01.17 02:20

    그리고 theo님이 참고하신 블로그에서 IPTV에서 사설IP하고 공인IP에 대해서 나오는데, 저희집에 TV가 없고 IPTV에 대해서는 블로그의 진행을 보아 추측해보건데, 사설IP는 NAT 뒤에 있는 IP이고 공인 IP는 진짜 할당된 IP를 말하겠네요. 좀 더 설명드리자면 현재 세계는 IPv4(버전4)를 쓰고 있는데, 이게 2^32 개로 약 40억 개의 IP 주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IP를 활용한 네트워크를 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IP라는 것이 한 개체마다 있어야 합니다만, 요새 워낙 인터넷 사이트나 컴퓨터 기기 또는 스마트폰, 심지어 스마트 시계까지... IP 네트워크에 접속할만한 개체들이 너무 많아서 IP를 모두 할당하지는 못합니다.

  • 16.01.17 02:26

    @수풀림 그렇기에 90년대 인가 00년대 인가 2^128의 IP 주소를 가진 IPv6의 얘기가 나왔었구요.... 그런데 현재도 세계가 IPv4를 가지고 있는 것은 NAT라는 기술이 발명되었기 때문인데요. NAT(위에서는 메인 공유기, 그냥 공유기도 되겠네요)이 실제 IP를 하나 할당 받고 그 할당 받은 IP를 통해서 자기와 연결된 개체에게 사설IP 또는 가상의 IP(공유기를 쓰시면 보통 192...으로 시작하는)를 할당하고 가상의 IP를 가진 개체들은 실제 IP를 가진 NAT를 통해서 전세계 IP네트워크 나가서 데이터를 주고 받게 됩니다. 그렇기에 밖에서는 얘가 실제로 IP가 어떤 지에 대해서 판단하지 못하겠죠...

  • 16.01.17 02:47

    @수풀림 이게 IPTV에 문제 되는 점은 IPTV는 돈을 받는 service이니까 KT쪽에서 받는 IP가 자기 고객의 실제 IP가 아니면 service를 제공해줄 의무가 없고 NAT 뒤에 IPTV가 연결 되어 버리면 실제 고객의 IP인지 KT에서 구별할 수가 IPTV 서비스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열심히 적었는데, theo님은 알고 계셨을 꺼 같네요 ㅎㅎ 아 그리고 제가 좀 더 모호하게 모르는 부분인데, 모뎀자체가 고정IP가 아닐 수도 있다고 들은 것 같습니다. KT나 SK에서 모뎀에 주는 IP도 아마 유동IP이고 돈을 좀 더 내야지 고정 IP를 할 수 있는 거로 알 고 있습니다.
    하여튼... theo님 화이팅입니다!!

  • 작성자 16.01.17 13:55

    답변들 감사합니다. 잘 모르는 분야다 보니깐 답글들이 더 값지네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