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1. 컴퓨터 파일 확장자
1. 파일의 확장자
특정한 파일의 내용물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파일명을 보고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분류 방법. 확장명이라고도 한다.
1.1. 확장자의 기원
확장자의 기원은 굉장히 오래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DOS 시절에도 확장자는 존재하였으며, 현 시점에서도 파일 종류를 구분하는 데 제 1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확장자는 보통 3자리인데, 이는 FAT에서 사용하던 8.3 RULE 에 그 유래를 두고 있다. 파일명은 최대 8바이트, 확장자는 최대 3바이트까지 사용가능하다는 룰에 의거, 거의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에서 3바이트 확장자를 정의하였으며, 이것이 호환성을 이유로 현재까지 이어지는 것이다. 8.3 RULE이 완화된 이후 만들어진 확장자는 4자리 이상을 갖는 경우(jpeg, html, aspx, pptx, xlsx, docx, cell, show, accdb, prproj, torrent 등)도 많다. Windows에서는 아직 3~4글자 정도의 확장자를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macOS에서는 Pages의 .pages 확장자와 Numbers의 .numbers 확장자나 Final Cut Pro X의 .fcpbundle 확장자, iMovie의 .imovielibrary나 .theater 확장자 등 이미 공식에서 단어형 확장자를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물론 macOS쪽도 3글자 확장자(.dmg, .pkg, .smi, .app 등)는 잘만 쓰고 있지만.
1.2. 윈도우에서의 확장자
윈도우 95부터는 VFAT가 도입되면서 긴 파일 이름이 지원되었다. 8.3 RULE이 완화되어, 파일명, 확장자와 구분기호인 점(.)을 포함하여 최대 255바이트까지 사용할 수 있다.
윈도우를 처음 설치하면 기본 설정으로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가 설정되어, 대부분 파일의 이름만 보이고 확장자는 보이지 않는다. 윈도우 탐색기의 구성 → 폴더 옵션 → 보기 탭에서 해당 옵션의 체크를 해제하면 확장자를 볼 수 있으며, 수정도 가능하다. 윈도우 8부터는 보기 → 파일 확장명에 체크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확장자 표시를 할 수 있다.
파일 확장자를 가지고 낚는 악성코드가 많기 때문에 확장자를 항상 표시해 놓는 것을 강력히 권장한다.
윈도우 XP까지는 확장자를 표시해놓으면 '이름 바꾸기'할 때 확장자까지 선택되기 때문에 이름만 바꾸려고 했는데 확장자까지 지워지는 사태가 자주 발생했다. 결국 윈도우 비스타부터는 확장자 표시를 해 놓아도 파일 이름만 선택되게 바뀌었다.
윈도우 API에서는 파일명을 포함한 파일의 경로가 255자로 제한되기 때문에, 이를 초과하는 경로의 파일을 다루고자 할 때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는 유니코드를 사용하는 현재의 윈도우 시리즈에도 적용된다. 윈도우 10에서는 설정을 바꾸면 65535자까지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바꿀 수 있다. 그런데 파일 탐색기는 여전히 255자까지만 지원해서 그 이상 되는 파일은 다른 파일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1.3. 유닉스 계통 OS에서의 확장자
BSD, 리눅스 등 유닉스 계통 OS에서는 고유의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며, 확장자 보다는 후술할 파일 헤더에 의존적이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파일 종류를 한 번에 파악할 수 있는 편리성 등을 이유로, 현재는 유닉스 계통에서도 확장자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FAT처럼 파일시스템에 확장자를 기록하는 부분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고, 그냥 파일명의 마지막 점(.) 이후부분을 확장자라고 부른다.
이 때문에 확장자가 좌르륵 여러개 붙는 경우도 있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경우가 파일명.tar.gz의 형태. 이것은 tar 명령어로 파일을 묶은 뒤 gzip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압축한 파일이라는 의미이다. 유닉스 계열에서는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는 기능을 운영체제 차원에서 지원을 해 줬는데, 이 기능에는 원래 압축 기능이 없었다. 따라서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묶은 파일을 압축하다보니 저런 형태가 된 것. 하도 이런 방식으로 많이 쓰다보니 tar 명령어에 아예 gzip 압축 기능이 들어갔고, 별도의 옵션을 안 주면 tar.gz가 기본으로 붙어 나온다.
