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요 일정
- 04/04 국내 3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
- 04/04 [정부일정] ADB, 2023년 아시아경제전망 발표(기재부)
- 04/04 유로존,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 04/04 美 트럼프 전 대통령 법원 출석
- 04/05 중국, 홍콩 대만 증시 휴장
- 04/05 마인즈랩, 뷰티 법률 용마음 AI 공개
- 04/05 [재공시기한] 현대차-SK온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합작공장 40억달러 이상 투자 관련★
- 04/05 [정부일정] 국내 핵심광물 제련 및 가공시설 현장 방문
- 04/05 [정부일정] 산업부, 국가중요 시설과 대드론 체계운영 공공기관 협의체 세미나
- 04/05 [정부일정] 해수부, 선박수소연료전지 전력설비 잠정기준 마련
- 04/05 美 2월 무역수지/ 3월 ADP취업자변동/ 3월 ISM비제조업지수 발표
- 04/06 EU 집행위원장 프랑스 마크롱, 중국 방문 및 시진핑 회담 ★
- 04/06 러시아 푸틴-벨라루스 루카센코 회동(전술핵 배치 관련 논의 예정) ★
- 04/06 [정부일정] 산업부, 업계 대상 IRA/CRMA 등 미-EU 경제입법안 설명회 개최 ★★
- 04/06 [정부일정] 중기부, 2023년 제1회 팹리스-파운드리 상생협의회 개최 ★
- 04/06 [정부일정] 산업부(1차관), 방산수출 금융지원 MOU 체결식 및 민군기술협력사업 성과발표회
- 04/07 [정치] 국민의 힘, 새 원내대표 선출예정
- 04/07 [1분기 실적시즌 시작] 삼성전자 잠정실적 발표 ★★★
- 04/07 [정부일정] 산업부, 민관합동 배터리 얼라이언스, IRA 대응 전략 논의 ★★
- 04/07 [정부일정] 부총리,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현장방문 ★★
- 04/07 미국/홍콩/프랑스/독일/영국 증시 부활절 휴장(금)
- 04/07 美 3월 고용동향보고서 발표
- 04/09 서울 모빌리티 쇼 (~04/09)
- 04/09 日,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 취임 ★
- 04/11 금융통화위원회 개최 ★
- 04/12 미국 FOMC 의사록 공개 ★
- 04/12 美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
- 04/12 국제 그린에너지 엑스포
- 04/12 G20 재무장관 중앙은행회의 및 IMF-WB 춘계 연례회의 ★
- 04/12 美 3월 생산자물가지수 발표
- 04/14 미국암연구학회(AACR) ★
- 04/18 美 IRA 시행규정일
- 04/26 윤대통령 미국 국빈방문
- 06/05 애플 WWDC 애플 XR 공개
- 07/05 EU,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추가심사/결론
====== Market Data Check ======
▶️ 시장 등락률 차트
* 코스피 : 상승 513종목 vs 하락 372종목 / 보합 50종목
* 코스닥 : 상승 862종목 vs 하락 654종목 / 보합 74종목
▶️ 시장정리
◐ KOSPI 2,472.34p (-0.18%), KOSDAQ 854.96p (+0.88%)
◐ 원/달러 환율: 1,316.5원 (+14.6원), 국고채 3년물: 3.342% (+7.2bp)
◐ 강세 : * 지정학 리스크: 중국의 마이크론 조사와 OPEC+의 기습적인 감산이 미-중 반도체 분쟁과 글로벌 인플레 압력 고조로 연결될 것이란 우려 확산
◐ 약세 : 의료정밀(-1.34%), 은행(-1.15%), 보험(-0.93%) 약세
* 지정학 리스크: 중국의 마이크론 조사와 OPEC+의 기습적인 감산이 미-중 반도체 분쟁과 글로벌 인플레 압력 고조로 연결될 것이란 우려 확산
* 특징주: DB손해보험(-4.41%)은 금융당국의 보험료 조정 추진에 약세. 작년 자동차보험 영업이익이 20% 이상 증가해 보험료 인하 압력이 발생
◈ 시장을 관통하는 키워드
▶️주가는 걱정의 벽을 타고 오른다.
