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년제 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였거나 졸업예정인자가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을 준비하고 있다면
2013년 1월말에 시험을 보고 난 후에
바로 청소년상담사 3급에 접수하여........
청소년상담사 3급에 도전하기 바랍니다.
필수5과목+선택 1과목을 보면 되는데.....
필수과목의 상당수가 인행사, 실천론, 기술론의 내용과
사실상 중복되기에...
심리측정, 학습이론 등을 좀더 집중적으로 공부하면 합격할 수 있습니다.
(선택과목은 청소년이해가 무난합니다...)
사회복지사 1급 시험에 합격할 정도의 실력이라면
청소년상담사 3급에 합격할 가능성은 매우 높습니다.
도전하여 보면 길이 열립니다.
사회복지사 1급에 청소년상담사 3급이라면
- 청소년상담복지센터(구 청소년상담지원센터)
- 청소년쉼터
- 교육복지사
- 전문상담사
등에 최우선적으로 채용될 수 있습니다.
-----------------
청소년상담사 합격하는 공부 방법
1. 시험 개요
한국산업인력공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이 발표한 ‘2013년도 제11회 청소년상담사 자격시험 시행계획 공고’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일정
청소년상담사 시험관련 사항은 한국산업인력공단 청소년상담사 홈페이지
(http://www.q-net.or.kr/site/sangdamsa)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사 홈페이지(http://www.youthcounselor.or.kr) 에서 검색할 수 있다.
원서접수 (인터넷) |
필기시험 시 행 일 |
필기시험 합격 예정자 발표 |
응시자격 서류제출 (필기시험 합격 예정자에 한함) |
응시자격 서류심사 합격자 발표(면접장소 안내) |
면접시험 시 행 일 |
최 종 합격자발표 |
’13.1.28(월)09:00~2.6(수)18:00(필기 ․ 면접 동시접수) |
’13.3.30(토) |
’13.4.17(수) |
’13.4.22(월)~4.25(목) |
’13.5.15(수) |
’13.5.25(토)~26(일)(2일간 시행) |
’13.6.5(수) |
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시행 |
시험 시행지역은 과거 서울에 한정했던 것에서 서울, 부산, 대전, 광주 등으로 확대되었다. 청소년계와 전문가들이 시험 지역의 확대를 요구하였는데, 이렇게 확대된 것은 환영할 일이다. 필기시험 장소는 인터넷 원서접수 시 수험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면접시험 장소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사 홈페이지(http://www.youthcounselor.or.kr)에 2013년 5월 15일에 별도 게시되는데, 서울에서 열릴 것이다.
2. 시험과목과 시험방법
가. 시험과목
구 분 |
시 험 과 목 |
시험방법 | ||
구분 |
과 목 |
1차 |
2차 | |
1급 청소년상담사 (5과목) |
필수 (3과목) |
ㅇ상담사 교육 및 사례지도 ㅇ청소년 관련 법과 행정 ㅇ상담연구방법론의 실제 |
필기시험 (과목당 30문항) |
면접 |
선택 (2과목) |
ㅇ 비행상담․성상담․약물상담․위기상담 중 2과목 | |||
2급 청소년상담사 (6과목) |
필수 (4과목) |
ㅇ청소년 상담의 이론과 실제 ㅇ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ㅇ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ㅇ이상심리 |
필기시험 (과목당 30문항) |
면접 |
선택 (2과목) |
ㅇ 진로상담․집단상담․가족상담․학업상담 중 2과목 | |||
3급 청소년상담사 (6과목) |
필수 (5과목) |
ㅇ발달심리 ㅇ집단상담의 기초 ㅇ심리측정 및 평가 ㅇ상담이론 ㅇ학습이론 |
필기시험 (과목당 30문항) |
면접 |
선택 (1과목) |
ㅇ 청소년이해론․청소년수련활동론 중 1과목 |
비고: “청소년 관련 법” 이란 「청소년기본법」, 「청소년복지지원법」, 「청소년보호법」,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청소년활동진흥법」,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소년법」을 말하며, 그 밖의 법령을 포함하는 경우 여성가족부장관이 고시한다. 시험과목 중 법령관련 출제 기준일은 시험 시행일(2013.3.30) 기준임.
