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모음 < 1 >
부처님은 지금으로부터 약 2600여년전 서력전 624년에 지금의 네팔 타라이 지방인 카필라(kapila)국 샤카(sakya.釋迦)족의 정반왕과 왕비 마야(智慧)부인 사이에 태어났다.
성은 고타마 (최상의 소라는 뜻) 이름은 싯타르타 (모든일이 뜻대로 이루어진다)였다.
고타마 싯타르타가 출가 수행하여 깨달음을 얻어 부처님이 되자 사람들은 그를 석가모니(sakayamuni) 즉 석가족 출신의 성자라 불렀다.
1.부처님이 도솔천에 머물고 계실 때 보살로서 십바라밀을 닦고 있었는데 그때 이름은 무엇인가? (호명보살)
2.부처님의 탄생게송을 쓰시오?
天上天下 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
탄생게송의 의미
당시 신 중심의 인간관과 세계관을 부정하고 인간의 존엄성과 자아중심의 세계관이 불교사상의 핵심임을 선언 하신것이며 불법의 절대존엄성을 상징화 하고 있다.
3.불교의 사대성지는 어디인가? (탄생지-룸비니동산) (성도지-부다가야) (초전법륜(설법지)-녹야원) (열반지-쿠시나가라)
4.태자의 앞날을 예언한 당시의 선인은 누구인가? (아시타선인)
출가를 하게 되면 대성자(부처님)이 되실 것 이며 그렇지 않으면 전륜성왕(cakravarti-raja.인도신화에서 七寶(칠보)를 갖추고 正法(정법)으로 수미산의 사방에 있는 대륙을 다스리는 왕으로, 하늘로부터 받은 윤보(輪寶)를 굴려 모든 장애를 물리친다고 함)이 될것이라 예언 하였다.
5.불교의 5대 명절은?
*탄생일 (음력 4월8일) *출가일 (음력 2월8일) *성도일 (음력 12월8일)
*열반일 (음력 2월15일) * 우란분절 (백중 -음력 7월15일)
우란분(盂蘭盆)은 산스끄리뜨어 Ullambana의 음사로 도현(倒縣)이라 번역. 거꾸로 매달리는 고통을 받는다는 뜻
우란분경1권.서진(西晋)의 축법호(竺法護)번역. 목련존자가 아귀의 고통을 겪고있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구원하기 위해 세존의 가르침대로 자자일(自恣日)에 여러 부처와 보살, 그리고 승려에게 갖가지 음식과 과일을 지성으로 공양하여 어머니를 제도하였다는데서 유래 하였다함
6.싯달타 태자 탄생 후 이렛만에 생모인 마야부인이 세상을 뜨시고 당시의 풍습에 따라 이모가 정반왕과 재혼해서 태자를 양육하였으며 후일 최초의 비구니가 되신 분은 누구인가? (마하파자파티)
7.당시 인도사회는 사성계급(카스트제도)제도가 있었는데 4가지 계급을 쓰시오?
(바라문-사제. 크샤트리아-왕족. 무사. 바이샤-평민. 수드라-노예)
8.사성제(四聖諦)
제는satya의 번역으로 진리를 뜻함. 괴로움을 소멸시켜 열반에 이르는 네 가지 진리
1)고제(苦諦)-괴로움이라는 진리. 태어나고(生)늙고(老)병들고(病)죽는(死)괴로움과,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괴로움(愛別離苦),미워하는 사람과 만나거나 살아야 하는 괴로움(怨憎會苦), 구하여도 얻지 못하는 괴로움(求不得苦), 오온(五蘊)에 탐욕과 집착이 있으므로 괴로움(五蔭盛苦). 生,老,病,死,愛別離苦,怨憎會苦,求不得苦,五蔭盛苦를 八苦라 한다.
苦를 성질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누면 苦苦(고고),壞苦(괴고),行苦(행고),등으로 나누는데 고고란 추위, 배고픔, 부상을 당했을 때 느끼는 것과 같은 고를 말한다. 괴고는 애착을 가지고 있는 대상이 파괴 되거나 사라져 버릴 때 느끼는 苦, 부귀, 명예 등을 잃어버리거나 애지중지 하던 물건이 없어져 버렸을 때 느끼는 고통
行苦란 무상함을 조건해서 느끼는 苦이다. 인간이 끊임없이 변하는 현실(生. 老. 病. 死.)앞에서 느끼는 괴로움
2)집제(集諦)-괴로움의 원인이라는 진리. 괴로움이 일어나는 원인은 몹시 탐내어 집착하는 갈애(渴愛)라는 진리. 집(集)은 집기(集起).기인(起因).원인을 뜻함
3)멸제(滅諦)-괴로움의 소멸이라는 진리. 갈애을 남김없이 소멸하면 괴로움이 소멸되어 열반에 이른다는 진리
4)도제(道諦)-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이라는 진리. 팔정도(八正道)는 갈애를 소멸시키는 수행법이라는 진리
*갈애의 종류
욕애-육체의 다섯 가지 감각기관을 만족시키는 애착
유애-윤회의 존재에 대한 목마름
무유애-허무주의 탐닉으로 쾌락이나 범죄로 빗나감
9.사문유관(四門遊觀)
(東門-늙은사람. 南門-병든사람. 西門-죽은사람. 北門-출가수행자)
10. 팔상성도(八相聖圖)-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를 여덟으로 나눈것
1)도솔래의상(도率來儀相)-도솔천에서 내려오시다.
2)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세상에 태어나시다. 비람은 룸비니의 음사
3)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괴로움의 실상을 느끼다.
4)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성을 넘어 출가하시다.
5)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깨달음을 향해 정진하시다.
6)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마왕을 항복시키다.
7)녹원전법상(鹿苑轉法相)-진리를 설하시다.
8)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법신으로 상주하시다.