▶️2023년 '빅-롱'과 '빅-숏'의 시대 (변동성의 시대)
▶️물극필반
→ 파티에 음악이 흘러나올때까지.. 춤을 멈출수는 없다. 단, 바로 나갈 수 있게 문 근처에서 춤을 춰라
→ 인플레이션 시대엔 '미 10y 국채금리"가 Key
▶️주도주 > 시장추세 > 매크로
▶️ 23년 관심이슈 : 오고야 마는 미래
* 반복일정 : CES, 바이오학회(JP모건, ASCO) /MSCI 리밸런싱(2,5,8,10월/연4회) 등
* 정부 2년차 => 정책주 주목
1) 오미1. 美IRA + EU CRMA : 2차전지 소재 증설모멘텀(양극,음극, 동박, 전해질 등)
2) 오미2. 중국 리오프닝(과잉저축+정책) : 중국소비(엔터/의료기기/소비) + 경기관련주
3) 오미3. 재건 : 전쟁 장기화와 재건 : 시장규모 1000조 (대모)
4) 오미4 . 애플 XR+MR (H/W) (6월 WWDC)+메타버스(SW, 下) : 맥스트/알체라/자이언트스텝/엔피
5) 네옴시티/UAE : 실사업 수혜
글로벌 IP (웹툰) 디앤씨미디어/미스터블루/애니플/키다리/
★ 23년 주요 화두 "생산성 혁신" ★
● 신기술1 (AI, 챗봇GPT) : 셀바스AI/솔트룩스/ 코난테크/오픈엣지테크...
● 신기술2 (로봇) : 레인보우로보틱스*/에스비비테크*/다믈멀티*/뉴로메카*로보스타/두산/ 로보티즈..
● 신기술3 (우주항공) : AP위성/켄코아/쎄트렉아이....
● 신기술4 (STO,증권토큰) : 제주은행/갤럭시아머니트리/서울옥션 등
● 신기술5 (데이터) : 줌인터넷/데이타솔루션/모아데이타 등
======= [돈의 흐름] ============
◈ 상한가 :
알에프세미(+29.94%) 2 경영권 변경 등에 관한 계약 체결 등에 상한가
에이비프로바이오(+29.94%) 2 셀트리온 대규모 인수합병 예고 속 유력 후보군으로 지속 부각되며 상한가
코스모화학(+29.99%) 1 2차전지, 리튬 테마 상승 속코스피200 편입 기대감 지속 등에 상한가
이구산업(+29.99%) 1 글로벌 구리 수요 증가 전망 등에 비철금속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자이글(+29.94%) 1 美 2차전지 합작법인 설립논의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이브이첨단소재(+29.88%) 1 리튬 테마 상승 속 국내 기업에 수산화리튬 공급 완료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다이나믹디자인(+29.82%) 1 PT. AIM 인도네시아 니켈 광산 사업성 검토 완료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 급등&특징주
● 美 IRA / 리튬 테마 상승/핵심광물
웰크론한텍(+24.09%) 미래나노텍(+15.46%) 대보마그네틱(+10.59%) 덕양산업(+10.03%) 유니온(+9.00%) STX(+16.46%) EG(+10.91%) 쎄노텍(+9.86%) 어반리튬(+9.71%)
하이드로리튬(+24.06%) 최대주주 리튬플러스, 친환경 수산화리튬 제조 기술 NET 인증 예정 대상 포함 소식에 급등
넥스턴바이오(+22.17%) 이브이첨단소재, 국내 기업에 수산화리튬 공급 완료 모멘텀 지속
● 美 IRA 불확실성 해소 등에 2차전지 테마 (양극/음극/CNT도전재/전해액/전해질)
코스모신소재(+23.65%) 광무(+23.29%) 나노신소재(+20.84%) 엔켐(+18.13%) 새로닉스(+16.62%) 이녹스(+13.43%) 한농화성(+11.59%) 성우하이텍(+9.65%)
● 경영권 분쟁
DB(+15.73%) 강성부 펀드 KCGI, 자회사 DB하이텍 지분 매입에 따른 경영권 분쟁 가능성 지속 부각에 급등
씨티씨바이오(+14.54%)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테마 상승 속 파마리서치, 300억원 규모 동사 출자증권 취득 결정에 급등
● 글로벌 구리 수요 증가 전망 등에 비철금속 테마
국일신동(+9.38%) 코센(+9.09%)
진시스템(+19.81%) 인도 진단시장 공략 기대감 지속등에 급등
SGA솔루션즈(+17.11%) 삼성전자, 신사업 TF 가동 및 NFT 영역 우선 발굴 대상 낙점 소식 속 삼성SDS 블록체인 공식 파트너사로 부각되며 급등
비나텍(+16.95%) 수소연료전지 부문 향후 큰 폭의 매출 성장 기대감 지속에 급등
대창(+16.43%) 글로벌 구리 수요 증가 전망 등에 비철금속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스코넥(+14.51%)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엑서지21(+13.61%) 신사업 및 체질개선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갤럭시아머니트리(+12.88%) 삼성전자, 신사업 TF 가동 및 NFT 영역 우선 발굴 대상 낙점 소식 등에 일부 NFT(대체불가토근) 테마 상승 속 급등