나. 시험시간
구 분 |
필기시험 |
면접시험 | |||
교시 |
시험과목 |
입실시간 |
시험시간 | ||
1급 청소년상담사 (5과목) |
1교시 (필수) |
ㅇ상담사 교육 및 사례지도 ㅇ청소년 관련 법과 행정 ㅇ상담연구방법론의 실제 |
09:00까지 |
9:30∼11:00 (90분) |
1조당 25분 내외 |
2교시 (선택) |
ㅇ비행상담․성상담․약물상담․ 위기상담 중 2과목 |
11:50까지 |
12:00∼13:00 (60분) | ||
2급 청소년상담사 (6과목) |
1교시 (필수) |
ㅇ청소년 상담의 이론과 실제 ㅇ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ㅇ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ㅇ이상심리 |
09:00까지 |
9:30∼11:30 (120분) | |
2교시 (선택) |
ㅇ진로상담․집단상담․가족상담․ 학업상담 중 2과목 |
11:50까지 |
12:00∼13:00 (60분) | ||
3급 청소년상담사 (6과목) |
1교시 (필수) |
ㅇ발달심리 ㅇ집단상담의 기초 ㅇ심리측정 및 평가 ㅇ상담이론 |
09:00까지 |
9:30∼11:30 (120분) | |
2교시 (필수 및 선택) |
ㅇ학습이론(필수) ㅇ청소년이해론․청소년수련활동론 중 1과목(선택) |
11:50까지 |
12:00∼13:00 (60분) |
3. 응시자격
구 분 |
자 격 요 건 |
1급 청소년 상담사 |
1. 대학원에서 청소년(지도)학ㆍ교육학ㆍ심리학ㆍ사회사업(복지)학ㆍ정신의학ㆍ아동(복지)학 분야 또는 그 밖에 여성가족부령으로 정하는 상담 관련 분야(이하 “상담관련분야”라 한다)의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2. 대학원에서 상담관련분야의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상담 실무경력이 4년 이상인 사람 3. 2급 청소년상담사로서 상담 실무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4. 제1호 및 제2호에 규정된 사람과 같은 수준 이상의 자격이 있다고 여성가족부령으로 정하는 사람 |
2급 청소년 상담사 |
1. 대학원에서 상담관련분야의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2. 대학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이와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는 기관에서 상담관련분야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상담 실무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3. 3급 청소년상담사로서 상담 실무경력이 2년 이상인 사람 4. 제1호부터 제3호까지에 규정된 사람과 같은 수준 이상의 자격이 있다고 여성가족부령으로 정하는 사람 |
3급 청소년 상담사 |
1. 대학 및 「평생교육법」에 따른 학력이 인정되는 평생교육시설의 상담관련분야 졸업(예정)자 2. 전문대학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이와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는 기관에서 상담관련분야 전문학사를 취득한 사람으로서 상담 실무경력이 2년 이상인 사람 3. 대학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이와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는 기관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상담 실무경력이 2년 이상인 사람 4. 전문대학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이와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는 기관에서 전문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상담 실무경력이 4년 이상인 사람 5.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상담 실무경력이 5년 이상인 사람 6. 제1호부터 제4호까지에 규정된 사람과 같은 수준 이상의 자격이 있다고 여성가족부령으로 정하는 사람 |
※ 비고 : 상담 실무경력의 인정 범위와 내용은 여성가족부장관이 별도로 정하여 고시한다.
4. 원서접수에서 합격 확인까지
접수기간은 2013년 1월 28(월)일 오전 9시부터 2월 6일(수) 오후 6시까지 필기․면접시험을 동시에 ‘인터넷’ http://www.q-net.or.kr/site/sangdamsa 으로 접수해야 한다. 접수 기간 중에는 24시간 접수할 수 있으나, 접수마감일에는 오후 6시 후에는 접수가 불가능하므로 마감 시간을 꼭 지켜야 한다. 대개 인터넷 접수는 마감일에 혼잡하여 시스템이 느려질 수도 있으니 마감 전날까지 접수하는 것이 좋다. 필기시험 면제자(면접시험만 응시하는자)도 반드시 접수기간내 접수하여야 한다. 수수료는 42,000원이고, 전자결제(신용카드, 계좌이체, 가상계좌)이다.
필기시험은 매 과목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매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을 득점한 자만이 합격할 수 있다.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는 2013년 4월 17일(수) 9시이다. 발표장소는 한국산업인력공단 청소년상담사 홈페이지(http://www.q-net.or.kr/site/sangdamsa)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사 홈페이지(http://www.youthcounselor.or.kr)이다.
필기시험 합격자는 면접을 보고, 면접시험에 합격해야 ‘최종 합격자’가 되고 자격연수를 마쳐야 청소년상담사 자격증을 발급 받을 수 있다. 자격연수 시간은 120시간인데, 좀 더 자세한 사항은 합격자 발표시에 안내할 것이다.
2. 청소년상담사 합격률의 동향
2012년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청소년상담사 필기시험 합격자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청소년상담사 1급은 38명, 2급은 415명, 3급은 2,042명 합계 2,495명이 합격했다. 이는 2011년 1급 19명, 2급 298명, 3급 418명(합계 735명)이 합격한 것에 비교할 때 1급과 2급보다 3급의 합격률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필기시험 합격자도 일부는 서류미비로 탈락되고, 면접에서 불합격할 수도 있다. 실제로 2012년에는 면접에서 상당수가 불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상담사는 4년제 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졸업한 사람이나 졸업예정자는 수강한 과목에 상관없이 누구나 청소년상담사 3급에 응시할 수 있고, 석사학위자는 2급에, 박사학위자는 3급에 응시할 수 있다(이왕이면 시험과목을 이수하면 시험에 유리하고 혹 이수하지 않았더라도 관련 교재를 구입하여 반복해서 읽고 암기하기 바란다).
