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은 청색인 콩으로 콩나물, 콩가루 용등 약으로...
*쥐눈이콩의 효능
콩 가운데서도 까맣고 윤기가 나는 쥐눈이콩은 단백질·지방·칼슘·철분·비타민 등 영양분도 풍부하고 해독제가 함유돼 있어 당뇨·고혈압·동맥경화·심장질환·관절염·신장병 등 갖가지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 그래서 일명 약콩이라고도 한다.
한방에서는 서목태라고 일컫는데 쥐의 눈처럼 작고 반짝반짝 빛난다고 해서 붙여진이름이다.
1. 복창을 내리고 위열을 없애며 마비증을 다스린다.
2. 어혈을 풀어버리고 기를 늘리며 심신의 피로와 쇠약을 예방하고 정력을 기른다.
3. 신장병을 다스리고 기를 내리어 모든 풍열을 억제하고 혈액을 활발히 하며 모든 독을 풀어준다.
4. 해독성이 강하고 콩팥과 방광 등의 질병에 특효약임.
5. 허약체질이나 노인, 앓고 난 사람에게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장수하게 한다.
6. 골다공증 예방, 피부 노화 억제 효과 뛰어나 특히, 여성들에게도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7.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 같은 효과는 쥐눈이콩에 많이 들어 있는 폴리포스테이트라는 ‘인(燐) 중합체’ 성분과 천연 여성호르몬으로 불리는 ‘이소플라본(isoflavone)’ 성분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쥐눈이콩에는 생리활성물질인 이소플라본이 일반 콩보다 19.5배 많다는 연구 결과(2001년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도 나온 바 있다
* 활용방법
1) 가루로 빻아 미수가루처럼 복용한다. 검정콩은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간장과 신장을 보호하고 풍을 없애며 독을 풀어준다
2) 식초검정콩
검정콩 1컵을 10분쯤 볶은 다음 식초 2컵에 담근다. 이것을 하룻밤 그대로 두었다가 먹는데 적어도 1개월 이내에 모두 먹도록 한다. 날콩 또는 볶은 콩을 천연 식초에 담가 초콩을 만들어 꾸준히 먹으면 고혈압과 신경통, 통풍 개선에 효과가 있다.
3) 검정콩차
재료 : 검은콩 1컵, 물 2컵
만들기 :
(1)검정콩을 골라 씻은 뒤 잘 말려둔다.
(2)말린 콩을 달달 볶는다.
(3)콩이 잠길 정도의 물을 붓고 10분간 끓인다.
(4)까만 콩물이 우러나면 체에 맡쳐 수시로 마신다.
마실 때 꿀이나 설탕을 타서 마시면 되는데, 다이어트까지 원한다면 콩 차만 마시는 것이 좋다. 치매 예방에 좋고, 해독작용이 있어서 만들어 두고 보리차처럼 마시면 좋다. 다이어트 효과도 누릴 수 있다.
4) 검정콩 벌꿀차
검정콩 80g을 10분쯤 볶은 다음 끓인 물 2컵과 벌꿀 3큰술과 함께 유리병에 넣어 하룻밤 담가둔다. 이것을 냉장고에 보관하면 1주일 동안은 먹을 수 있다. 이 차는 임산부의 산후 체력 회복에 도움이 된다.
5) 검정콩술
검정콩 30g을 볶은 다음 청주나 소주 1컵에 하룻밤 담가두었다가 하루에 2~3회 1큰술씩 먹는다. 1개월 이내에 모두 먹도록 하는데, 이것은 관절통 개선에 효과가 있다.
6) 콩물 만들기
콩은 몸에 쌓은 독성을 없애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검은콩을 삶은 농축액을 마시면 뼛속까지 밴 독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콩을 삶아서 우려낸 물은 마시고, 콩 건더기는 조림 등 반찬으로 만들어 먹는다.
-재료: 5~6시간 물에 담가두었던 검은콩 50g과 물 5백㎖.
(1) 깨끗이 씻은 콩을 냄비에 넣고 물을 붓는다.
(2) 한소끔 끓인 뒤 불을 약하게 해서 물의 양이 반으로 줄어 들 때까지 은근히 달인다.
(3) 다 끓인 콩물을 체로 걸러 그릇에 담는다.
4) 콩은 요리 등에 사용하고 콩물은 하루 2~3차례 나눠 마신다. 꿀을 약간 넣으면 마시기 쉽다.
7) 검은콩두유
-재료 : 검은콩 1/2 컵, 두유 2컵, 꿀·소금 약간씩
-만드는 법
(1) 검은콩은 하룻밤 정도 충분히 불려 삶는다. 덜 삶으면 비린 맛이 나고, 오래 삶으면 색이 칙칙하고 단내가 나니 주의한다.
(2) 삶은 검은콩은 체에 밭쳐 물기를 빼준다.
(3) 블렌더에 삶은 검은콩과 두유, 소금을 넣고 곱게 갈아준다.
(4) 체에 한번 거른 다음 꿀을 섞어 그릇에 담아낸다.
8) 검은콩 스프
검은콩을 하룻밤 물에 담가 놓는다. 양파와 마늘을 잔잔하게 썰어 기름에 잘 볶아 검은콩을 담갔던 물과 따뜻한 물을 적당히 섞어 약한 불로 끓인다. 검은 콩이 부드러워지면 1cm네모로 자른 당근을 넣는다. 당근이 익으면 소금으로 간을 한다.
9) 녹차성분와의 상성이 좋다.
콩에 결핍돼 있는 비타민a를 녹차가 보충하며 녹차에 풍부한 비타민C는 콩에 들어있는 철성분의 흡수율을 높여준다. 녹차 잎을 그대로 섭취함으로써 물에 용해되지 않는 녹차의 카로틴과 비타민E를 섭취할 수 있게 되며 녹차 카테킨의 강력한 탈취작용이 콩의 독특한 냄새를 제거해준다.
또한 녹차카테킨엔 장염비브리오나 보툴리누스균 0-157등 무서운 중독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기 때문에 콩의 세균번식을 억제, 오래 보관할 수 있게 해준다.
10) 검은콩즙
(1) 먼저 검정콩 한주먹을 깨끗이 씻는다
(2) 유리컵(300ml)에 검정콩을 넣고 불린다.(6시간)
(3) 냄비에 삶아서 콩을 녹즙기에 갈아야 합니다.
(4) 잘 갈은 콩을 기호에 따라 소금이나 우유 등과 함께 먹는다
(5) 하루 아침, 저녁 2번 하세요
(6) 콩을 불린 물은 절대 버리지 말고 그대로 녹즙기에 갈아야 합니다.
(7) 콩의 색소 성분에 유효 성분이 많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