중앙디앤엠(+12.43%)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모멘텀 지속에 급등
수젠텍(+11.85%)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슈얼리 스마트', FDA 허가 및 美 진출 본격화 기대감 등에 급등
성신양회(+11.61%) 지질연, 충북 단양 리튬광산 발표 소식 재부각 속 단양공장 보유 사실 부각에 급등
한화갤러리아(+11.50%) 소비자심리 지속 개선 기대감 속 백화점 사업 영위 사실 부각에 급등
에쓰씨엔지니어링(+11.32%) 새만금개발청, 2차전지 소재 5,000억원 추가 투자 소식 속 최근 SK머티리얼즈그룹14와 2차전지 생산설비 EPC 계약 체결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스맥(+11.09%) 폐배터리와 로봇 관련 성장 동력 확보 소식에 급등
태경비케이(+10.13%)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테마 상승 및 지질연, 충북 단양 리튬광산 발표 소식 재부각 속 단양공장 보유 사실 부각에 급등
THE MIDONG(+9.68%)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모멘텀 지속에 급등
◈ 시간외 단일가, 특징주
<상승률>
● 기타자금 확보 목적으로 XtraLit Ltd. 대상 832,519주(64.76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7,780원, 상장예정:2023-05-25) 공시. 리튬사업 전략적 제휴를 통한 사업확장 목적으로 XtraLit Ltd. 주식 750,000주를 194.31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29.88%, 취득예정일:2023-04-06) 공시
→ 지엔원에너지(+9.94%) / 엔투텍(+4.98%)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정규장 14.51% 급등
→ 에스코넥(+9.90%)
● OPEC+ 기습 감산 속 유가 급등, 美 IRA 세부지침 발표, 해리스 美 부통령 6일 한화큐셀 조지아 공장 방문 소식 등에 시간외 일부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 대명에너지(+8.99%) / SDN(+2.76%) / 에스에너지(+2.28%)
● 강성부 펀드 KCGI, 동사 지분 매입에 따른 경영권 분쟁 가능성 지속 부각에 정규장 4.29% 상승
→ DB하이텍(+4.38%)/ DB(+1.79%)
● 기업설명회(IR, 4월4일) 개최 공시(파이프라인 소개 및 진행상황 등)
→ 카나리아바이오(+3.28%)
<하락률>
● 1,300,000주(발행주식총수 대비 8.5%) 규모 전환청구권행사 공시
→ 윙스풋(-3.56%)
● 1.97조원 규모 교환사채발행 및 자사주 처분 결정 공시
→ SK하이닉스(-2.52%)
======== [수급 데이터] ===========
◈ 거래대금 상위 1,000억이상 (실적+펀더+모멘텀)
● 美IRA 광물 /리튬 : POSCO홀딩스(1조)/미래나노텍(5천)/하이드로리튬(3천)/지엔원에너지(2천)
● 美IRA 양극재 : 엘앤에프(9천)/에코비엠(6천)/에코프로(6천)/코스모신소재/나노신소재(4천)/포스코퓨처엠(4천)/코스모화학((4천)/
● KCGI/경영권분쟁 가능성 : DB하이텍(3천)
◈ 시장 당일 "사모 수급" 체크 (연속성 및 매수강도 체크)
● 코스닥(10억 ↑) : 오스템임플란트/에코프로/아프리카TV/넥슨게임즈/천보/큐브엔터/성우하이텍/데브시스터즈/에스엠/씨티씨바이오/SFA반도체
● 코스피(30억 ↑) : 현대차/기아차/LG생활건강/아모레G
◈ 52주 신고가 (1,000억이상) :
→ 코스모화학/자이글/하이드로리튬/코스모신소재/광무/나노신소재/새로닉스/DB/미래나노텍/어반리튬/성우하이텍/지엔원에너지/POSCO홀딩스/포스코퓨처엠/엘앤에프/포스코 ICT/윤성에프앤씨/한화에어로/강원에너지/포스코엠텍/제이오/미래반도체/에코프로
◈ 거래량 1,000만주이상 (5%이상)
→ 이구산업/에이비프로/이브이첨단소재/광무/대창/DB/미래나노텍/에스코텍/한화갤러리아/태경비케이/성우하이텍/조일알미늄/지엔원에너지/코이즈/이트론/SFA반도체
◈ 외인&기관 공격수급
→ 코스모화학/웰크론한텍/광무/나노신소재/STX/미래나노텍/씨티씨바이오/에스코넥/이녹스/제룡전기/대보마그네틱/큐브엔터/덕양산업/쎄노텍/성우하이텍/KG ETS/마인즈랩/감성코퍼레이션/넥스트칩/코이즈/넥슨게임즈/엘브이엠씨/성일하이텍/플리토/비올/새빗켐
◈ 기관 공격수급
→ 씨티씨바이오/큐브엔터/성우하이텍/넥슨게임즈/HB테크놀로지/두산테스나/아프리카TV/데브시스터즈/뷰노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