파일명에 확장자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숨김 파일로 취급되어 파일 탐색기나 ls 명령 실행시 목록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건 파일 이름이 점(.)으로 시작하면 숨김 파일로 취급되기 때문. ls -a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1.4. macOS에서의 이상한 확장자 사용 방식
확장자라는 것은 본래 파일에 붙어서 파일의 속성을 표시하기 위해 존재하는데 macOS의 경우 폴더명을 확장자를 붙이는 식으로 명명하면 GUI 인터페이스 상에서 폴더를 파일처럼 보이게 해서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폴더가 파일처럼 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테면 macOS의 응용프로그램은 app 확장자를 이용한 아이콘 달랑 하나만 보이는 것 같아 실행 파일 하나에 응용프로그램이 몽땅 다 패키징 되어있는 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게 파일이 아니라 폴더이고 패키지 내용 보기 라는 방식으로 접근하면 실제 폴더 내부를 볼 수 있다.
이 방식은 어플리케이션에서만 쓰이는게 아니라 각종 미디어 관리, 편집 프로그램의 프로젝트 폴더도 실제로는 단일 파일처럼 보이게 만드는 경우가 있고 심지어는 오피스 프로그램인 아이워크의 문서 저장이 이런 식으로 이루어지는 시절도 있었다. 오픈오피스의 성공 이후로 문서 데이터 기록은 기존의 hwp나 doc 같은 방식처럼 각 오피스가 독자적인 방식으로 아무렇게나 저장을 하는 것이 아니라 폴더 내부에 문서의 내용과 형식을 기록한 xml 파일과 첨부된 미디어 파일을 각각 따로 담아서 ZIP 방식으로 압축해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ooxml도 바로 이러한 방식을 따른 MS오피스의 새로운 저장방식이다. 이렇게 데이터 파일의 가독성을 높여 이를테면 한컴오피스 같은 다른 소프트웨어에서도 MS오피스의 파일을 이전보다 훨씬 높은 호환성으로 열어볼 수 있게 된 것이 이런 오픈 도큐먼트 방식의 장점이다. 심지어 오피스 프로그램이 없어도 확장자명을 ZIP으로 변경해 압축을 해제하고 내부의 xml 파일을 직접에디터로 열어 사람의 눈으로 파일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높은 가독성을 보장한다.
하지만 이 방식의 문제는 바로 데이터가 ZIP 방식으로 압축이 되어야한다는 것인데 파일을 열 때 압축을 풀어야 하고 저장할 때 다시 파일 압축을 수행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필요해진다는 것이다. 당연히 연산에 비효율적인 부분이 생기게 되고 사양이 낮은 컴퓨터에서는 열기, 저장 시간이 길어질 수도 있다. 그래서 애플이 이 문제를 다루면서 생각한 해결책이 기존에 이미 폴더를 파일처럼 만들게 하는 운영체제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으니 그냥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이 기능을 이용해 폴더를 파일처럼 보이게 만들어버린 것이었다. 2000년대에 아이워크가 처음 나왔던 시절에는 아이워크 형식의 데이터가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컴퓨터로 갈 일도 없었고 문서도 애플 컴퓨터끼리만 물리 저장장치를 이용해 주고 받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크게 문제될 것이 없었지만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이용이 일반화되면서 이 방식에서 헬게이트가 열리기 시작했다. 드롭박스나 구글 드라이브 같은 서비스들이 아이워크 형식의 폴더를 특별하게 다뤄줘야할 이유도 없었고 거기다 극히 최근까지도 웹페이지에서 파일이 아닌 폴더를 첨부파일로 올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이었기에 클라우드 업로드가 이상하게 되는 것 정도가 아니라 메일 첨부 자체가 안 되는 희한한 상황까지 발생하게 되었다.