최근 초중고등학교에서 교육복지사를 채용하거나 전문상담사를 채용할 때 청소년상담사를 우대하고, 사회복지사와 청소년상담사를 함께 가진 경우에는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쉼터 등에 우선적으로 채용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청소년분야로 진출하길 희망하는 대학생은 반드시 청소년상담사 3급 혹은 2급(석사학위 소지자가 응시)에 도전하기 바란다.
등급별 연도별 |
1급 |
2급 |
3급 |
전 체 |
2003년 |
107 |
293 |
284 |
684 |
2004년 |
21 |
90 |
103 |
214 |
2005년 |
21 |
171 |
151 |
343 |
2006년 |
30 |
171 |
206 |
407 |
2007년 |
1 |
177 |
296 |
474 |
2008년 |
47 |
194 |
450 |
691 |
2009년 |
15 |
239 |
517 |
771 |
2010년 |
14 |
140 |
332 |
486 |
2011년 |
19 |
298 |
418 |
735 |
2012년 (필기합격) |
38 |
415 |
2,042 |
2,495 |
2011년까지 전체 |
275 |
1,773 |
2,757 |
4,805 |
필자가 2011년 4월 24일에 쓴 글을 참고하기 바란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은 2011년 3월 27일에 실시된 청소년상담사 1급, 2급, 3급 필기시험의 합격예정자를 4월 12일에 발표하였다. 합격 예정자는 '응시자격에 해당되는 서류'를 제출하면, 공식적으로 필기시험 합격자가가 되고, 면접시험을 본 후에 연수를 받으면 청소년상담사를 취득하게 된다.
이번 시험의 합격자는 급수별로 다른데, 1급은 182명이 접수하고 19명이 합격하여 합격률은 10.4%이고, 2급은 1,802명이 접수하고 412명이 합격하여 합격률은 22.9%이며, 3급은 3,963명이 접수하고 565명이 합격하여 합격률은 14.3%이고, 전체 접수자 5,947명 중에서 합격자는 996명으로 합격률은 16.7%이었다.
이러한 합격률은 2010년 1급 11%, 2급 11%, 3급 13%, 전체 12%에 비교하여 약간 상향되었지만, 2급 합격률이 2010년 11%에서 2011년 22.9%로 두배 가량 향상된 것을 제외하면 별로 차이가 없는 듯하다.
청소년상담사의 합격률이 다소 낮은 이유는 1) 사회복지학과, 교육학과, 심리학과, 상담학과 등 청소년상담 관련 학과를 나온 사람이면 누구나 청소년상담사에 응시할 수 있기 때문이고, 2) 청소년상담사 출제 범위에 대한 표준 기준이 공표되어 있지 않으며, 3) 청소년상담사를 출제하는 교수진이 주로 명문대학교 출신이거나 유명 대학교에 재직하여서 청소년상담사의 전문성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기 때문인 듯하다.
따라서 청소년상담사를 준비하는 사람들은 좀 더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도 청소년상담사의 출제범위를 공표하며, 시험의 난이도와 변별도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서 시험의 출제방식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3. 청소년상담사 합격을 위한 시험 준비
1) 좋은 교재로 공부하자
청소년상담사 국가시험은 과목별로 2명의 출제자들이 현장에서 출제하는 방식이다. 일부 국가시험은 문제은행식으로 여러 명의 출제자가 출제한 것을 출제현장에서 선정하여 다듬는 경우도 있지만(청소년지도사는 문제은행식이다), 청소년상담사는 대개 과목별로 2명의 교수진이 현장에서 출제를 한다.
동시에 수십과목을 출제하도록 관리하는 관리자는 모든 과목별로 모든 교재를 수집할 수는 없기에 해당 과목을 가장 대표하는 교재 5권 내외를 현장에 비치한다. 따라서 출제자는 비치된 교재를 보고 출제하고, 가급적 2권 이상에서 출제 근거를 밝혀야 하기에 해당 분야를 가장 대표하는 교재 중에서 중복되는 사항을 중심으로 출제한다.
