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복(三伏)더위에 몸을 보하는 음식을 먹고 시원한 물가를 찾아가 더위를 이기는 것을 복달임, 혹은 복놀이라고 부른다. 이경윤 <고사탁족도>
무더위가 가장 기승을 부리는 삼복더위때,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더위를 이겨내라는 의미에서 높은 관리들에게 쇠고기와 얼음을 하사하기도 하였다.
일반 서민들은 귀한 쇠고기를 구하기 힘들어 대신 개고기를 끓여 먹기도 했고, 시원한 계곡을 찾아 발을 담그거나 바닷가 백사장에서 모래찜질을 하며 더위를 물리쳤다.
조상들이 복달임으로 더위에 지친 기운을 보강하기 위해 먹어온 보양식으로 대표적인것은 개장국, 삼계탕, 민어탕 ,팥죽 ,증편 등등 다양한 것이 있다. 민어탕
양반가는 물론 왕실에서도 더운 여름날 즐겨 먹었던 귀한 음식으로는 민어탕이 으뜸이었다.
복달임 음식에 민어탕 (찜) 이 일품이요, 도미탕 (찜) 이 이품, 보신탕이 삼품 이라는 말이 전해질 정도였다.
민어탕은 호박을 넣고 맑게 끓였는데 호박과 민어가 여름이 제철인 음식이라 영양도 맛도 좋았기 때문이다.
정약전이 저술한 「자산어보」에는 민어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민어는 입과 비늘이 크며 맛이 달다. 특히 무더운 여름이 제철인데 익히거나 회로 먹어 기운을 북돋는다." - 정약전 <자산어보> 자산어보
더불어 여름에 팥죽을 쑤어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에도 걸리지 않는다고 여겼다.
초복에서 말복까지 팥죽을 먹는 풍속이 있었는데 동의보감에 팥의 효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더위로 인한 갈증·설사 등을 해소하는 효능이 있다.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을 자주 보는 소갈증(당뇨병과 유사) 환자에게 이롭다. 이뇨 효과가 있어 몸의 부기를 빼준다." - 허준 <돔의보감> 팥죽
복날을 대표하는 떡은 증편(기주떡)이었다.
증편은 멥쌀가루에 술(막걸리)을 넣어 반죽한 뒤 적당히 발효시킨 떡이다. 발효 음식이어서 잘 상하지 않고 맛이 새콤해서 무더위에 잃은 입맛을 되찾는 데 효과가 있었다. 증편
이 외에 각종 물고기를 넣어 끓인 어죽도 여름철 먹었던 보양식이다.
부족한 단백질을 물고기 등으로 보충한 것인데, ‘고기죽’으로 불리기도 했다.
"큰 붕어를 창자를 빼내고 비늘째 푹 삶아 꺼내어 대나무 체에 내려 살을 발라내고 뼈와 껍질은 버린다. 여기에 멥쌀을 넣어 죽을 쑨다. 후추와 생강을 넣어 먹는다." - 「증보산림경제」 어죽
역사 속의 조상들은 삼복더위를 피하는 방법으로 술한잔의 운치를 활용하기도 했다.
피서의 술자리를 하삭음(河朔飮) 이라 하는데, 이것은후한 말에 유송(劉松)이 원소(袁紹)의 아들들과 하삭(河朔)에서 삼복더위를 피하기 위하여 술을 마신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조상들이 더위를 이겨내기위해 먹었던 보양식에 정답은 없었던 듯하다. 반드시 무엇을 꼭 먹어야만 했다는 기록은 없다.
형편 껏 구할 수 있는 재료를 넣고, 건강을 지켜내야한다는 마음가짐으로 , 더위에 지쳐 떨어진 입맛 속에서도 먹을 수 있는 먹거리에 좀 더 마음을 썼던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