그래서 맥용 기본 메일 클라이언트나 아이메시지를 사용할 때는 파일처럼 보이는 폴더 형식의 데이터를 첨부할 때는 자동으로 ZIP으로 압축을 한다던가 하는 방식의 꼼수만 찾아다니는 애플 특유의 똥고집을 부리며 사용자를 한동안 뒷목을 잡게 만들었지만 결국 ZIP 압축/해제가 사용자 경험에 의미 있는 딜레이를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로 컴퓨터 성능이 올라간 시점이 한참을 지나서야 다른 오픈 도큐먼트가 하고 있는 ZIP 압축 방식으로 데이터 저장 방식을 확정하였다. 그래서 지금도 오래된 아이워크 문서는 실제로는 파일이 아니라 폴더 형식으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오피스 문서처럼 빈번하게 주고받아야 하는 데이터는 그래서 결국 파일화가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응용프로그램이나 미디어 프로젝트 같은 분야에서는 여전히 이런 폴더에 확장자 붙이기를 이용한 눈속임이 쓸모가 있기 때문에 이 시스템 자체는 아직도 사용이 되고 있다.
1.5. 확장자의 한계
물론 그 용도와 이름이 널리 알려진 확장자들은 겹치는 일이 매우 드물다. 그러나 소프트웨어가 인지도가 낮거나 개발과정에서 편의상 사용하는 확장자는 우연히 겹치는 경우가 드물지 않으며, 겹치는 확장자는 전혀 호환이 안 된다. 파일명의 일부라는 근본적인 한계로 사용자가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자는 확장자를 100% 신뢰하면 안 된다.
예를 들면
1. FLP - Adobe Flash와 Image-Line FL Studio 두 프로그램에서 프로젝트 파일의 확장자로 쓰고 있다. 당연히 두 FLP는 전혀 호환이 되지 않는 별개의 형식이다.
2. SMI - 한국에 한정한다면 자막 포멧과 Mac OS의(macOS를 잘못 쓴 것이 아니다.) 디스크 포맷으로 역할이 겹친다.
3. DAT - 가장 심한 것이 .dat 확장자로, 파일 구조를 뜯어보지 않는 한 어디에 쓰이는지 컴덕도 모를 정도.
4. HPT - 한쇼(구 한컴슬라이드)와 (어린이) 훈민프레젠테이션 두 프로그램에서 사용된다. 한쇼의 경우 지금은 .show로 바뀌었다.
5. MSP - 윈도우 3.1까지 그림판에서 사용하고, 최신 윈도우에서는 Windows Installer 패키지로 사용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형화된 데이터는 항상 "파일 헤더"와 "매직 워드"를 두어 파일을 구분한다. 확장자와 달리 매직 워드는 파일 데이터의 일부분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하기 힘들며, 임의 길이의 고유한 매직 워드를 사용함으로써 이 파일이 올바른 데이터 파일임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이미지 형식인 비트맵 포맷은 항상 파일의 첫머리에 "BM" 을 기록함으로써 자신이 비트맵임을 알린다. 설령 사용자가 (고의든 실수든) 확장자를 .jpg로 바꾸더라도, 헤더를 제대로 분석하는 이미지 뷰어라면 잽싸게 비트맵임을 눈치채고 적절히 처리할 수 있다. 심지어는 .txt와 같은 전혀 엉뚱한 확장자로 바꾸더라도, 일단 헤더가 온전하다면 대부분의 제대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데이터 파싱이 가능하다. 또는, 적어도 데이터가 잘못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랜섬웨어가 개쌍놈
다만 파일 헤더를 이용하는 경우, 어쨌든 파일을 열어서 헤더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확장자보다는 처리 속도가 떨어지며, 사용자 가독성 또한 확장자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부족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특히 어떤 파일인지 모를 경우 해당 프로그램이 아닌 파일 탐색기에서 바로 이용하기는 매우 난감하다.