수험생은 해당 분야를 가장 대표하는 교재로 공부하는 것이 합격의 지름길이다. 서점에서 가장 잘 팔리고, 대학교에서 해당 과목의 교재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청소년상담사 3급의 과목인 ‘발달심리’의 경우 2013년 1월 3일 알라딘에서 검색된 책의 순위는 정옥분의 발달심리학, 송명자의 발달심리학, 김태련 외의 발달심리학, 이현경의 부모가 꼭 알아야 할 아기발달심리학, 곽금주가 옮긴 아동발달심리학, 송길연이 옮긴 발달심리학이다. 그중 아기발달심리학은 청소년상담사와 거리가 있기에 5권으로 압축되고, 링킹이 좋은 한권을 선정하여 ‘반복해서’ 공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방식으로 교재를 선택하여 공부하면 합격에 도움이 될 것이다.
알라딘에서 검색한 ‘발달심리’의 경우 1. [국내도서]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정옥분 (지은이) | 학지사 | 2004년 6월 28,000원 2. [국내도서] 발달심리학 (송명자) 송명자 (지은이) | 학지사 | 2008년 8월 19,000원 3. [국내도서] 발달심리학 (김태련 외) 김태련 (지은이) | 학지사 | 2004년 7월 18,000원 4. [국내도서] 부모가 꼭 알아야 할 아기발달심리학 - 태어나서 두 살까지 이현경 (지은이)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07년 10월 11,000원 5. [국내도서] 아동발달심리학 John W. Santrock (지은이), 곽금주 (옮긴이) | 박학사 | 2006년 1월 25,000원 6. [국내도서] 발달심리학 - 제8판 David R. Shaffer (지은이), 송길연 (옮긴이) | Cengage Learning Asia | 2012년 1월 37,000원 |
2) 시험에 나올 내용을 공부하자
청소년상담사 국가시험의 큰 문제점은 과목별 교육과정의 범위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청소년상담사 3급은 대학에서 가르치는 과목과 어느 정도 일치하지만, 2급과 1급으로 갈수록 대학에서 가르치는 과목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시험에 어떤 내용이 나올 지를 알기 어려운데, 가장 쉬운 방법은 같은 과목에서 링킹이 좋은 책 3권을 선정하여 2권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것을 집중적으로 공부하면 될 것이다.
청소년상담사 국가시험을 오랫동안 관리해온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은 ‘청소년상담사’의 과목에 대한 ‘표준 교육과정’을 공표한 바 없지만, 시험 출제 가이드라인이 있다. 이 가이드라인은 공식적인 문서라기보다는 참고자료인데, 내용이 너무 축약되어서 구체성이 떨어진다. 사회복지사의 경우에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격년으로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서’를 발간하는데, 청소년상담사는 그것이 없어서 아쉽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의 청소년상담사 3급 출제 가이드라인 1. 발달심리- 발달심리학의 기초, 전생애적 접근 2. 집단상담의 기초- 집단상담 이론, 집단상담 실제, 집단상담 영역별 프로그램 3. 심리측정과 평가- 심리측정의 기본개념,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의 선정과 시행, 인지적 검사, 정의적 검사, 투사적 검사 4. 상담이론- 청소년상담 개론, 청소년상담 이론, 청소년상담의 실제 5. 학습이론- 학습의 개념, 학습이론, 동기/정서와 학습 6. 청소년이해론- 청소년발달, 청소년문화/복지, 청소년환경, 청소년문제 7. 청소년수련활동- 청소년수련활동의 이해, 수련활동 프로그램, 수련활동 지도, 수련활동 기관, 수련활동 실제,수련활동 여건과 환경 |
이점에서 청소년상담사 대비 강좌를 개설해온 나눔복지교육원의 김형준 교수(청소년상담사, 사회복지사 등)가 만든 ‘청소년상담사 3급 수험서’의 내용이 참고가 될 것이다. 청소년상담사의 기출문제가 공식적으로 공표된 적이 없기에 수험서로 공부하면 나름대로 실전 감각을 익힐 수 있을 것이다.