11.최초의 비구(초전법륜시 다섯 비구)
1)아야교진여(阿若燆陳如)-아야는 이름. 교진여는성
2)아설시(阿設示)-마사(馬師), 마승(馬勝)이라 번역
3)마하남(摩하男)-대명(大名), 대호(大號)로 번역
4)바제(婆提)-인현(仁賢), 소현(小賢)으로 번역
5)바부(婆敷)-기식(氣息)장기(長氣)라 번역
12.최초의 사원
죽림정사(竹林精舍)-마가다국(magadha國)의 왕사성 부근에 있던 불교 최초의 사원.붓다가 깨달음을 이루고 왕사성을 찿았을 때 칼란다(kalanda)가 붓다에게 기증한 죽림동산에 빔비사라(bimbisara)왕이 지어 붓다에게 기증함
13. 십대제자(十大弟子)-붓다의 뛰어난 열 명의 제자
1)사리불(舍利佛)-sariputra(사리푸트라)의 음사. 마가다국 바라문 출신으로 지혜가 뛰어나 지혜제일(智慧第一)이라 일컬음. 원래 목건련과 함께 육사외도(六師外道)의 한사람인 산자야의 수제자였으나 붓다의 제자인 아설시로 부터 그의 가르침을 전해 듣고 250명의 동료들과 함께 붓다의 제자가 됨. 붓다보다 나이가 많았고 병이 들어 고향에서 동생의 간호를 받다가 입적함
2)목건련(目犍連)-maudgalyana의 음사. 마가다국의 바라문 출신으로 신통력이 뛰어나 신통제일(神通第一)이라 일컬음. 원래 산자야의 수제자였으나 사리불과 함께 붓다의 제자가 됨. 붓다보다 나이가 많았고 탁발하던 도중에 바라문교도들이 던진 돌과 기왓장에 맞아 입적함
3)가섭(迦葉)-kasyapa의 음사. 마가다국 출신으로 엄격하게 수행하여 두타제일(頭陀第一)이라 일컬음. 바라문의 여자와 결혼했으나 가정생활을 싫어하여 아내와 함께 출가하여 붓다의 제자가 됨.붓다가 입멸한 직후, 왕사성 밖의 칠엽굴에서 행한 제1차결집 때 의장이 되어 그 모임을 주도함. 부처님의 상수제자
4)수보리(須菩提)-subhuti 의 음사. 사위국(舍衛國)의 바라문 출신으로 공(空)의 이치에 밝아 해공제일(解空第一)이라 일컬음
그래서 空을 설하는 經에 자주 등장하여 설법함
5)부루나(富樓那)purna의 음사. 바라문 출신으로 설법을 잘하여 설법제일(說法第一)이라 일컬음. 녹야원(鹿野苑)에서 붓다의 설법을 듣고 그의 제자가 됨. 인도의 서쪽 지방에서 붓다의 가르침을 전파하다가 입적함
6)아나율(阿那律)-aniruddha 의 음사. 붓다의 사촌 동생으로 붓다가 깨달음을 성취한 후 고향에 왔을 때 아난,난타등과 함께 출가함.통찰력이 깊어 천안제일(天眼第一)이라 일컬음
7)가전연(迦旃延)-katyayana의 음사. 인도의 서쪽에 있던 아반티국의 크샤트리아 출신으로 왕의 명령에 따라 붓다를 그 나라에 초청하기 위해 찿아 갔다가 출가함.
깨달음을 얻은 후 귀국하여 붓다의 가르침을 전파함. 교리에 밝아 논의제일(論議第一)이라 일컬음
8)우바리(優波離)-upali의 음사. 노예 계급인 슈드라 출신으로 석가족의 이발사였는데 아난, 난타, 아나율 등이 출가할 때 그들의 머리털을 깍아 주기 위해 따라갔다가 붓다의 제자가 됨. 계율에 엄격하여 지계제일(持戒第一)이라 일컬음. 붓다가 입멸한 직후 왕사성 밖의 칠엽굴에서 행한 제1차 결집 때 계율에 대한 모든 사항을 암송함으로써 율장의 성립에 크게 기여함
9)나후라(羅睺羅)-rahula의 음사. 붓다의 아들. 붓다가 깨달음을 성취한 후 고향에 왔을 때, 사리불과 목건련을 스승으로 하여 출가함. 지켜야 할 것은 스스로 잘 지켜 밀행제일(密行第一)이라 일컬음
10)아난(阿難)-ananda의 음사. 붓다의 사촌 동생으로 붓다가 깨달음을 성취한 후 고향에 왔을 때 난타, 아나율, 등과 함께 출가 함. 붓다의 나이 50여세에 시자로 추천되어 붓다가 입멸할 때 까지 보좌하면서 가장 많은 설법을 들어서 다문제일(多聞第一)이라 일컬음. 붓다에게 여성의 출가를 세 번이나 간청하여 허락을 받음
붓다가 입멸한 직후 왕사성 밖의 칠엽굴에서 행한 제1차결집 때 아난이 기억을 더듬어 가며 “이렇게 나는 들었다”(如是我聞) 어느 때 붓다께서는....이라는 말을 시작으로 암송하면 여러 비구들은 아난의 기억이 맞는지를 확인하여 잘못이 있으면 정정한 후 모두 함께 암송함으로써 경장(經藏)이 결집 됨
14. 삼처전심(三處轉心)-세존이 가섭에게 마음을 전했다는 세곳
1)다자탑전분반좌(多子塔前分半座)-세존이 비사리(毘舍離)에 있는 다자탑 앞에 앉아 설법하고 있는데 가섭이 오자 앉은 자리의 반쪽을 내어주니 대중이 놀라워 함
2)영산회상중염화미소(靈山會上中拈華微笑)또는 염화시중거염화
세존께서 영축산 에서 꽃을 들어 대중에게 보이시니 아무도 그 뜻을 몰랐으나 가섭만이 빙그레 미소를 지었다함
3)사라쌍수하곽시쌍부(沙羅雙樹下槨示雙趺)
세존이 쿠시나가라의 사라쌍수(사라나무 두그루)아래에서 입멸하자 입관(入棺)하였는데, 가섭이 다른 지방에서 세존의 입멸 소식을 듣고 그곳에 이르러 슬피 우니 세존이 두발을 棺 밖으로 내어보임
15.열반유훈
자등명 법등명 이계위사 불방일 (自燈明 法燈明 以戒爲師 不放逸)
자신을 등불로 삼고 법을 등불로 삼고 계를 스승으로 삼아서 방일하지 말고 열심히 수행정진 하라는 부처님 유훈
파와(pava)라는 마을에서 대장장이 아들 춘다(cunda)로부터 음식 공양을 받고(전단수이)그것이 식중독을 앓게함
쿠시나가라 사라쌍수 아래서 열반에 듦. 80세 되던 2월15일(베샤카달의 보름날)
16.경전의 결집
제1결집-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신 후 불교교단의 수제자인 가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왕사성의 칠엽굴 에서 500명의 깨달음을 얻은 아라한들이 참석하여 최초로 성전(聖典)편찬 회의를 가진 것이다.
아난존자가 부처님께서 설하신 교법의 내용을 암송하고 교단의 생활규범인 계율에 관한 부분은 우팔리존자가 암송하여 동석한 오백비구의 승인을 받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제1결집, 왕사성결집,500결집이라고 하는데 이 때 경과율이 결집되었다.