1.6. 기타
위와는 반대로, 어떠한 이유로 같은 내용임에도 확장자를 달리 하여 저장하는 경우가 있다. 가까운 예를들면 당신의 야동이라던가 주로 특정 데이터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경우가 그러한데, 일반적인 압축 처리기 대신 특정 프로그램에 바로 연결하기 위하여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다. 그런 경우 확장자만 다르지 실제 파일의 내용을 규정하는 헤더는 그대로이기 때문에 억지로 불러들이거나 확장자만 바꿔서 불러오면 대부분 잘 불러와진다.
대표적으로 DOCX. 파일 자체는 여러 개의 XML 문서를 ZIP으로 압축한 구조이므로 모든 압축해제기에서 압축 해제가 가능하다. 그러나 그 여러 XML 문서들이 하나의 워드 문서를 이루기 때문에 워드로 연결하는 경우이다. 이외에도 만화책 확장자인 cbt, cbz, cbr, cb7은 모두 만화 이미지를 각각 tar, zip, rar, 7zip으로 압축하여 확장자만 변경한것이다. 파일매니저에서 그냥 더블클릭했을 때 압축 프로그램이 아닌 만화 뷰어로 연결하기 위한 꼼수인데, 한국을 제외하고 전세계적으로 널리 쓰인다. 물론 한국에서는 그냥 .zip 파일을 만화책 뷰어에 넣어가며 보지만.
물론 한국에서도 쓰는 것이 있다. 마인크래프트같은 Java 관련 프로그램을 많이 이용하거나 만든다면 .jar 확장자를 많이 보는데, 겉으로 보기에는 압축 파일이지만 그 파일을 Java로 연결한다면 떡하니 실행이 된다. 다만 진짜 압축파일인 경우에는 실행이 안 될수도 있다. 알집의 폐해...
더불어 일부에선 단순 확장자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인코딩이 되는 줄 알고(많은 프로그램은 확장자를 바꿔도 원래 확장자를 알고 실행시키기에) 인코딩이 필요한 PMP나 스마트폰 등에 확장자만 바꿔 넣고 안 된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더 극단적으로 말하면 사진 파일 확장자를 뭐시기.mp3로 고친다고 그게 노래 파일로 바뀌겠는가?
즉 다시 말하면 확장자와 실제 파일 포맷은 사실 따로 논다고 할 수 있는데, 때문에 아래 확장자 목록을 참고할 시 간혹 해당 확장자를 다른 프로그램에서 전혀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메이저한 프로그램일 경우 대개는 알아서 피해가는 편이지만...
1.7. 확장자 목록
아래는 각 확장자가 가지는 특징을 알파벳 순으로 정리하였다. 여기에 없는 확장자는 이곳에서 찾길 바란다. § 표시는 메모장으로 열 수 있는 일반 텍스트 파일이다.
어떤 확장자가 반드시 이 목록에 있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실질적인 형식은 같더라도 내용을 구분하기 위해 확장자를 다르게 하거나(.docx, .apk 등), 다른 곳에서 사용되는 확장자를 임의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니 참고.
1.7.1. 특수, 숫자
가끔씩 확장자가 없는 파일이 사용될 때도 있다. 윈도우에서는 그냥 '파일'이라고 표기하나, 리눅스 등에서는 실행 파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디렉토리(폴더)도 확장자가 당연히 없다. 하지만 가끔씩 드물지만 폴더가 확장자 없는 파일이 된 경우도 있다.
$$$
임시 파일
001 ~
분할된 파일. rzJoin 등으로 합칠 수 있다. *.001 하나만 있으면 압축파일인 경우도 있다. MS-DOS에서 Windows 3.0, 3.1 설치 시에 AUTOEXEC와 CONFIG의 백업 용도로도 쓰인다.
3DS
3ds Max를 비롯한 3D어플리케이션 용 파일 교환 확장자 또는 닌텐도 3DS ROM파일
3MF
윈도우 10 Paint 3D 호환 3D 모델링 파일 교환 확장자
7Z
7zip용 압축파일 확장자.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압축 프로그램에서 압축 해제를 지원한다.
1.7.2. A
A
유닉스 계열의 정적 라이브러리.
A51
MCS-51 계열 컨트롤러의 PC 시뮬레이터용 소스코드 확장자.
