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베트남 공기 여과기 시장동향 | |||||||||||||||||||||||||||||||||||||||||||||||||||||||||||||||||||||||||||||||||||||||||||||||||||||||||||||||||||||||||||||||
---|---|---|---|---|---|---|---|---|---|---|---|---|---|---|---|---|---|---|---|---|---|---|---|---|---|---|---|---|---|---|---|---|---|---|---|---|---|---|---|---|---|---|---|---|---|---|---|---|---|---|---|---|---|---|---|---|---|---|---|---|---|---|---|---|---|---|---|---|---|---|---|---|---|---|---|---|---|---|---|---|---|---|---|---|---|---|---|---|---|---|---|---|---|---|---|---|---|---|---|---|---|---|---|---|---|---|---|---|---|---|---|---|---|---|---|---|---|---|---|---|---|---|---|---|---|---|---|---|
게시일 | 2015-03-02 | 국가 | 베트남 | 작성자 | 유은정(호치민무역관) | |||||||||||||||||||||||||||||||||||||||||||||||||||||||||||||||||||||||||||||||||||||||||||||||||||||||||||||||||||||||||||
품목 | 기타 | |||||||||||||||||||||||||||||||||||||||||||||||||||||||||||||||||||||||||||||||||||||||||||||||||||||||||||||||||||||||||||||||
품목코드 | 842199 | |||||||||||||||||||||||||||||||||||||||||||||||||||||||||||||||||||||||||||||||||||||||||||||||||||||||||||||||||||||||||||||||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산업용 공기 여과기는 냉난방 및 환기장치용 에어 핸들링 유닛, 고성능 미립자제거 필터(HEPA), 미디움(medium) 필터, 전기(electro) 필터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제품을 포함함. - 베트남에서 이 제품이 주요 적용되는 곳은 연구실의 무균실, 수술실, 전자제품 공장, 코팅 및 페인팅실, 의약품 생산 시설, 고품질 식품가공 공장 등임. - 이는 베트남이 현지 산업 발전에, 특히 제약·전자제품·휴대폰 부문 등에 많이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줌.
○ 현재 베트남 공기 여과기 시장 규모는 비교적 작은 편에 해당. - 베트남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공기 여과기와 액체 여과기로 이루어진 모든 산업용 필터의 2012년 시장가치는 약 5천만 달러로 추정됨. - 이는 2011년 대비 3.15% 소폭 하락한 수치로 베트남에 경제 침체와 생산 속도 저하를 반영한 것.
○ 하지만 이러한 상황은 몇 가지 요인으로 인해 개선되고 있음. - 베트남 전자제품 및 휴대폰 산업에 대한 해외직접투자(FDI)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관련 시장은 확대일로에 있음. - 삼성의 총 68억 달러 투자, LG의 15억 달러 투자, 인텔(Intel)의 투자확장과 더불어 신규 공장 설립·건축 및 엔지니어링으로 최근 들어 투자가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
○ 이러한 대형 공장들은 알맞은 기계, 장비, 자재 및 기술을 위한 공급자를 필요로 함. - 또한 생산 및 R &D를 위한 고수준 무균실 설치는 국제적인 대형 투자자들에게 가장 수요가 큼.
○ 아울러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의 의약품 산업은 연평균 약 16.5%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2012년 말 기준, 베트남에는 총 183개의 의약품 생산업체가 등록되어 있는 등 의약품 생산기지로서의 기반이 구축되어 있으며 높은 성장잠재력을 지니고 있음. - 2013년 베트남 정부가 저가의 의약품을 현지 의약품 제조업체에 유리한 공공병원 의약품 입찰제도를 채택하면서, 베트남 현지에서의 의약품 현지 생산 및 판매 확대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됨. - 중·장기적으로 많은 베트남내 의약품 생산기업들은 무균실을 포함한 관련 시설 개선·확장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이에 따른 고품질 공기 여과기의 수요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 베트남 산업용 공기여과기 시장은 2014년을 기점으로 휴대폰·전자제품 및 의약산업에 대한 베트남 내 투자 확대에 힘입어 향후 5년간 시장 수요 확대가 예상됨.
□ 수입동향
○ 공기 여과기 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베트남 현지 기업들은 섬유 필터 및 관련 자재에 대해서는 해외 공급업체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남.
○ 베트남은 미국, 중국, 일본, 대만, 한국으로부터 공기 여과기 및 관련 제품을 주로 수입하고 있음. - 미국은 베트남 공기 여과기 시장에 진출한 지 15년 이상 됐으며 유명 브랜드 및 판매 시스템을 앞세워 현지 시장을 지배하고 있음.