나눔복지교육원 김형준 교수가 ‘나눔복지교육원’에서 만든 책의 목차 제1과목 발달심리 1. 인간발달의 이해 2. 발달연구법 3. 각 분야별 발달의 이해 4. 인간의 발달단계별 특징 5. 인간발달 일반 및 기타 제2과목 집단상담의 기초 1. 집단상담의 의의 및 특징 2. 집단상담과 토의집단 및 집단지도 의 차이 3.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 4. 집단상담자의 역할과 집단성원 유형 5. 집단상담 계획 및 집단성원 선발 절차 6. 집단상담의 과 정 7. 집단상담의 기법 8. 집단상담 윤리 및 집단상담의 평가 9. 청소년 집 단 상담 10. 집단상담의 이론적 접근 제3과목 심리측정 및 평가 1. 심리검사의 의미와 목적 2. 심리검사의 역사 3. 심리검사의 분류 4. 상담에서 활용되는 인간 이해의 방법 5. 측정과 검사의 기초개념 6. 지능 검사 7. 성격검사 8. 정신건강과 각종 검사 제4과목 상담이론 1. 지그문 트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2. 안나 프로이드의 자아 방어기제 이론 3. 아들러의 개인심리적 상담이론 4. 형태주의 상담이론(게슈탈트 상담) 5. 의사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 TA) 상담이론 6. 현실주의 상담이론 7. 인지적-정서적 상담이론 7-1 엘리 스의 합리적 정서 행동 치료(REBT) 7-2 벡의 인지치료 8. 행동주의 상담이론 9. 인간중심상담이론 10. 실존주의 상 담이론 11. 상담의 진행과정 - 시작에서 종결까지 12. 주요 상담기법 13. 상담윤리 제5과목 학습이론 1. 학습의 정의와 종류 2. 고전적 조건형성 3. 도구적 조건형성 4. 조작적 조건형 성 5. 도구적 조건 형성의 주요 현상들(=고전적 조건형성과 같 은 현상들) 6. 고전적 및 도구적 조건 형성의 한계 7. 인지학습(=형태주의 학습) 8. 사회학습이론-반두라 9. 정보처리 이론 10. 귀인이론 11. 학습장애 12. 학습동기 13. 기타 이론 298 선택과목 청소년이해론 1. 청 소년에 대한 역사적 조망 2. 청소년의 의미와 발달적 특징 3. 청소년학 연구방법 - 청소년 발달 연구의 접근법 4. 청소년 발달의 생물학적 기초 (신체적 발달) 5. 청소년기 인지적 발달 6. 청소년기 정서적 발달 7. 청소년기 자아발달과 자아정체감 발달 8. 청소년기 사회적 발달 9. 청소년기 성 역할 10. 청소년 문화의 의미와 성격 11. 청소년 상담 12. 청소년의 위험행동 13. 청소년 행정과 정책 부 록 청소년 상담사 3급 자격 대비 중요내용 암기문장(필수과목) 청소년 상담사 3급 자격 대비 ○, × 문제와 해설 중요 학자별 이론 및 실험내용 중요 용어 정리 청소년상담사 윤리강령 각 과목별 중요 보충 내용(발달심리~청소년이해론) 교육심리학 개념들 청소년 상담사 3급 모의 면접 사례 및 중요 참고자료 최근 청소년상담사 2급 기출 문제 유형 |
3) 효과적으로 공부하자
시험공부를 잘 하는 것은 합격할 때까지 공부하는 것이다. 시험의 난이도를 볼 때 청소년상담사는 상당히 어렵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출제자의 상당수가 서울대학교 출신 교수이기 때문이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의 전신인 한국청소년상담원의 원장은 오랫동안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박성수 교수이었다. 한국청소년상담원이 확장되던 시기에 새로 채용된 ‘상담교수’는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박사 출신이 많았고, 이들은 현재 전국 주요 대학교의 교육학고, 상담학과, 교육심리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청소년상담사 국가시험을 출제하는 인력풀은 한국청소년상담원 출신이 많기에 결국 서울대학교 출신 교수들이 ‘청소년상담사 국가시험’을 출제한다. 또한 청소년상담사를 이미 취득하였거나, 상담학을 가르치는 교수들은 청소년상담사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험의 난이도를 어느 정도 높여야 한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고민에 빠진 청소년을 상대로 상담하는 청소년상담사는 적어도 이 정도 수준은 되어야 한다는 기대 수준이 높기에 청소년상담사 국가시험은 다소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수험생은 기출문제의 유형을 파악한 후에 각 과목별로 주요 사항을 암기하고, 예상문제를 풀어서 실력을 확인한 후에, 요약집 등으로 다시 한번 더 암기하는 것을 반복해야 한다. 이때 전문가들이 강의하는 동영상 강좌도 적극 권유하고 싶다. 국가시험은 시험처럼 준비할 때 훨씬 합격률이 높아진다.
최선을 다하서 공부하되 합격 여부는 운에 맡겨야 할 것이다. 청소년상담사의 합격률은 대체로 30% 이하이었는데, 시험이 너무 어려워서 합격률이 너무 낮다는 비판이 일면 다소 쉬워지기도 한다. 예컨대, 2010년과 2011년 청소년상담사 국가시험은 매우 어려워서 합격률이 낮았는데, 이에 대한 반동으로 2012년에는 다소 쉬웠고 합격률도 높아졌다. 따라서 최선을 다해서 시험준비를 하지만, 혹 불합격하면 그 다음 해에 또 보는 것이 좋다. 또한 청소년 관련 학과 학사는 청소년상담사 3급에 응시할 수 있고, 석사는 2급에 응시할 수 있기에 대학원에 진학하여 2급에 응시하면 바로 청소년상담사 2급이 될 수도 있다.