AAC
음악 파일. MPEG-2(또는 4) Advanced Audio Coding의 약자이다.
ABC
전자 악보 파일. 전용 플레이어로만 들을 수 있어 마이너했지만 인디 게임 스타바운드의 연주 시스템에 이 파일이 사용되면서 급부상한 적이 있었다.
AC3
소리/음악 파일. (AC3 포맷)
ACCDB
Microsoft Access 데이터베이스 파일
ACE
압축 파일, WinACE로 압축할 수 있다. 설계 결함으로 인한 취약점이 2018년에 발견되어 주요 압축 프로그램의 지원이 중단되고 있다.
ADOFAI§
A Dance of Fire and Ice, 레벨파일
ACL
코렐 드로우 6, 키보드 가속기 파일
ACM
윈도우 시스템 디렉토리 파일. 인터플레이 압축 사운드 파일의 확장자이기도 하다. (폴아웃 1,2 등)
AEP
어도비 애프터 이펙트 프로젝트 파일
ANG
나누미 플레이어(Nanumi Player)의 확장자
AI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파일
AIA
MIT 앱인벤터 파일, 블록형 코딩 방식인 앱인벤터에서 어플의 레이아웃이나 블록의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이다.
AIF
음악 파일(Audio Interchange File, 매킨토시에서 사용되는 사운드 파일).
AIS
ACDSee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순서 파일
ALZ
알집 전용 압축파일
AMR
휴대폰 음성 통화에 사용하는 AMR(Adaptive Multi-Rate) 코덱으로 압축된 음악 파일. 노키아와 보이스에이지가 개발하였으며, 3GPP가 처음 규정하였다. 피처폰 시기에는 녹음 기능으로 녹음한 파일에 이 확장자를 돌려 쓰기도 했다. 코덱 자체는 계속 개량되어 VoLTE에서도 쓰이기 때문에 휴대폰 통화 녹음 기능에서도 볼 수 있다. 어차피 다른 형식으로 바꿔 봤자 원본이 AMR이다
ANI
애니메이션 커서 확장자
APE
Monkey's Audio를 사용한 무손실 오디오 포맷.
APK
안드로이드의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파일
APP
NeXTStep, 그리고 이를 차용한 OS X, iOS에서 쓰이는 애플리케이션 번들용 확장자. 사실 폴더를 사기쳐서 파일처럼 보이게 한 것으로 폴더내의 파일을 수정하거나 추가할수 있다.
ARC
압축 파일(PKARC/PKUNARC), 또는 FreeARC의 압축 파일
ARJ
압축 파일(Robert K. Jung이 만든 압축파일 형식).
AR
압축 파일
AS§
액션스크립트 코드 파일
ASF
Advanced Systems Format 또는 Advanced Streaming Format, Active Streaming Format(...)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작한 동영상 컨테이너 확장자.
ASP§
ASP(Active Server Page)의 확장자. MS IIS에서만 돌아간다.
ASX
방송국의 인터넷 스트리밍등에서 쓰이는 확장자.
ASPX§
ASP.NET의 확장자
ASS
Advanced Subscript alpha 자막 포맷. 다양한 효과를 넣을 수 있어 화려한 자막(?)을 만드는 사람들이 애용한다. 단, SMI에 비해 아직 인지도와 범용성은 딸리는 듯. 자세한 것은 자막 문서의 제작 방식 항목 참조.
ASM
어셈블러 파일. 어셈블되지 않은 어셈블리어 소스 파일의 확장자이다.
ATS
자막 파일
ASV
자동 저장 파일(Auto Save File). 아래아 한글 등에서 자주 쓰인다.
AVI
마이크로소프트 AVI 규격의 야한동영상 컨테이너 확장자
AYC, AYE
알약에서 쓰는 응용프로그램 확장자
1.7.3. B
B
C 언어의 바이너리 파일 확장자
BAK
백업 파일
BAS§
BASIC 파일 확장자, 비주얼 베이직 모듈 소스 코드
BAT§
배치 파일 확장자
BBB
블랙베리 OS용 백업 파일 확장자
BCK
닌텐도 게임큐브 모델 Bone Animation. 혹은 백업파일을 이 확장자로 쓰는 프로그램도 있다.