제2결집은 남전과 북전의 결집 과정이 다르게 전하고 있는데 남전에서는 제1결집 후 100년이 경과한 시기에 바이샬리의 밧지족 출신의 비구들이 제기한 열 가지 계율의 새로운 해석 문제를 놓고 700여명의 장로스님이 이러한 해석이 모두 옳지 않다는 것을 결의 하고 율을 결집 한 것을 말한다. 이 결집을 바이샬리 결집 또는 700결집이라고 한다.
이에 반대하는 스님들이 별도로 대중부를 조직하니 교단은 상좌부와 대중부로 분열되고 이를 근본분열이라고 한다.
북전에서는 대천(大天)이 제기한 오사(五事)의 문제로 제2결집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제3결집은 제2결집 후 다시 100년 가량 지나서 최초로 통일제국을 건설했던 마우리야 왕조의 제3대왕 아쇼카왕의 주선으로 이루어 짐. 아쇼카왕은 부처님의 정법에 입각하여 선정을 베풀었으며 포교사를 해외에 파견하여 불교를 널리 전파하였다.
당시 마우리야 왕조의 수도 화씨성의 계원사(鷄園寺)에는 6만여명의 스님들이 수행하고 있었다 함. 외도들이 승려로 가장하고 교단의 화합을 깨뜨리므로 아쇼카왕은 그들을 정리하기 위하여 당시 고승인 티샤(帝須)에게 교설의 확정 통일과 교단의 화합을 도모하도록 위촉함. 이 아쇼카왕의 주선으로 화씨성의 계원사에서 1000여명의 스님이 모여 제3결집을 이루었다.
이를 화씨성결집, 일천결집이라고 한다. 이 때 구전으로 전승되던 부처님의 말씀이 문자화 되었으며 經, 律, 외에 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내용인 논장(論藏)이 결집 되면서 삼장(三藏)의 형식을 갖추었다.
제4결집은 제3결집 후 다시 300년쯤 지나 2세기 전반 대월지국의 카니슈카왕의 뒷받침으로 결집이 이루어 짐
각 부파의 교의가 같지 않음을 안 카니슈카왕은 각 부파의 이설(異說)을 통일 하고자 협존자(脇尊子)와 상의하여 카슈미르의 환림사(環林寺)에서 경전을 편찬 하였다.
제4차 경전 편찬은 경,율,론, 삼장에 대한 편찬이 아니라 삼장의 주석(註釋)에 관한 결집이었다. 이 때 바라문교의 거룩한 성전어(聖典語)인 범어(sanskrit)로 불교경전을 표기 하게 되었다.
17.三學과 三藏
삼학-계(戒) 정(定) 혜(慧)
삼장-경(經) 율(律) 논(論)
18. 삼륜청정(三輪淸淨)
1)보시하는 자. 2) 보시받는 자. 3) 보시하는 물건
19. 삼법인(三法印)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일체개고(一切皆苦) 또는 열반적정(涅槃寂淨)
20. 부처님께서 갖춘 표상? (32상 80종호)
21.부처님과 법의 관계를 삼신설로 설명
1)법신불(法身佛)-진리 그대로의 부처님 (비로자나불)
2)보신불(報身佛)-원을 세워서 성불한 부처님 (노사나불.아미타불)
3)화신불(化身佛)-중생을 구원 하고자 오신 부처님 (석가모니불)
22.십팔불공법-부처님만이 갖추고 있는 18가지 특징
십력,사무소외,삼념주,대비
1)십력-부처님만이 가지고 있는 열 가지 지혜의 능력
①처비처지력(處非處智力)-이치에 맞는 것과 맞지 않는것을 분명히 구별하는 능력
②업이숙지력(業異熟智力)-선악의 과보와 행위를 아는 능력
③정려해탈등지등지지력(靜慮解脫等持等至智力)-모든 선정(禪定)에 능숙 함
④근상하지력(根上下智力)-중생의 능력이나 소질의 우열을 아는 능력
⑤종종승해지력(種種勝解智力)-중생의 여러 가지 판단을 아는 능력
⑥종종계지력(種種界智力)-중생의 여러 가지 근성을 아는 능력
⑦변취행지력(遍趣行智力)-어떠한 수행으로 어떠한 상태에 이르게 되는지를 아는 능력
⑧숙주수념지력(宿住隨念智力)-중생의 전생을 기억하는 능력
⑨사생지력(死生智力)-중생이 죽어 어디에 태어나는지를 아는 능력
⑩누진지력(漏盡智力)-번뇌를 모두 소멸 시키는 능력
2)사무소외(四無所畏)-부처가 가르침을 설할 때 확신하고 있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두려움이 없는 네 가지
(①정등각무외 ②누영진무외 ③설장법무외 ④설출도무외)
①正等覺無畏-바르고 원만하게 깨달음을 이루었으므로 두려움이 없음
②漏永盡無畏-모든 번뇌를 끊었으므로 두려움이 없음
③說障法無畏-끊어야 할 번뇌에 대해 설하므로 두려움이 없음
④說出道無畏-미혹을 떠나는 수행 방법에 대해 설하므로 두려움이 없음
3)삼념주(三念住)-어떠한 경우에도 동요하지 않고 바른 기억과 바른 지혜에 안주하는 부처의 경지를 세 가지로 나눈 것
①第一念住-중생의 공경을 받아도 기뻐하지 않고 바른 기억과 바른 지혜에 안주함
②第二念住-중생의 공경을 받지 않아도 근심하지 않고 바른 기억과 바른 지혜에 안주함
③第三念住-어떤 중생에게는 공경 받고, 어떤 중생에게는 공경 받지 않아도 기뻐하거나 근심하지 않고 바른 기억과 지혜에 안주함
4)대비(大悲)-중생을 불쌍히 여겨 괴로움을 덜어 주려는 부처나 보살의 마음
23.여래십호(如來十號)
1)여래(如來)-진여의 세계에서 와서 진리를 여실히 깨달으신 분
2)응공(應供)-응수공양의 준말. 응당 하늘과 사람의 공양을 받을만한 분
3)정변지(正遍知)-바르고 두루 원만하게 깨치신 분. 사성제 진리를 그대로 아시는 분
4)명행족(明行足)-명은 지혜를, 행은 실천을 의미하며 지혜와 실천을 구족하심
5)선서(善逝)-다시는 생사윤회에 빠지지 않고 저언덕(피안)으로 잘 가신 분
6)세간해(世間解)-일체 세간의 모든 것을 잘 알아서 중생을 구제 하시는 분
7)무상사(無上士)-세간과 출세간에서 가장 높으신 분
8)조어장부(調御丈夫)-지혜, 자비를 갖춰서 적절한 말과 방편으로 중생을 제도 하시는 분
9)천인사(天人師)-하늘(天神)과 사람의 위대한 스승
10)불세존(佛世尊)-깨달아서 세상에서 가장 존귀 하신 분
24.육바라밀 ?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正進) 선정(禪定) 지혜(智慧)
25.팔정도와 삼학과의 관계
계(戒)-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定)-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
혜(慧)-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26.십이연기의 항목
무명(無明)-행(行)-식(識)-명색(名色)-육입(六入)-촉(觸)-수(受)-애(愛)-취(取)-유(有)-생(生)-노사(老死).