○ 對베트남 1위 수출국인 중국산 제품은 가격경쟁력이 높고,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 현지 공장에 투자해 생산한 제품도 베트남에 수출되는 것으로 나타남. - 베트남 현지 딜러들에 따르면 중국산 먼지 필터 자재가 수입되고 있지만, 시험을 통해 적절한 인증서를 획득한 미국 혹은 유럽 생산업체들의 제품에 비해 품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 미국과 유럽의 일부 기업들은 중국에 생산 공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중국이 공기 여과기 제품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
○ 중국으로부터의 높은 수입실적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에는 자국 혹은 비슷한 수준의 원산지의 제품만을 신뢰하는 일본, 미국, 유럽의 고객(투자기업)들로 이루어진 고급 세그먼트가 존재함. - 인텔의 공장은 스웨덴 제조업체인 Camfil Farr社로부터 수입된 공기 여과기만을 선택함. - 무균실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공급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무균실에서 사용되는 모든 제품은 G7 국가들과 한국과 대만과 같은 아시아 국가들로부터 수입한다고 전함. - 제품 선택은 보통 바이어(투자기업)가 누구인지에 따라 달렸으며, 대부분의 경우 자국산 제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남.
○ 관련 거래업체 및 엔지니어링 업체가 추천하는 브랜드 제품은 제품 선택에 있어 큰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며, 실질적으로 제품선택은 투자국과 바이어에 의해 좌우됨.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베트남 공기 여과기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8421.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주: 위 베트남 수입통계는 공기 여과기 한 가지 품목에 대한 통계가 아니며, 더 넓은 범위의 필터 기능을 가진 품목에 대한 통계임.(액체 및 가스용 필터/정화기계 및 장치 포함) 자료원: Customs Year Book 2010, 2011, 2012
2. 수입제도.관세율 및 유통구조
□ 관세율
주1: MFN 최혜국 대우관세 주2: ATIGA 아세안 물품무역협정 주3: ACFTA 중국 아세안 자유무역협정 주4: AKFTA 한국 아세안 자유무역협정 자료원: Customs Year Book 2010, 2011, 2012
○ 베트남은 HS코드 8421.99 해당 품목에 대해 부가가치세(VAT) 10%를 적용함.
□ 주요 유통채널
○ 현지 제조업체 → (무균실 기술 엔지니어링 공급업체) → 고객 ○ 외국 제조업체 → 수입업체 / 총판 / 무균실 기술 엔지니어링 공급업체 → 고객
3. 경쟁동향
○ 산업용 공기 여과기의 공급원으로는 두 가지 종류가 있음. - 하나는 베트남에 공장을 가진 현지 생산기업이고, 다른 하나는 외국 공급업체임.
○ 대부분의 산업에서 베트남 현지 생산업체들은 수입제품과의 경쟁에서 저조한 성과를 보였으나, 공기 여과기 제품시장에서는 현지 업체와 외국 업체의 경쟁이 상당히 치열한 것으로 나타남. - 현지생산 제품은 기본모델 제품부터 고성능 미립자 제거 필터(HEPA), 미디움 필터(medium filter), 전치필터(pre filter)를 포함한 상급 모델까지 종류가 다양함. - 현재 현지 생산업체들 가운데 가장 높은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상위 업체는 VietViet Air Filter J.S.C(http://vietfil.com), HK Filter Eng Co. Ltd(www.hkfiltereng.com) 등 2개 사임. - 두 업체 대표관계자에 따르면, 각 업체만의 특별한 전략이 시장진출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함. - Viet Air Filter(AVF)社는 현지생산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미국과 한국으로부터의 기술에 투자하고 식품가공 및 제약가공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한국 모기업의 지원을 업은 HK Filter社는 베트남 내 한국인 투자기업들의 대부분을 고객사로 확보. - 무균실용 장비 및 물품을 취급 딜러인 Long社 대표, Bui Thi Hong Xuyen에 따르면 현지생산업체들은 마케팅 활동을 현지시장에서 점차 우위를 다져나가고 있다고 함.
1. VIET AIR FILTER J.S.C.
2. H.K. FILTER ENG CO., LTD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마케팅 방안 및 타겟고객층
○ 공기여과기 및 집진기를 전문적으로 취급하고 있는 현지 거래업체에 따르면, 이 제품의 경우 베트남 현지 딜러를 통한 판매 전략은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표명. 한 예로, 현재 베트남 진출 한국 투자기업의 높은 인지도와 이들이 확보하고 있는 많은 한국인 고객기업들로 인해 베트남 딜러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입장. - 따라서 현지 거래업체를 통한 판매 전략은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임. - 베트남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필터 생산업체가 삼성, LG 및 기타 한국 기업들과 성공적인 공급계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베트남 내 자사 사무소를 설립하거나 관련 한국 업체들의 지원을 받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