BDL
CAD 도면 확장자, 닌텐도 게임큐브 모델 데이터
BTP
닌텐도 게임큐브 모델 Texture Animation
BIN
Binary 형식 파일. CD/DVD 이미지 파일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BKM
닌텐도 홈브류인 문쉘 전용 텍스트 뷰어 북마크 파일
BLEND
Blender의 기본 확장자
BME§
건반형 리듬게임 채보의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 대개 이쪽은 7키 파일인 경우가 많다.
BML§
건반형 리듬게임 채보의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 이쪽은 롱노트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BMP
비트맵 그림파일 확장자
BMS§
건반형 리듬게임 채보의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
BSA
베데스다에서 만드는 게임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폴더를 압축한 형태.
BSP
소스 엔진을 사용하는 게임의 맵 파일 확장자. 마비노기 영웅전의 맵파일도 이 확장자를 썼으나 바꿨다. 참고로 약간만 조절하면 소스 엔진 게임끼리 맵 호환이 된다.
BZ2
압축 파일 확장자. GZ보다는 압축률이 좋으나 압축 및 해제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편. TAR 확장자 등과 혼용하여 유닉스, 리눅스 계열에서 많이 쓴다.
1.7.4. C
C§
C 소스 코드 파일.
CAB
MS에서 사용하는 압축파일 형식에 붙는 확장자, WinCE 등에서 패키지 형태로 쓴다.
CAL
Windows 3.0의 일정표에서 쓰인다.
CAP
캡처 파일. 옛날 이야기와 같은 프로그램에서 텍스트를 저장하기 위해 많이 쓰였다. 형식은 다르지만 현재 Ethereal이나 WireShark같은 프로그램에서도 패킷 저장에 쓴다.
CASC
블리자드가 근 20년 간 써오던 MPQ 확장자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데이터 압축 파일이다.
CBT
만화책을 tar 로 압축한 파일. 앞에 CB는 Comic Book의 약자다.
CBZ
만화책을 zip 로 압축한 파일.
CBR
만화책을 rar 로 압축한 파일.
CB7
만화책을 7zip 로 압축한 파일.
CC§
C++ 소스 파일. 리눅스/유닉스 쪽에서는 이 확장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음.
CCD
클론 시디로 이미지 생성시 나오는 파일. 이것과 본체인 IMG, SUB 셋중 하나라도 없으면 정상적인 이미지 삽입이 되지않는다. 클론 시디의 업데이트는 오래전에 중단되었으므로 보기 힘들다.
CDI
CD/DVD 이미지 파일. 알콜로 구울수 있다.
CDR
Corel DRAW의 벡터 이미지 파일.
CGI
CGI 실행 파일. 웹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 실행파일의 확장자로 쓴다. 유닉스나 리눅스 계열에서 많이 쓴다. 윈도우에서는 잘 쓰지 않는데, EXE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다.
CHM
윈도 도움말 파일.
CIA
닌텐도 3DS 게임의 롬 파일.
CLASS
Java 바이트코드 파일.
COM
과거 디지털 이큅먼트 사(DEC)의 운영 체제들, CP/M, DOS에서 사용하는 실행 파일(Command File). 윈도우 상에서도 가끔 볼 수 있다. 인터넷에서 .com 도메인이 이 확장자와 같은 것을 이용해 컴퓨터 바이러스로 악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파일명이 같으면 확장자를 입력하지 않았을 때 exe 파일보다 먼저 실행되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감염된 동명의 com 파일을 만들어내 정상적인 exe를 회피하기 위한 용도로도 악용하는 경우도 있다.
CMD§
윈도우즈 XP이상은 BAT이 아닌 CMD 확장자를 쓰는게 맞다.(문법은 모두 일치한다.)그렇지만 신경쓰는 사람은 없다
CONF
리눅스 시스템의 각종 프로그램 설정파일 (윈도우즈의 INI와 비슷한 역할)
CPIO
유닉스 계열의 Archive 파일 형식. TAR와 거의 동일한 역할을 한다. 리눅스 커널의 내장 initrd 형식으로 사용된다.