4. 청소년상담사의 발전을 위한 제안
청소년상담사가 국가시험으로 더욱 발전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시험 과목별로 교육과정이 지침서로 표준화되고, 지침서에 맞는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와 같은 인접 분야의 경험을 차용하면 될 것이다. 한국청소년상담학회와 같은 학술단체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이 함께 교과목별로 지침서 안을 만들고 이를 공론화하여 ‘청소년학 교과목 지침서’를 만들 것을 제안한다.
둘째, 청소년상담사 국가시험을 1교시 필수과목 120분(1급은 90분), 2교시 필수과목과 선택과목 60분으로 되어 있는데, 생리현상 등을 고려할 때 120분은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다. 따라서 60분, 60분, 60분으로 나누어서 3시간에 걸쳐서 보거나(휴식시간을 30분에서 20분으로 줄인다), 90분, 90분으로 나눌 것을 제안한다. 인간의 생리리듬과 집중도를 고려할 때 60분, 60분, 60분으로 나누어서 볼 것을 적극 제안한다. 만약 과목별 시험문제를 30문항에서 25문항으로 줄이면 시험시간을 75분, 75분으로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셋째, 필기시험을 3월 30일에 보는 것은 대부분의 수험생이 당해 년도 졸업생이라는 점에서 조금 늦은 감이 있다. 3월 30일에 시험을 보면 졸업후 한 달 이상동안 시험 준비를 해야 하고, 면접을 5월 15일에 보고 합격통보를 받는 것이 6월 5일이다. 또한 청소년상담사 자격증을 발급받은 것은 연수를 마친 후에 받기에 졸업후에 적어도 1년을 청소년상담사 시험준비만 하고 청소년상담사로 일할 기회를 잡을 수 없다.
따라서 청소년상담사의 시험관리를 보다 신속하게 할 것을 제안한다. 교육과정이 12월 중순이 끝나고 청소년상담사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상당수 사회복지사도 함께 준비한다는 점에서 볼 때 필기시험은 2월 하순에 보고, 필기시험 합격자는 관련 서류 접수와 동시에 면접을 보게 하여 3월중에 완료할 것을 제안한다.
넷째, 합격자에 대한 연수도 신속하게 실시하여 가급적 상반기 안에는 청소년상담사의 발급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 연수 대상자들이 증가하여 연수기간이 길어지는데,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이 전국의 주요 대학교 상담관련 학과와 협약을 맺어서 연수를 진행하면 훨씬 신속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한국청소년상담사협회를 통해서 상담사의 역량강화와 세력화를 도모해야 한다. 한국청소년상담사협회가 자리를 잡을 때까지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이 협력기관으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5. 참고 자료
이용교 교수가 2011년 3월 27일에 쓴 관련 글
출처: http://cafe.daum.net/ewelfare?t__nil_cafemy=item
청소년상담사의 시험과목별 교과목지침서를 개발하기 바란다.
2011년 3월 27일
오늘은 청소년상담사 국가시험이 있는 날이다.
이번 시험에는 1급 청소년상담사에 182명이 접수하고, 2급 상담사에 1,802명, 3급 상담사에 3,963명이 접수하여, 모두 5,947명이 접수하였다. 대개 접수자의 약 90% 가량이 응시한 것으로 볼 때, 이번 시험에는 모두 5,500여명이 응시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시험을 본 수험생들은 “작년에 비교하여 약간 쉬워졌지만, 합격률”은 그리 높지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2010년에 1급은 102명이 응시하여 11명이 합격하였고(합격률 11%), 2급은 1,162명이 응시하여 136명이 합격(11%), 3급은 2,735명이 응시하여 359명이 합격(13%), 모두 3,999명이 응시하여 506명이 합격하였다(합격률 12%).
2010년에는 합격률이 지나치게 낮아서 사회문제가 되었는데, 2011년에는 다소 쉽게 출제된 듯하다. 특히 청소년지도사 1급은 박사급, 2급은 석사급이 응시하지만, 3급은 학사학위를 마친 사람이 처음 취득하는 청소년상담사이므로 “합격률 12%는 지나치게 낮다”는 여론이 반영된 듯하다. 합격자 발표가 아직 나지 않는 상황에서 다소 성급한 판단일 수는 있지만, 2010년도보다는 다소 쉽게 출제되어 합격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청소년상담사는 1급은 필수 3과목과 선택 2과목, 2급은 필수 4과목과 선택 2과목, 3급은 필수 4과목과 선택 2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택과목이 다소 많기에 출제과목은 모두 22과목이고, 각 과목당 30문항씩 출제되고 있다. 한 문항당 문제를 푸는 시간은 60초로 한 문제당 50초인 사회복지사 1급 시험에 비교하여 시험시간은 다소 여유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청소년상담사, 청소년지도사는 시험과목은 정해져 있지만, 해당과목별로 ‘교육과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서 시험범위가 정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점에서 수헝생들은 어떤 과목에서 어떤 내용을 공부해야 할 것인지를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청소년상담사 3급과 2급의 시험과목은 과목별로 교재가 몇 종씩 있지만, 청소년상담사 1급은 교재도 별로 많지 않아서 공부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향후 청소년상담사, 청소년지도사는 사회복지사의 제도를 참조할 필요하기 있겠다. 즉 사회복지사는 과목별로 교육과정이 표준화되어 있기에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정한 교과목지침서의 범위 내에서 시험문제가 출제되는데, 청소년상담사도 가까운 장래에 그렇게 되길 기대한다.
