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놀이
주요한
아아, 날이 저믄다. 서편(西便) 하늘에, 외로운 강물 우에, 스러져 가는 분홍빗놀 . 아아 해가 저믈면 해가 저믈면, 날마다 살구나무 그늘에 혼자 우는 밤이 또 오건마는, 오늘은 사월이라 파일날 큰길을 물밀어가는 사람 소리만 듯기만 하여도 흥셩시러운 거슬 웨 나만 혼자 가슴에 눈물을 참을 수 업는고 ?
아 춤을 춘다, 춤을 춘다, 싯별건 불덩이가, 춤을 춘다. 잠잠한 성문(城門) 우에서 나려다보니, 물 냄새 모랫 냄새, 밤을 깨물고 하늘을 깨무는 횃불이 그래도 무어시 부족하야 제 몸까지 물고 뜯을 때, 혼자서 어두운 가슴 품은 절믄 사람은 과거(過去)의 퍼런 꿈을 찬 강물 우에 내여던지나, 무정한 물결이 그 기름자를 멈출리가 이스랴? ---- 아아 꺽어서 시들지 않는 꽃도 업건마는, 가신 님 생각에 사라도 죽은 이마음이야, 에라 모르겟다. 저 불길로 이 가슴 태와 버릴가, 이 서름 살라 버릴가, 이제도 아픈발 끌면서 무덤에 가 보앗더니 겨울에는 말랏던 꽃이 어느덧 피엇더라마는, 사랑의 봄은 또다시 안 도라 오는가, 찰하리 속 시언이 오늘 밤 이 물 속에 . 그러면 행여나 불상히 녀겨 줄 이나 이슬가...... 할 적에 퉁, 탕, 불티를 날니면서 튀여나는 매화포, 펄덕 정신(精神)을 차리니 우구구 떠드는 구경꾼의 소리가 저를 비웃는 듯, 꾸짖는 듯. 아아 좀 더 강렬(强烈)한 열정에 살고 십다. 저긔 저 횃불처럼 엉긔는 연기, 숨맥히는 불꽃의 고통 속에서라도 더욱 뜨거운 삶을 살고 십다고 뜯밖게 가슴 두근거리는 거슨 나의 마음 .
4월달 다스한 바람이 강을 넘으면, 청류벽, 모란봉 노픈 언덕 우헤 허어혀켜 흐늑이는 사람 떼, 바람이 와서 불적마다 불비체 물든 물결이 미친 우슴을 우스니, 겁 만흔 물고기는 모래 미테 드러벡이고, 물결치는 뱃슭에는 조름오는 니즘의 形象이 오락가락----- 얼린거리는 기름자, 닐어나는 우슴소리, 달아 논 등불 미테서 목청껏 길게 빼는 어린 기생의 노래, 뜯밖에 정욕(情欲)을 잇그는 불구경도 인제는 겹고, 한 잔 한 잔 또 한 잔 끝업슨 술도 인제는 실혀, 즈저분한 뱃 미창에 맥업시 누으면 까닭 모르는 눈물은 눈을 데우며, 간단(間斷)업슨 쟝고 소리에 겨운 남자들은 때때로 불니는 욕심에 못 견듸어 번득이는 눈으로 뱃가에 뛰여 나가면, 뒤에 남은 죽어 가는촛불은 우그러진 치마깃 우에 조을 때, 뜯잇는드시 삐걱거리는 배잣개 소리는 더욱 가슴을 누른다 .
아아 강물이 웃는다. 웃는다. 괴샹한 우슴이다. 차듸찬 강물이 껌껌한 하늘을 보고 웃는 우슴이다. 아아 배가 올라온다. 배가 오른다. 바람이 불 적마다 슬프게 슬프게 삐걱거리는 배가 오른다 .
저어라, 배를 멀리서 잠자는 능라도까;지, 물살 빠른 대동강을 저어 오르라. 거긔 너의 애인이 맨발로 서서 기다리는 언덕으로 곳추 너의 뱃머리를 돌니라. 물결 끝에서 니러나는 추운 바람도 무어시리오. 괴이(怪異)한 우슴 소리도 무어시리오, 사랑 일흔 청년의 어두운 가슴 속도 너의게야 무어시리오. 기름자(그림자) 업시는 발금(밝음)도 이슬 수 업는 거슬 오오 다만 네 확실한 오늘을 노치지 말라. 오오 사로라, 사로라! 오늘밤! 너의 발간 횃불을, 발간 입셜을, 눈동자를, 또한 너의 발간 눈물을 .
- <창조>(1919) -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명시 100선 중 8
part 1 그대의 가슴이 하늘이 싹트리
채빈 엮음
[작가소개]
주요한(朱耀翰)
일제강점기 「불놀이」·『아름다운 새벽』·『봉사꽃』 등을 저술한 시인.
언론인·정치인·친일반민족행위자. 이칭, 송아(頌兒), 송아지, 松村紘一, 松村耀翰
분야 : 현대문학
성격 : 시인, 언론인, 정치인, 친일반민족행위자
성별 : 남
출생일 : 1900년 12월 5일
사망일 : 1979년 11월 17일
본관 : 신안(新安)
저작 : 아름다운 새벽, 자유의 구름다리, 부흥논의, 안도산전서
경력 : 경제과학심의회 위원, 대한일보사 사장, 대한해운공사 대표이사
관련사건 : 수양동우회 사건시대근대
<정의>
일제강점기 「불놀이」·『아름다운 새벽』·『봉사꽃』 등을 저술한 시인.언론인·정치인·친일반민족행위자.