12연기로써 때로는 생멸변화 하는 세계와 인생의 모든 현상을 설명하기도 하지만 이 교리의 근본목적은 인생의 근원적인
苦가 어떻게 생기고 어떻게 사라지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순관-고의 발생과정을 설명하는 것(유전연기)
역관-고가 소멸하는 과정을 설명(환멸연기)
27.국보32호 유네스코 1995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불교유산은? (해인사 팔만대장경)
28. 5대 적멸보궁?
1)영축산 통도사
2)사자산 법흥사
3)태백산 정암사
4)오대산 상원사
5)설악산 봉정암
29. 범종각에 놓여 있는 법구 중 사물은?
법종-천상과 지옥을 제도하기 위하여
법고-축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운판-허공을 나르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목어-수중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30.사천왕상? (동-지국천왕) (서-광목천왕) (남-증장천왕) (북-다문천왕)
31.정수리에 아미타불 화현을 모시고 다니며 연꽃,감로수병 등을 손에 들고 있는 모습의 보살상은? (관세음보살)
32. 지혜를 상징하는 보살로 주로 왼손에 연꽃을 들고 사자를 탄 모습을 한 보살상은? (문수보살)
33. 실천행을 상징하는 보살로서 코끼리를 탄 모양이나 연화대에 올라선 모습으로 된 보살상은? (보현보살)
34. 중관의창시자 용수가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은? (아비달마교학) 부처님 가르침에 대한 주석. 연구. 요약
35.용수의 저서(중론, 대지도론, 십이문론)
중론-용수의 간결한 게송. 팔불(八不) 연기(緣起) 무자성(無自性) 공(空) 중도(中道) 제법실상(諸法實相)
진속이제(眞俗二諦) 사성제, 열반 등에 대해 간단명료하게 서술
대지도론-대품반야경의 주석서. 구마라집 번역
십이문론-모든 현상이 공(空)함을 드러내고 이에 의거해서 진속이제의 의의를 밝힌 저술로 중론의 입문서
진속이제(眞俗二諦)-제는 진리를 뜻함
眞諦-분별이 끊어진 상태에서 있는 그대로의 파악된 진리
俗諦-분별과 차별로서 인식한 진리
36.용수의 제자 아리야제바가 용수의 학설을 수용하여 저술한 책 은? (백론) ariya-deba=kana-deba.가나는 애꾸라는 뜻
백론-용수의 학설을 수용하여 수론, 승론, 정리등의 학파의 견해를 비판한 저술
37. 유식삼십송을 저술한 사람은? (세친.)-4~5세기, 북인도 건타라국 출신승려. 서천21조
38.유식학에서 우리가 체험하는 현상의 구성요소인 法에 세 가지 자성이 있음을 조망 하였다 이를 쓰라
1)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두루 분별된 자성
2)의타기성(依他起性)-다른것에 의존한 자성
3)원성실성(圓成實性)-완전히 성취된 자성
39.사홍서원
1)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願度)-중생을 다 건지오리다
2)번뇌무진서원단(煩惱無盡誓願斷)-번뇌를 다 끊으오리다
3)법문무량서원학(法門無量誓願學)-법문을 다 배우오리다
4)불도무상서원성(佛道無上誓願成)-불도를 다 이루오리다
40. 여래십대발원문(부처님의 열가지 큰 발원문)
1)원아영리삼악도(願我永離三惡道)-원하오니 저희들이 삼악도를 여의게 하소서
2)원아속단탐진치(願我速斷貪嗔癡)-원하오니 저희들이 탐진치를 끊게 하소서
3)원아상문불법승(願我常聞佛法僧)-원하오니 저희들이 불법을 항상 듣게 하소서
4)원아근수계정혜(願我勤修戒定慧)-원하오니 저희들이 계,정,혜를 닦게 하소서
5)원아항수제불학(願我恒隨諸佛學)-원하오니 저희들이 부처님 배우게 하소서
6)원아불퇴보리심(願我不退菩提心)-원하오니 저희들이 보리심에 물러나지 않게 하소서
7)원아결정생안양(願我決定生安養)-원하오니 저희들이 극락세계에 태어나게 하소서
8)원아속견아미타(願我速見阿彌陀)-원하오니 저희들이 아미타를 뵙게 하소서
9)원아분신변진찰(願我分身遍塵刹)-원하오니 저희들이 분신을 펴게 하소서
10)원아광도제중생(願我廣度諸衆生)-원하오니 저희들이 중생들 제도하게 하소서
41.과거칠불(過去七佛)-석가모니 부처님과 그 이전에 출현하였다는 여섯 부처님
1)비파시불(毘婆尸佛)-장엄겁(莊嚴劫)중에 출현하여 파파라수(波波羅樹)아래에서 성불한 부처님
2)시기불(尸棄佛)-장엄겁 중에 출현하여 분타리수(分陀利樹)아래에서 성불한 부처님
3)비사부불(毘舍浮佛)-장엄겁 중에 출현하여 사라수(娑羅樹)아래에서 성불한 부처님
4)구루손불(拘樓孫佛)-현겁(賢劫)중에 출현하여 시리사수(尸利沙樹)아래에서 성불한 부처님
5)구나함모니불(拘那含牟尼佛)-현겁 중에 출현하여 오잠파라수(烏暫婆羅樹)아래에서 성불한 부처님
6)가섭불(迦葉佛)-현겁 중에 출현하여 이구류수(尼拘類樹)아래에서 성불한 부처님
7)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기원전 624년에 인도 북부 카필라국에서 탄생하여 35세에 보리수(菩提樹)아래에서 성불한 부처님
* 장엄겁-과거의 1대겁을 말함. 현겁-현재의 1대겁을 말함
성. 주. 괴. 공. 의 오랜 시간을 대겁이라 함. 네겁은 각각20중겁 이므로 80 중겁이 됨. 중겁은 인간 수명 팔만세에서 백년에 한살씩 줄어 10세에 이르고 다시 10세에서 백년에 한살씩 늘어 팔만 세에 이르는 시간을 말함
42.칠불통계게(七佛通戒偈)-과거칠불이 공통으로 계율의 근본으로 삼은 게송
1)제악막작(諸惡莫作)-모든 악은 저지르지 말고
2)중선봉행(衆善奉行)-모든 선을 행하여
3)자정기의(自淨其意)-스스로 그 마음을 깨끗이하라
4)시제불교(是提佛敎)-이것이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43.오관게(五觀偈)-승려가 식사하기전에 마음을 가라 앉히고 생각해야 할 다섯가지
1)계공다소 량피래처(計功多少 量彼來處)-이 음식이 어디서 왔는가?