각 과목별 교과목 지침서를 만들기 위해서는 ‘청소년학과 대학협의회’가 한국청소년학회 등과 협력하여 지침서위원회를 만들고, 각 과목별로 이를 강의하는 교수님들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여 공통적인 사항을 중심으로 표준 강의계획서를 만들면 될 것이다. 청소년상담사, 청소년지도사의 국가시험을 출제하는 기관(구 한국청소년상담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년부터 한국산업인력공단)이 나름대로 출제기준을 갖고 있지만, 사회적 합의수준이 낮고 공표되지 않아서 수험생의 부담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조만간 과목별 교과목지침서의 개발을 촉구한다. 이용교(복지평론가) lyg29@hanmail.net
------------
(‘위민리포트’의 기사를 요약한 것입니다. 기사를 대부분 살리고 사진만 편집하였음)
http://www.women.go.kr/new_women/women/common/bbs/view.do?menuId=M00224&selectedSeq=90815
[사회문화]
청소년상담사 시험 이대론 안된다
등록일 2010.05.25
글,사진 위민기자 유영희
"시험 문제를 받아본 순간 합격시키기 위한 시험이 아닌 떨어뜨리기 위한 시험이구나 하는 느낌이 들더군요. 도대체 누구를 위한 시험인지 알 수가 없어요."-수험생의 말
2010년 4월 25일 서울 광진구 등에 소재한 4개 학교에서 청소년상담사 시험이 치러졌다. 그리고 5월 12일 1차 필기합격자가 발표됐다. 청소년상담사 시험은 2003년 시행된 이래 문화관광부, 국가청소년위원회, 보건복지가족부 등으로 소관부처가 이동하였으며 올해 여성가족부로 옮겨온 후 첫 시행된 시험이면서 상담사 자체 시험으로는 8회였다. 청소년상담사 시험을 보는 수험생들의 불만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시험장소와 횟수, 높은 결시율
시험은 1년에 단 한 차례, 그것도 서울에서만 이뤄진다. 그 때문에 지방에서 시험을 보려는 수험생들은 전날 서울에 올라와 숙식을 해결해야 하거나 시험당일 새벽차를 타고 이동해야 한다. 특히 제주에서 사는 사람은 비행기 타고 올라가서 봐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으며 당일 출발하는 수험생들은 새벽에 일어나 시험장소로 가기 위해 잠을 설치는 경우가 다반사다. 해마다 지방에서 올라오는 수험생들로 인해 근처 일대 숙박업소의 숙박료는 부르는 게 값이다. 이런 이유가 겹쳐 한 고사장마다 10명 내외의 결시생들이 속출한다. 수험료 외에 부대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가난한 수험생은 시험도 볼 수 없다.
시험시간과 문제의 난이도, 낮은 합격율
3급의 경우 첫 1교시에 4과목 120문제를 풀어야 한다. 주어진 120분 안에 풀어야 할 문제는 지문이 길어 한 문제당 1분 안에 소화하기 어렵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특히 고사장 내 시계가 없어 수험생들이 수시로 시간을 감독관에게 묻는 통에 집중할 수가 없다. 화장실도 가지 못한 채 풀어야 하는 문제는 변별력과 난이도 면에서 국가고시 중 청소년상담사가 제일 어려운 시험이라고 수험생들이 말하는 걸 실감하게 만든다. 청소년상담사 합격률은 의사고시 합격률이 98%, 한의사고시 95%에 비해 대략 1급 10%, 2급 20%, 3급 30%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훨씬 못 미치는 때가 많다.
1차 필기시험을 보기위해서는 서류전형이 필요하다. 이 서류전형은 제법 까다로워서 간혹 불합격되는 경우가 생기는데 상담원측과 수험자간의 의견차이가 있어 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요건 여부가 문제시되는 경우도 생긴다. 말 많은 서류가 통과되고 그토록 어려운 필기시험 합격 후 2차 면접을 통과하면 100시간 연수 과정이 남아있다. 그러나 이 100시간 연수를 하기 위해 직장을 2주 이상 비워야 하거나 몇 개월 동안 주말마다 연수를 받아야 하는 애로사항으로 직장인은 이마저도 쉽지 않다.
