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로 연필을 깎았다."에서 괄호에 알맞은 말은? (정답 : 1)
① 연필깎이 ② 연필깎기
③ 연필깍기 ④ 연필깍이
"연필을 깎다"의 "깎-"에 "-이"가 붙어서 된 말이므로 "연필깎이"가 맞다.
2. "간식으로 ( )를 먹었다."에서 괄호에 알맞은 말은? (정답 : 3)
① 떡볶기 ② 떡뽀끼
③ 떡볶이 ④ 떡뽁이
"떡을 볶다"의 "볶-"에 "-이"가 붙어서 된 말이므로 "떡볶이"가 맞다.
3. "잔치를 크게 ( )."에서 괄호에 알맞은 말은? (정답 : 2)
① 벌렸다 ② 벌였다
③ 버렸다 ④ 별렀다
"벌리다"는 "입을 벌리다, 자루를 벌리다, 손을 벌리다"와 같이 쓰이는 말이다.
4. "더욱이"를 "더우기"로 적지 않는 이유를 잘 설명한 것은? (정답 : 4)
① "더우기"가 "더욱이"보다 적기가 불편하기 때문이다.
② "더우기"가 "더욱이"보다 발음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③ "더우기"가 "더욱이"보다 보기에 좋지 않기 때문이다.
④ "더욱"과의 관련성을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더욱이"는 "더욱"에 부사를 만드는 "-이"가 붙어서 된 말이므로 "더욱이"로 적는다.
5. 다음 중 표기가 옳은 것은? (정답 : 1)
① 오이소박이 ② 차돌배기
③ 한 살박이 ④ 점백이
"박다"의 의미가 살아 있으면 "00박이"로 적는다. "차돌박이"는 "차돌처럼 빛이 희고 단단한 고기의 부위"를 이르는 말이다. "오이소박이"는 "오이에 소를 박았다"는 뜻으로 풀 수 있으므로 "오이소박이가 맞다.
6. "맑게"의 옳은 발음은? (정답 : 2)
① 막께 ② 말께 ③ 막게 ④ 말게
받침 "ㄺ"은 "ㄱ"앞에서 [ㄹ]로 발음한다. “맑게[말께]”, “맑고[말꼬]”
7. "cake"를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바르게 적은 것은? (정답 : 3)
① 케익 ② 케잌
③ 케이크 ④ 케이그
없음.
8.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옳은 것은? (V:띄어 쓰는 곳) (정답 : 3)
① 무사해야 할텐데.
② 사랑을 할거야.
③ 철수는 이미 떠났는걸.
④ 너는 너V대로 해라.
"할V텐데"는 "할V터인데"에서 온 말이고 "할V거야"는 "할V것이야"에서 온 말이므로 띄어 쓴다. "너대로"의 "대로"는 조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쓴다.
9.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옳은 것은? (정답 : 1)
① 철수처럼만 해라.
② 철수는 학생V이다.
③ 그럴리가 있나?
④ 지금은 갈수 없다.
"철수처럼만"의 "처럼, 만"은 둘다 조사이므로 붙여 쓴다. "이다"는 조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쓰고 "그럴V리"의 "리"와 "갈V수"의 "수"는 의존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쓴다.
10.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옳은 것은? (정답 : 3)
① 사과V같이 예쁜 얼굴
② 지금 가야V겠다.
③ 키가 큰V아버지
④ 너V만은 그러지 마라.
"사과같이"의 "같이"와 "너만은"의 "만은"은 조사이므로 앞말에 붙인다. "가야겠다"는 "-겠-"은 어미이므로 띄어 쓰지 않는다. "키가 큰V아버지"와 "큰댁에 가서 큰아버지를 뵈었다"의 "큰아버지"는 서로 다른 말이다.
11. 다음 밑줄 친 부분이 옳지 않은 것은? (정답 : 3)
① 꽃이 아름다웠다.
② 비단처럼 고운 마음
③ 침을 뱉아라.
④ 개울이 얕아서 건널 수 있겠다.
"뱉다"에는 "-어라"가 연결되어 "뱉어라"가 된다.
12. 다음 밑줄 친 부분이 옳지 않은 것은? (정답 : 2)
① 새로 담근 김치
② 설레이는 마음
③ 말을 삼가라.
④ 물을 꼭 잠가라.
"설레이다"는 틀리고 "설레다"가 옳은 말.
13. 다음 밑줄 친 부분이 옳은 것은? (정답 : 4)
① 거칠은 벌판에 푸른 솔잎처럼
② 녹슬은 철마는 달리고 싶다.
③ 웬 낯설은 사람이지?
④ 물이 많아 진밥이 되었다.
"거칠은"은 "거친", "녹슬은"은 "녹슨", "낯설은"은 낯선"으로 써야 옳다.
14. 다음 가운데 잘못 적힌 것은? (정답 : 1)
① 설레였다 ② 설렘 ③ 설레고 ④ 설레어서
"설레이다"는 "설레다"의 잘못이므로 "설레였다"는 "설레었다"로 적어야 함.
15. 다음에서 띄어쓰기가 잘못된 것은? (정답 : 3)
① 잘 아는 척한다. ② 잘난 체를 한다.
③ 덤벼 들어 보아라. ④ 비가 올 듯하다.
합성 동사와 보조 용언이 결합한 구성에서 보조 용언은 앞말과 띄어 씀. 따라서 ③은 "덤벼들어 보아라"로 띄어 써야 함.
16. 다음 가운데 비표준어는? (정답 : 3)
① 으스스하다 ② 삐치다 ③ 부비다 ④ 창피하다
"부비다"는 "비비다"의 비표준어임.
17. 다음 가운데 표기와 발음이 잘못 연결된 것은? (정답 : 2)
① 닭이(닭-이)―[달기] ② 짧게(짧-게)―[짭께]
③ 절약―[저략] ④ 밭이랑―[반니랑]
"짧게"는 [짤께]로 소리 내야 함.
18. 외래어 표기가 틀린 것은? (정답 : 1)
① 가디건(cardigan) ② 재킷(jacket)
③ 수프(soup) ④ 프렌치프라이(French fry)
이 말은 카디건 백작(Earl of Cardigan)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므로 "카디건"으로 적음.
19. 다음 가운데 우리말의 로마자 표기가 잘못된 것은? (정답 : 1)
① 종로-Jongro ② 독도-Dokdo
③ 제주-Jeju ④ 부산-Busan
"종로"의 표준 발음은 [종노]이므로 "Jongno"로 적음.
20. 다음 가운데 바른 표현은? (정답 : 4)
① 경적 소리에 깜짝 놀랬다. ② 김치를 담궈 먹었다.
③ 냄새가 몸에 배였다. ④ 문제의 정답을 맞혔다.
①의 "놀랬다"는 "놀랐다"로, ②의 "담궈"는 "담가"로, ③의 "배였다"는 "배었다/뱄다"로 해야 함.
첫댓글 띄어쓰기랑 표준어 부분이 많이 취약하네요. 공부 좀 더 해야 할 듯...;;;
에궁...내가 참말로 공부한 게 맞나??? 닭이 [달기]네요. [다기]로 알았습니다. 에효~ 기말 참 걱정됩니다. 쿨럭~ 바쁜 가운데도 문제 올려주신 미정 선배님 감사해요.~~
감사합니다~~저는 발음 자꾸 틀리네요 ㅎㅎ
[담가]가 표준말이네요. [담궈]도 표준말인줄 알았네요.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