2)촌기덕행 전결응공(村己德行 全缺應供)-덕행이 부족한 나로서는 받기가 부끄럽네
3)방심이과 탐등위종(防心離過 貪等爲宗)-마음의 온갖 욕심 버리고
4)정사양약 위료형고(正思良藥 爲療形枯)-육신을 지탱하기 위한 양약으로 알아
5)위성도업 응수차식(爲成道業 應受此食)-도업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받습니다
44.공간적 관점에서 본 佛의 종류
우주의 중심 연화장세계-비로자나불
동방유리광세계-약사여래불
서방극락세계-아미타불
용화세계-미륵불
45.오분향(五分香)-五分法身을 향에 비유한 말
계향(戒香),정향(定香),혜향(慧香),해탈향(解脫香),해탈지견향(解脫知見香),광명운대(光明雲臺)주변법계(周徧法界)
공양시방(供養十方) 무량불법승(無量佛法僧)
헌향진언(獻香眞言)-옴 바아라 도비야 훔
아금청정수(我今淸淨水) 변위감로다(變爲甘露茶)
봉헌삼보전(奉獻三寶前) 원수애납수(願垂哀納受)
다기를 올릴 때는 아금청정수 부터 하고 안 올릴 때는 지심귀명례부터 함
46.칠정례(七頂禮)
1)지심귀명례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至心歸命禮 三界導師 四生慈父 是我本師 釋迦牟尼佛
2)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불타야중
至心歸命禮 十方三世 帝網刹海 常住一切 佛陀耶衆
3)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달마야중
至心歸命禮 十方三世 帝網刹海 常住一切 達磨耶衆
4)지심귀명례 대지문수사리보살 대행보현보살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 지장보살 마하살
至心歸命禮 大智文殊舍利菩薩 大行普賢菩薩 大悲觀世音菩薩 大願本尊 地藏菩薩 摩訶薩
5)지심귀명례 영산당시 수불부촉 십대제자 십육성 오백성 독수성 내지천이백제대아라한 무량자비성중
至心歸命禮 靈山當時 受佛咐囑 十大弟子 十六聖 五百聖 獨修聖 乃至千二百諸大阿羅漢 無量慈悲聖衆
6)지심귀명례 서건동진 급아해동 역대전등 제대조사 천하종사 일체미진수 제대선지식
至心歸命禮 西乾東震 及我海東 歷代傳燈 諸大祖師 天下宗師 一 切微塵數 諸大善知識
7)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승가야중
至心歸命禮 十方三世 帝網刹海 常住一切 僧伽耶衆
유원 무진삼보 대자대비 수아정례 명훈가피력 원공법계 제중생 자타일시성불도
唯願 無盡三寶 大慈大悲 受我頂禮 冥熏加被力 願共法界 諸衆生 自他一時成佛道
47.삼귀의(三歸依)
귀의불 양족존(歸依佛 兩足尊)-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귀의법 이욕존(歸依法 離欲尊)-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귀의승 중중존(歸依僧 衆中尊)-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48.참회진언 (옴 살바 못자 모지 사다야 사바하)
49.파르슈와존자(협존자)가 삼장에 정통한 오백명의 비구들을 소집하여 집대성한 논서의 이름은? 아비달마 대비바사론
(아비달마발지론을 중심으로 하여 설일체유부의 교리를 상세하게 해설하고 다른 부파와 외도의 교리를 비판한 저술)
50.교상판석(敎相判釋)이란? 붓다가 설한 가르침을 시기와 수준으로 분류해서 모든 것을 포용하는 체계를 말한다.
천태종 지의-오시팔교,화엄종 법장-오교십종
51. 중국에 불교가 처음 전래된 시기는 언제인가? (후한의 영평10년(서기67) 대월지국 가섭마등과 축법란이 전함)
52. 중국 낙양 땅에 처음 세워진 사찰로서 중국불교의 요람이라 여겨지는 곳은? (백마사)
53.중국에 전해진 최초의 경전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사십이장경)
후한의 가섭마등과 축법란이 한역. 최초의 한역경 전. 불교의 요지를 42장에 걸쳐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는데서 붙여진 이름
54.중국의 노자가 서역으로 가서 그곳의 하층민들을 개종 시키 기 위하여 붓다의 모습으로 화현했다고 주장 하는 것을 가리켜
무엇이라 하는가? (노자화호설)
55.인도 스키타이 출신으로 중국 남부지방에 머물면서 아미타경과 유마경을 비롯하여 수많은 경전을 번역했던 사람은 누구인가?
지겸(支謙)-월지국출신.223~253년 까지 역경에 종사
56.중국선종의 법맥
(달마(?~?)-혜가(487~593)-승찬(?~606)-도신(580~651)-홍인(601~674)-혜능(638~713)
57. 선종 최초의 법규는? (백장청규).백장 회해선사 749~814)
58.중국선종의 오가(五家)? (위앙종-임제종-조동종-운문종-법안종)
위산영우(771~853),앙산혜적(807~883)-위앙종
임제의현(?~867)-임제종
동산양개(807~869),조산본적(840~901)-조동종
운문문언(864~949)-운문종
법안문익(885~958)-법안종
59.중국선종의 선지식들은 제자와 문답을 통해 가르침을 폈는데 이것이 하나의 전통으로 자리 잡아서 독특한 가풍을 이루었다. 이러한 수행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간화선)
60. 중국의 4대 역경가? (구마라집, 진제, 현장, 불공)
구마라집(344~413)-쿠마라지바의 음사. 인도 출신의 승려
진제(499~569)-546년에 광동성에 옴. 양무제 때
현장(602~664)-당나라 출신 승려
불공(705~774)-남인도 사자국 출신 승려
61. 대표적 인도 구법여행기
현장-대당서역기. 의정-남해기귀전. 혜초-왕오천축국전
1)대당서역기-현장(602~664)이 627년 당의 장안을 출발하여 인도와 서역을 순례 하고 645년 장안에 도착하기까지 유적,지리,기후,풍속,전설,언어,문화,종교등을 기록한 여행기
2)남해기귀전-의정(635~713.당의승려)이 25년동안 인도와 남해 여러 지역을 순례하면서 직접 보고들은 그곳의 불교교단, 계율, 승려의 생활의식, 예법 등을 기록한 저술
3)왕오천축국전-혜초(생몰년미상, 신라의 승려)가 당에 가서 금강지(669~741)에게 밀교를 배우고 바닷길로 인도에 가서 여러 지역을 순례 하고 육로로727년에 감숙성 안서에 도착함. 774년에는 불공의 가르침을 받음
62.삼무일종의 법난. 북위의 태무제(446),북주의 무제(574), 당의 무종(842), 후주의 세종(955) 때 일어났던 폐불 사건
63.길장(吉藏 수의 승려.549~623)에 의해서 삼론종을 대성시킨 소의 논서 세 가지는 무엇인가? (중론, 백론, 십이문론)
64.삼론종의 대표적 교설은 무엇인가?