CPP§
C++ 소스 코드 파일. C와는 서로 다른 파일이다.
CPR
Steinberg 의 Cubase 의 프로젝트 파일
CRAB
GandCrab 랜섬웨어에 감염되어 암호화된 파일.
CRCDATA
CRC 오류체크를 위한 파일.
CRD
Windows 3.1 또는 Windows NT 3.51 이전 버전에 있었던 보조프로그램인 카드 파일의 저장 파일.
CRDOWNLOAD
구글 크롬에서 다운로드중인 임시 파일의 확장자. 만일 중간에 다운로드를 중지했을 경우 이 파일은 컴퓨터에 그대로 남는다. 이는 일시정지했을 때에도 마찬가지. 다만 크롬에서 파일이 안전하지 않다고 직접 중지시키면 자동으로 삭제된다. 파일명은 미확인XXXXXX(숫자).crdownload.
CRX
구글 크롬 브라우저 확장 플러그인을 패키징한 파일
CS
§C# 소스 코드 파일.
게임 강철전기 C21의 스킨 데이터 파일 형식.
CS2
코즈믹 브레이크 스킨 데이터 파일. CS와는 호환 불가라고 알려져 있다.
CSPROJ
C#의 프로젝트 파일
CSS§
스타일시트 정의 파일
CSR
TLS에 쓰이는 인증서 파일
CUE§
CUE Sheet 파일. CD혹은 DVD의 트랙정보를 정리해 둔 텍스트 형식 파일이다. 사실 최초엔 CD 이미지 파일에서 사용하던 파일형식이었으나, 사용 범위가 확장되어 다른 매체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
CXX§
C++언어 소스 파일
DAT
데이터 파일. 말 그대로 데이터가 담겨있음을 의미하는 확장자이기 때문에 같은 확장자라도 파일 형식은 천차만별이다. 게임의 자막파일일 수도 있고, (3D 모델의) 애니메이션일 수도 있으며, 에러코드 모음일 수도 있다. 심지어 알송이나 곰플레이어에서는 동영상 파일로 취급.
DB
데이터베이스 파일.
DDS
Microsoft DirectDraw Surface 파일. S3TC등의 다양한 형식을 지원하는 텍스처 파일.
DEB
데비안 리눅스 계열 배포판용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파일
DER
Windows 보안 인증서 파일. 공인인증서도 이 확장자로 저장된다.
DGZ
폼텍 디자인 프로 프로젝트 파일.
DLL
응용 프로그램 동적 확장 라이브러리. 주로 윈도우즈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쓰인다.
DMG
매킨토시 디스크 이미지 파일. 대미지가 아니다.
DOC
MS 워드 2007 이전 버전 문서의 확장자. 문제는 이 확장자를 쓰는 다른 프로그램도 많았었다는 것.
DOL
닌텐도 게임큐브와 닌텐도 Wii의 홈브류 애플리케이션 파일.
DOCX
MS 워드 2007 버전의 파일. 이전 버전에서 보려면 변환기를 설치해야 한다.
DPG
닌텐도 DS의 홈브류 프로그램 문쉘 전용 동영상 파일.
DSV
닌텐도 DS 에뮬레이터 DeSmuME에서 사용하는 세이브 파일. SAV와 호환이 안돼서 고생하게 한다.
DVI
Device independent file format. TeX 나 LaTeX에 의해 생성되는 문서파일로, pdf와 비슷한 개념이다. 하지만 요즘은 예전만큼은 잘 안 쓰고 대신 pdf로 생성하는 경우가 많다.
DWG
Auto CAD 도면 파일.
DXF
Auto CAD의 자료 교환용(Data Exchange Format)도면 파일. 텍스트로 되어 있다.
DRV
장치 드라이버
DNG
어도비에서 개발한 RAW 이미지 및 동영상 시퀀스 저장 포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