인터넷 다음 카페<김형준-나눔복지교육원 http://cafe.daum.net/socw97>의 김형준(42, 나눔씨패스 대표)교수는 "정말 이번 시험은 난이도 면에서 실패했다고 본다. 시험지 유출이 안 되는 상황에서 어쩌다 있는 3급 수험교재마저도 시험에 도움이 되지 못할 만큼 어려웠다. 게다가 상담사 수험교재도 1,2급의 경우엔 거의 없는 편이다. 수험생들의 편의를 생각한다면 시험시간과 장소, 문제의 난이도 조절 등 보다 더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면서 <한국청소년상담원 시험관리 문제제기와 시정을 요구하는 제안서(http://cafe.daum.net/socw97/NW48/42)>를 통해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했다.
김인규(전주대 상담학과) 교수는 "시험장소와 횟수는 대부분 공감하는 부분이지만 쉽게 개선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때 한국청소년상담원 연수팀에서 일한 적이 있어 다분히 편향적인 답변일 수도 있으나 청소년상담사 시험이 어려워 수험생들이 많이 떨어지는 것이 문제라고 여기지 않는다.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자격을 갖춘 자가 상담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일요일이 아닌 쉬는 토요일에 시험을 봤으면 하는 희망은 있다."고 밝혔다.
임은숙(49, 사회과학 박사) 외래교수는 "시험 장소는 지방까지 확대해야 한다. 또한 어려운 필기시험을 합격했다고 해서 전문가로 검증됐다고 볼 수는 없다. 필기시험은 보편적인 지식을 묻는 선을 넘어서지 않도록 하는 게 좋으며 면접을 강화하고 연수를 통해 실질적인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한국청소년상담원의 입장
이에 대해 한국청소년상담원 이소엽(44, 역량개발실교육개발팀) 팀장은 "우리도 시험 장소와 횟수에 대해서 수험생들의 고충을 모르는 바가 아니다. 그렇지만 예산과 인력충원이 필요한 대목이다. 당장 지방에서 시험을 보게 하려 해도 그 관리인원이 없으며 횟수를 늘리는 것이 필요하지만 그 예산 마련도 상당히 어렵다. 그렇다고 수수료를 무한정 올릴 수도 없다.
그리고 대부분의 국가고시에서 시계를 비치하는 경우는 없다. 그러므로 수험생들은 필요하다면 사전에 시계를 준비해서 수험장에 들어와야 한다.
고사장의 분위기는 나름 준비한다고는 하지만 수험생의 기대치에 못 미칠 때도 있다. 최대한 수험생이 편리하도록 노력하는 중이다.
1차 서류전형은 이 시험을 보는 수험생들이 특정학과에 한정되어 있지 않아서 변수가 많다. 2003년에 시험 볼 수 있는 자격인 9개 관련학과로 시작한 학과는 최근 늘어난 다양한 학과들로 시험을 볼 수 있는지 여부를 판가름하기가 상당히 어려워졌다. 서류전형은 그로 인한 커리큘럼이 되어 있는지 확인여부에 따라 당락이 결정되기 때문에 전형위원의 의견을 듣고 문제가 있을 경우 변호사를 통해 타당한지 알아본 후 시험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교시 시험시간은 긍정적으로 검토하려 한다. 연수 역시 연수를 받는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 노력중이다. 하지만 필기를 통과했다하더라도 현장에서 바로 상담을 하기란 쉽지 않다. 연수를 효과적으로 진행하면서 연수생의 편의를 높이는 방법을 강구하지만 쉬운 일이 아니다. 청소년상담사 합격률 역시 낮긴 하지만 공인중개사 합격률은 20%도 되지 않는다. 합격률은 해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급별로 정해진 %는 있지 않다. 또한 개인적인 전망이지만 시험의 난이도는 앞으로도 쉽게 내지 않을 것이다. 청소년 상담사는 위기 청소년의 삶에 개입하는 아주 민감하고 중요한 일을 하기 때문에 섣불리 역량이 되지 않는 비전문가에게 자격을 줘서 청소년의 삶을 어렵게 하는 상황이 벌어져선 안 된다고 판단한다. 물론 이 시험에서 떨어진 사람들이 다 비전문가라는 얘긴 아니다. 다만 의사고시나 한의사고시처럼 높은 합격률이 아닌 이유는 한의사나 의사는 대학에서 이미 10년 가까이 관련공부와 훈련을 하고 나왔기 때문에 그렇게 높은 합격률이 정상이겠지만 특별히 청소년상담만 전문으로 하는 과정이 그다지 없다. 그러므로 필기시험을 엄정히 운영하고 연수를 강화하는 과정을 통해 전문가를 배출해내려는 목적이 있다. 정말 청소년 상담을 하고 싶다면 그 정도는 공부하고 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같은 맥락에서 앞으로는 보수교육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답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