(파사현정, 진속이제, 팔불중도)
진속이제-諦는 진리를 뜻함
1)眞諦-분별이 끊어진 상태에서 있는 그대로 파악된 진리
분별이 끊어진 후에 확연히 들어나는 진리
2)俗諦-분별과 차별로써 인식한 진리
허망한 분별을 일으키는 인식작용으로 알게 된 진리
二諦-각각의 내용에 대해서는 경론에 따라 여러 설이 있음
팔부중도(八不中道)불생, 불멸, 불상, 부단, 불일, 불이, 불래, 불출-서로 대립하고 있는 여덟 가지 그릇된 개념을 연기법으로 타파하여 분별과 집착이 소멸된 空의 지혜를 드러냄
1)不生-모든 현상은 인연 따라 일시적으로 모이고 나타날 뿐 생기는 것이 아님
2)不滅-모든 현상은 인연 따라 흩어지고 사라질 뿐 소멸하는 것이 아님
3)不常-모든 현상은 끊임없이 변하여 달라짐
4)不斷-모든 현상은 단절되지 않고 끊임없이 이어짐
5)不一-모든 것은 인연 따라 일어나므로 하나가 아님
6)不異-모든 현상은 끊임없이 이어지므로 다른 것이 아님
7)不來-모든 현상은 인연 따라 모일 뿐 어디서 온것이 아님
8)不出-모든 현상은 인연 따라 흩어질 뿐 어디로 가는것이 아님
65.수나라시대 천태대사라 불리며 법화삼매에 의해 대오하고 금릉에서 법화경을 강론 하였으며 지자대사라는 호를 받은 스님은?
지의(智顗 538~597.호남성 악주 출신)
66.천태종의 천태삼부는 무엇인가? 법화문구,(해설서),법화현의(개설서),마하지관(지관의 수행서)
67. 당(唐)대의 대표적 역경가는 누구인가? 현장(玄奘.602~664하남성 낙양출신. 성은 진(陳) 이름은 위(褘)
68.지엄의 제자로서 화엄종의 교리를 체계화 하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화엄종의 창시자라고 간주되기도 한다.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 화엄오교장(華嚴五敎章), 기신론의기(起信論義記)등을 저술한 이는?
(법장(法藏.당의 승려 643~712.화엄종 제3조 장안출신)
69.송(宋)의 보명(普明)이 그린 목우도(牧牛圖)와 송(宋)의 곽암(廓庵)이 그린 십우도(十牛圖)가 있는데 전자는 검은소에서 흰소로 나아가는 곧 오염된 성품을 점점 닦아 청정한 성품으로 나아가는 점오(漸悟)의 과정이며, 후자는 검은소에서 바로 흰소로 되어버리는,곧 등을 돌림으로써 보지 못하게 된 청정한 성품을 돌아서서 단박에 보게 되는 돈오(頓悟)의 과정이므로 목우도는 묵조선(黙照禪)십우도는 간화선(看話禪)을 반영하고 있음
(심우-견적-견우-득우-목우-귀우귀가-망우존인-인우구망-반본환원-입전수수)
70.명나라 때 사람으로 유교와 불교의 융합을 주장하였으며 화엄과 선의 융합도 제시하였다. 그의 저서 “해능가경기”“원각경직해” “법화경통의” 그리고 유교와 불교의 융합의 입장에서 쓴 “중용직해” “노자해” “장자내편주”등이 있다. 누구인가? (감산덕청)
71.오시팔교(五時八敎)-지의가 분류한 천태종의 교판
五時
1)화엄시-세존이 깨달음을 성취한 후 21일간 화엄경을 설한 시기
2)녹원시-화엄이후 녹야원에서 아함경을 12년을 설한 시기
3)방등시-녹원시 후 8년간 유마경, 사익경, 승만경, 등의 대승경전을 설한 시기
4)반야시-방등시 후 22년간 여러 반야경을 설한 시기
5)법화열반시-반야시 후 8년간 법화경을 설한시기와 입멸 때 하룻 동안 열반경을 설한시기
八敎에 대하여
*화의사교(化儀四敎)-돈교, 점교, 비밀교, 부정교
1)돈교(頓敎)-처음부터 바로 세존이 체득한 깨달음을 그대로 가르침. 화엄경이 여기에 속함
2)점교(漸敎)-얕은 내용에서 점차적으로 깊은 내용으로 나아가는 가르침으로 녹원시. 등시. 야시에서 차례로 설한 경전이 여기에 속함
3)비밀교(泌密敎)-듣는이들 서로간에 알지못하게 근기에 따라 다르게 설하여 각자 다른 이익을 얻게 하는 가르침
4)부정교(不定敎)-같은 내용을 설하지만 듣는 이들의 근기에 따라 이해하여 각자 다른 이익을 얻게 하는 가르침
*화법사교(化法四敎)-장교, 통교, 별교, 원교
1)장교(藏敎)-아함경을 비롯해 초기의 가르침
2)통교(通敎)-성문.연각.보살에게 공통되는 가르침
3)별교(別敎)-보살만을 위한 가르침
4)원교(圓敎)-세존이 체득한 깨달음을 그대로 설한 가장 완전한 가르침. 법화경이 여기에 해당
72.삼국시대 공식적으로 불교가 들어온 시기는?
고구려-소수림왕2년 372년 순도스님
백제-침류왕원년 384년 마라난타스님
신라-법흥왕14년 527년 묵호자설,아도설이 있음
이차돈(異次頓 506~527)신라 법흥왕의 신하.성은 박 자는 염 촉. 527년 아도의 청으로 흥륜사 창건 때 귀족들의 반대에 부 딪치자 순교함
73.신라에서는 왕의 이름을 불교와 관련이 있는 단어로 지어부른 시대가 있었다. 소위 불교식 왕명시대라 함은?