<생애 및 활동사항>
1900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출생했다. 개신교 목사였던 주공삼(朱孔三)의 8남매 중 맏아들이며, 소설가 주요섭의 형이다. 1912년 평양 숭덕소학교(崇德小學校), 1918년 일본 메이지학원 중등부, 1919년 도쿄 제1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19년 2월호 『창조(創造)』에 산문시 「불놀이」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1919년 5월 상하이로 넘어가 8월 대한민국임시정부 기관지 『독립』의 편집을 맡았다.
1920년 2월 흥사단에 입단했다. 1920년 9월 상하이 후장대학[滬江大學] 공업화학과에 입학했으며, 1924년 10월부터 1936년 6월까지 문예지 『조선문단』의 동인으로 활동했다. 1924년 12월 첫 시집 「아름다운 새벽」을 출간했다. 1925년 6월 후장대학을 졸업, 난징 동명학원(東明學院)에서 1년간 영어 교사를 지냈다.
1926년 5월 발간된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의 기관지 『동광(東光)』의 편집인 겸 발행인이었으며, 1927년 7월 동아일보사 학예부장, 평양지국장, 편집국장 등을 역임한 후 1932년 11월 퇴사했다. 1929년 10월 이광수·김동환과 함께 『3인 시가집(三人詩歌集)』, 1930년 10월 시조집 『봉사꽃』을 발간했다.
1932년 9월 조선일보사 편집국장과 전무취체역(專務取締役)을 역임했고, 1933년 11월부터 1934년 8월까지 잡지부장을 지냈다. 1934년 2월 주식회사 화신(和信)의 취체역으로 재직했으며, 1934년 6월 수양동우회 이사장이 되었다. 1937년 6월 수양동우회사건으로 검거되었고, 1938년 11월 수양동우회사건 예심 보석 출소 기간 중 전향을 선언했다. 같은 해 12월 경성 부민관 강당에서 열린 시국유지원탁회의(時局有志圓卓會議)에 참석했으며, 수양동우회를 대표해 종로서에 국방헌금 4,000원을 헌납하였다. 1939년 10월 조선문인협회 창립 때 간사를 맡았다. 1940년 9월호 『조광』에 시조「여객기」를 발표하면서 문필활동을 통해 일제에 협력했으며, 많은 친일 글을 남겼다. 10월에는 국민훈련후원회(國民訓鍊後援會)가 벌인 일본어 보급운동에 참여했다. 같은 해 12월 황도학회(皇道學會)의 결성식에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1941년 8월 임전대책협의회(臨戰對策協議會) 결성식에 참석해 준비위원으로 선출되었고, 9월 조선임전보국단 발족 때 경성지부 발기인으로 활동했다. 1941년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주최 미영타도대연설회와 1942년 5월 징병제도연설회에서 연설했으며, 1943년 4월 조선문인보국회의 이사 겸 시부(詩部) 회장을 맡았다. 1944년 4월 조선문인보국회 평의원, 9월 국민동원총진회 발기인 및 상무이사를 맡았다. 1945년 대화동맹(大和同盟) 결성 준비위원을 맡았다.해방 후 1946년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에 취임했으며, 같은 해 10월 ‘흥사단 국내위원회’를 조직해 활동했다. 1948년 『국민신문』의 편집국장을 맡았다. 1949년 4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됐다가 풀려났으며,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조만식을 중심으로 창당된 조선민주당의 선전부장과 사무국장을 역임했다. 1954년 흥사단 기관지 『새벽』을 창간했다. 1957년 민주당에 입당한 뒤 1956년 제4대 민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고, 1960년 민주당 장면(張勉) 내각에서 부흥부·상공부 장관을 지냈다. 1966년 경제과학심의회 상임위원, 1970년 대한해운공사 사장을 지냈으며, 이후 1973년 한국특허협회 회장, 1975년 한국능률협회 회장, 1978년 전국경제인연합회 수석 부회장 등을 지냈다.
1979년 11월 17일 사망했다.주요한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1·13·17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17: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pp.378∼465)에 관련 행적이 상세하게 채록되었다.상훈과 추모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참고문헌>
『친일문학론』(임종국,민족문제연구소,2013)『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17: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현대문화사,2009)『친일인명사전』3(민족문제연구소,2009)『주요한연구』(이용호,동광문화사,2002)『한국근대문인대사전』
(권영민,아세아문화사,1991)「주요한의 상상된 ‘조선혼’과 친일문학의 도정」(최명국,『현대문학이론연구』45,2011)「주요한 상해독립신문시의 문학사적 위상」(조두섭,『인문학연구』11,1993)「주요한의 명치학원 시절」(심원섭,『연세어문학』23,199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주요한(朱耀翰))]
첫댓글 절규하는 몸부림
감사합니다
무공 김낙범 선생님
댓글 주심에 고맙습니다.
여름은 깊어 갑니다. 머지 않아 장마가
온다고 합니다. 여름의 한가운데서
건필하시길 소원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