(법흥왕부터 진덕여왕 까지)
74.고구려 초기 불교학을 대표하는 인물로서 중국으로 유학하여 삼론학을 집대성한 스님은 누구인가?
(승랑(僧朗)고구려 장수왕(413~491)때 스님.) 三論-중론, 십이문론, 백론,
75.일본에 건너가 삼론종의 시조가 되었고 제2대 승정이 되었던 스님은 누구인가?
(혜관.생몰년미상.고구려승려)수(隨)나라에 가서 길장(549~623)에게 삼론학을 배우고 귀국함.625년(영류왕8년)에 일본에 감
76.일본으로 건너가서 승단의 계율을 강조하여 일본 교단의 기초를 닦았고 초대 승정을 역임했던 백제 출신의 스님은 누구인가?
관륵(생몰년미상)백제 때의승려. 602년(무왕3년)에 천문, 지리에 관한 책과 역서(曆書)등을 일본에 전함
77.미륵불광사 사적기에서 526년 바닷길을 통해 중인도로 가서 율장의 범어 원본을 가지고 온 스님은 누구인가?
(겸익)생몰년미상. 526년(성왕4년)인도의승려 배달다와 함께 귀국
78.원광법사의 세속오계를 쓰고 풀이 하시오
신라의 원광(圓光.?~630. 589년(진평왕11)에 진(陳)에 가서 열반경,성실론, 섭대승론 등을 배우고 600년에 귀국하여 대승경전을 강의하고 점찰법회(占察法會)를 행함.청도 운문산 가슬갑사(嘉瑟岬寺)에서 귀산(貴山)과 추항(箒項)에게 세속오계를 줌
(사군이충,事君以忠)-나라에 충성하고
(사친이효,事親以孝)-부모에게 효도하고
(교우이신,交友以信)-벗을 사귐에 믿음으로 사귀고
(임전무퇴,臨戰無退)-전장에 나가서는 물러서지 말 것이며
(살생유택,殺生有擇)-살생을 함에는 가려서 하라
79.신라의 진골 출신으로서 선덕여왕5년(638년)에 사신을 따라 당나라의 수도 장안으로 유학을 떠나 계율학과 섭론학을 수학 한 뒤 643년 대장경1부를 가지고 귀국하였고 왕실의 두터운 후원을 받고 대국통에 취임하여 불교계를 주도 했던 스님은 누구인가?
(자장율사,慈藏律師) 생몰년미상. 불사리 모셔옴. 황룡사 9층탑 건의 645년에 완성. 646년에는 통도사창건. 만년에는 강릉 수 다사. 태백산 정암사 창건
80.신라가 삼국통일을 이룬 뒤 불교계의 자체적인 조직과 별도로 불교계의 운영을 담당하는 중앙관청을 설치했다.
그 관청의 이름은 무엇인가? (정법전政法典)
81.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한 신라스님은 누구인가? (혜초,慧超)
당에 가서 금강지(669~741)에게 밀교를 배우고 바닷길로 인도에 가서 여러지역을 순례하고 육로로 727년 감숙성 안서에 도착
82.불국사의 석가탑에 봉안 되었던 것으로서 8세기초엽 목판으 로 인쇄된 경전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로 명한 경전 이름은 무엇인가? (무구정광대다라니경)
83.신라 경덕왕(742~764)때 원로로서 활동 하였으며 유식학, 엄학, 기신론, 등에 관해 많은 저술을 남긴 스님은 누구인가?
(태현,太賢)
84.우리나라 최초의 선찰로 실상사를 창건하여 수많은 제자들 양성한 스님은 누구인가? (홍척,洪陟)
-서당지장(735~814)선법 을 전해 받고 826년 귀국하여 실상사 창건
85.도선스님이 주창했던 비보사탑설이란 무슨 뜻 인가? (지리적 결함을 사찰이나 탑을 건립하여 보완 한다는 뜻)
86.고려시대 때 스님들의 승적을 관리하고 승계 및 주지인사 등 을 집행할 뿐 아니라 입적한 고승의 장례 및 탑비의 건립등 불교와 관련 된 제반사항을 처리했던 관청의 이름은 무엇인가? (승록사,僧錄司)
87.구산선문 중에서 무염(無染,801~888)의 사상을 계승한 산문 은 어디인가? (성주산문, 보령 성주사)
88.고려시대 때의 스님으로서 화엄학을 깊이 연구 하여 당대최고 의 화엄학자로서 이름을 날렸으며 북악파와 남악파로 분열되어 있던 교단의 차이를 해소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는 누구인가? (균여,均如,923~973 황해도 황주 출신)
89.고려 광종 때 중국에 들어가서 천태학을 수학한 후 교판론을 설명한 천태사교의(天台四敎義)를 저술한 스님은 누구인가?
(체관,諦觀)
90.고려 문종의 넷째 아들이었던 그는 송나라에 유학하여 천태학 의요체를 배웠고 귀국한 뒤에는 천태종의 개창을 주도하여 천태종 승과를 주재했던사람은 누구인가? (의천,義天)
91.팔공산 거조암에서 육조단경의 가르침에 기초하여 권수정혜 결사문을 짓고 선종과 교종은 물론 유교 도교의 사람들 까지 포괄하는 수행결사를 조직 하였던 스님은 누구인가?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황해도 서흥 출신)
92.불상이나 탑등의 예경대상을 우선 한번 절하고 다음에 그 둘레를 자신의 오른쪽을 안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세 번 도는 예법으로써 왼쪽을 부정한 것으로 취급하고 오른쪽을 중히 여기는 인도 관습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한다. 이러한 예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우요삼잡. 右繞三匝)
93. 불상의 착의법 가운데서 마투라 불교양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며 법의를 입는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우견편단(右肩偏袒) 또는 편단우견(偏袒右肩)
94.석가모니 부처님의 근본5인은 무엇인가? (선정인, 항마촉지인, 전법륜인, 시무외인, 여원인)
95. 5세기 쿠마라굽타 1세가 건립한 사원으로 현장(玄奘)이나 의정(義凈)같은 중국 승려들을 비롯하여 많은 티벳승려도 유학하 였다. 힌두계통의 학문도 가르쳐 종합적인 대학의 기능을 수행 하였던 사원은 어디인가? (날란다사원)
96.흔히 우리나라에서는 불, 법, 승, 삼보에 대비하여 삼보사찰을 꼽고있다. 삼보사찰을 산이름과 사찰명을 차례대로 쓰시오.
(불보사찰-영축산 통도사)
(법보사찰-가야산 해인사)
(승보사찰-조계산 송광사)
97.불보종찰인 통도사에서 가장 성스러운 곳 이며 통도사의 근본 정신이 결집되어 있는 곳으로 부처님의 정골사리를 봉안한 곳을 무엇이라 일컫는가? (금강계단)
98.현재 조선시대 까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목탑은? (법주사 팔상전)
99.경주 불국사 대웅전 앞쪽에는 석가탑과 다보탑이 아름다운 자 태를 뽐내며 자리하고 있다. 이곳에 한쌍의 세운것은 법화경의 경설에 따른 것이라 하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이 설해진 곳은 법화경중 어느 품인가? (견보탑품)
100. 우리나라에서는 대개 불본행집경의 설을 참고로 하여 법화 경을 바탕으로 부처님의 일대기를 팔상도로 표현하고 있다.
팔상성도의 내용을 순서대로 기술하시오
1)도솔래의상 2)비람강생상 3)사문유관상 4)유성출가상
5)설산수도상 6)수하항마상 7)녹원전법상 8)쌍림열반상
101.고려시대 운묵이 20여년간 서민들을 위한 교화작업과 함께 경전을 읽고 쓰며 염불과 불화그리기의 수행 과정을 통하여 완성한 작품이다. 내용은 부처님의 행적을 게송으로 나타낸 것이며 전반적으로 천태사상의 영향을 짙게 깔고 있는 저술은?
(석가여래행적송)-충숙왕15년 1328년
102.대각국사 의천은 장경도감을 설치하여 대장경을 간행하였다
이때 국내는 물론 송, 요, 일본 등에서 모아온 논서를 모아 편찬한 목록을 무엇이라 일컫는가? (신편제종교장총록)
103.고려대장경의 서두에 위치하고 있는 대장경을 여는 경전은 무엇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대반야경이며 진호국가의 사상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104.현재 프랑스 파리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옛날 책으로 서 고려시대의 금속활자로 펴낸 책이름은 무엇인가?
(백운화상초록 불조직지심체요절)
105.범어 또는 팔리어로 기록된 것인데 패트라(pattra)라는 나뭇 잎에 필사한 경전을 무엇이라 하는가? (패엽경)
106.교화를 받을 상대의 근기에 따라서 교화하는 설법을 무엇이 라 하는가? (대기설법)
107.언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연히 우러나오는 인격과 심덕으로 상대에게 감화를 주고 마음을 깨우치게 해주는 교화방법은?
(위의교화)
108.대기설법에 숙달되기 이전의 단계에서, 혹은 비록 대기설법에 능숙하더라도 설법의 책임성을 감안하여 활용하여야 할 설법 방법은 무엇인가? (요약원고설법)
109.포교사의 임무를 나타내는 자신교입신(自身敎入信)이 의미하는 바를 쓰시오
(포교사의 임무는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신행의 기쁨 을 전달하는 것이다)
110. 1911년 일제가 불교계를 장악하기 위해 만든 사찰령에서 이어져 온 것으로 1961년 5월16일 쿠데타에 의한 군사정권 이후 1962년 이름을 달리하여 불교계를 통제하게 한 악법 중 의 하나로 불교계의 끊임없는 부당성의 제기에 의해 1987년 폐지된 법은 무엇인가? (불교재산관리법)
111.조선시대 승려의 도성출입이 해제된 시기는 언제인가? (1895년 고종 때)
112.팔만대장경의 한글화 작업을 위해 1964년 7월 동국대학교 부설로 설립 된 기관은 무엇인가? (동국역경원)
113. 과거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대한불교조계종의 3대 사업은? (도제양성, 포교, 역경)
114.현 대한불교 조계종에서 사미(니) 품수를 받기 위해 반드시 수료해야 할 교육기관은 어디인가? (행자교육원)
115.불타의 혜명을 이어 받아 자아의 완성을 기함과 아울러 민 족정기를 바로잡고 인류사회 정화의 횃불이 될 것을 목적으로 하여 1963년 대학동아리를 중심으로 구성된 불교단체는 무엇인가?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116.청소년 포교를 활성화하기 위해 조계종단이 설립한 유일한 청소년 단체로서 불교청소년 뿐만 아니라 일반청소년에게 까지 문호를 개방한 초종파적 청소년 법인단체는 무엇인가? (사단법인 파라미타청소년협회)
117. 전국의 경찰서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경찰관포교법회, 유치인 선도법회, 청소년선도법회 등을 담당하고 있는 기구는 무엇인가? (경승단)
118. 대한불교조계종의 구성원은?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119. 중앙종회 해산 시 권한을 대행하는 기관은 무엇인가? (원로회의)
120.포교의 전문화,현대화 및 능률화를 위한 포교에 관한 연구 및 기획업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포교원산하에 설치한 기구는?
(포교연구실)
121.서류상으로 경고하고 변상금을 명하는 징계는? (문서견책)
122.사찰운영위원회의 구성인수는 몇 명인가? (7인이상 30명이내)
123.대한불교조계종헌
제1조-본종은 대한불교조계종이라 칭한다. 본종은 신라 도의국사가 창수한 가지산문에서 기원하여 고려 보조국사의 중천을 거쳐 태고보우국사의 제종포섭으로서 조계종이라 공칭하여 이후 종풍이 면면부절 한 것이다.
제2조-본종은 교주이신 석가세존의 자각각타의 각행원만한 근본교리를 봉체하며 직지인심. 견성성불. 전법도생함을 종지로 한다.
제3조-본종의 소의경전은 금강경과 전등법어로 한다. 기타 경전의 연구와 염불 지주 등은 제한치 않는다.
124.대한불교조계종의 종헌을 제정하고 통합종단이 출범한 해는? (1962년)
125,대한불교조계종의 신성을 상징하며 종통을 승계하는 최고의 권위와 지위를 가진 이는 누구인가? (종정,宗正)
임기는 5년이며 1차 연임할 수 있다
126.대한불교조계종에서 본존불로 모시는 부처님은? (석가모니불)
127.중앙종회 해산 시 권한을 대행하는 기관은? (원로회의) 총무원장의 인준권은 원로회의에 있다.
128.식차마나니계단
사미니와 비구니의 중간단계. 학법녀라 번역. 정학녀(식차마 나니) 비구니가 되기 위한 구족계(具足戒)를 받기 전에 2년 동안 육법을 지키며 수행하는 여자출가자
육법-식차마나니가 지켜야 할 여섯 가지 계율
1)음란한 마음으로 남자의 몸에 접촉하지 않음
2)남의 돈을 훔치지 않음
3)축생을 죽이지 않음
4)거짓말을 하지 않음
5)비시불식
6)술 마시지 않음
129.대한불교조계종의 입법기관은 어디인가? (중앙종회)
130.중앙종회 의원의 임기는 몇 년인가? (4년 종헌34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