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성비와 패션으로 젊은 맘 소비수요 반영해야 -
- SNS 등 다양한 홍보 마케팅을 통해 제품 우수성을 충분히 어필해야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영유아복은 0~6세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의복
- 현재 중국 많은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0~24개월 영아를 대상으로 하는 영아복, 18~36개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아복으로 구분
- 3세 이상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옷은 ‘아동복(童裝)’으로 분류
상품명 | HS CODE |
영유아복 | 嬰兒服裝 | 6209.20 |
| | |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8년 0~6세의 영유아복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20% 이상 증가하여 419억 위안으로 집계됨
- 14세 미만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중국 영유아·아동복 시장은 2015년부터 10% 이상의 시장증가율을 보이며 지난해 2천억 위안 돌파
- 영유아복과 아동복으로 시장을 구분하여 볼 때 시장규모는 영유아복이 아동복 시장의 1/4 수준이나 시장성장률은 아동복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남
중국 영유아·아동복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
구분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E |
합계 | 1,164 (9.9%) | 1,271 (9.2%) | 1,400 (10.2%) | 1,571 (12.2%) | 1,796 (14.3%) | 2,083 (16%) |
| 아동복 (여) | 493 (10.6%) | 540 (9.5%) | 590 (9.3%) | 656 (11.2%) | 748 (14%) | 861 (15.2%) |
| 아동복 (남) | 483 (8%) | 517 (7%) | 560 (8.3%) | 619 (10.5%) | 701 (13.2%) | 802 (14.4%) |
| 영유아복 | 188 (13%) | 214 (14%) | 250 (16.9%) | 296 (18.4%) | 347 (17.2%) | 419 (20.8%) |
주1: 영유아복은 6세 미만의 영유아 대상, 아동복은 6~14세 아동 대상으로 하는 의류제품임
주2: 괄호 안 %는 증감율
자료원: Euromonitor(2018.2월)
ㅇ 2022년까지 중국 영유아복 시장은 10% 대의 성장세를 유지하여 700억 위안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됨
중국 영유아·아동복 시장전망
(단위: 억 위안, %)
구분 | 2018E | 2019E | 2020E | 2021E | 2022E |
합계 | 2,083 (16%) | 2,380 (14.3%) | 2,680 (12.6%) | 2,995 (11.8%) | 3,289 (9.8%) |
| 아동복(여) | 861 (15.2%) | 980 (13.8%) | 1,100 (12.3%) | 1,227 (11.5%) | 1,353 (10.3%) |
| 아동복(남) | 802 (14.4%) | 909 (13.2%) | 1,011 (11.3%) | 1,122 (11%) | 1,224 (9.1%) |
| 영유아복 | 419 (20.8%) | 491 (17.1%) | 568 (15.7%) | 646 (13.8%) | 712 (10.1%) |
주1: 영유아복은 6세 미만의 영유아 대상, 아동복은 6~14세 아동 대상으로 하는 의류제품임
주2: 괄호 안 %는 증감율
자료원: Euromonitor(2018.2월)
□ 수입동향
ㅇ 중국 영유아복 수입은 2016년 2811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후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
- 지난해에는 전년대비 0.6% 소폭 하락한 2212만 달러로 집계됨
최근 10년 간 중국 영유아복(HS 6209.20) 수입동향

주: HS 6209.20은 유아용 의류와 그 부속품, 이외에 기타 의류 HS 코드로 수입되는 영유아복이 있으므로 실제 수입시장규모는 이보다 클 것으로 추정됨
자료원: GTA
ㅇ 수입 상위 10개국은 주로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인도, 베트남 등 인건비가 낮은 동남아와 남아시아 국가
- 상위 10개 국 중 선진국은 일본과 이탈리아 뿐이며, 수입시장 점유율은 모두 약 1.5% 수준에 그침
- 한국은 2016년에 9위였으나 지난해에는 13위에 랭킹
2018년 중국 영유아복(HS 6209.20)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자료원: GTA
ㅇ 최근 10년간 한국으로부터의 영유아복 수입액을 살펴보면 2009년부터 부진했다가 2016년에는 전년대비 800% 이상 급증
- 2017년 대한국 수입이 81% 감소하여 13만 달러에 그쳤다가 지난해 다시 17만 달러 수준으로 회복
최근 10년 간 중국 영유아복(HS 6209.20) 대한국 수입동향

자료원: GTA
□ 경쟁동향, 주요 경쟁기업 및 유통구조
ㅇ 시장집중도가 낮아 다양한 브랜드가 각축 중이며 최근 로컬 브랜드가 급부상
- 상위 10개 브랜드 시장 점유율 합계가 11.3%이며, 1위인 Balabala는 5% 수준
- 로컬 브랜드가 급부상하고 있으며, Adidas Kids와 Disney 등 해외 브랜드들도 안정적 성장세 유지
중국 영유아·아동복 TOP 10 브랜드 시장점유율(%)
연번 | 브랜드 | 2015 | 2016 | 2017 |
1 | Balabala | 썬마(Semir, 森马) (중국) | 4.1 | 4.6 | 5.0 |
2 | Adidas Kids | Adidas (독일) | 0.8 | 0.9 | 1.1 |
3 | Pepco(小猪班纳) | 광둥 Pepco 의류사 (중국) | 0.9 | 0.9 | 0.8 |
4 | Annil(安奈兒) | 선전 annil 의류사 (중국) | 0.9 | 0.8 | 0.8 |
5 | Dadida(嗒嘀嗒) | 푸젠 거린(格林) (중국) | 0.9 | 0.8 | 0.8 |
6 | Disney | Disney (미국) | 0.6 | 0.6 | 0.6 |
7 | ABC | 치부(起步) 의류 (중국) | 0.6 | 0.6 | 0.6 |
8 | Mini Peace | 닝보 타이핑냐오(太平鸟) (중국) | 0.3 | 0.5 | 0.6 |
9 | PencilClub (鉛筆俱樂部 | 톈상(添翔) 의류 (중국) | 0.5 | 0.5 | 0.5 |
10 | Anta Kids | Anta(安踏) (중국) | 0.5 | 0.5 | 0.5 |
자료원: Euromonitor(2018.2월)
ㅇ 영유아복은 온·오프라인에서 모두 다양하게 유통되고 있음
- (온라인) 중국 대표 온라인 플랫폼인 티몰, 징둥 이외에도 미야(蜜芽)와 같은 영유아상품 전문 온라인 플랫폼 위주로 유통
- (오프라인) 백화점 영유아용품 코너 이외에도 영유아 전문 매장이 최근 더 주목받고 있으며 절반 가까이는 아이잉스(愛嬰室), 바오바오수(寶寶樹) 등과 같은 프랜차이즈 매장이 주도
유통구조

자료원: KOTRA 베이징무역관
□ 관세율
ㅇ 2019년 기준, 중국 영유아복 MFN 세율(최혜국세율)은 10%이며, 상위 10개 수입국에 모두 적용됨
- 한국산의 경우는 한중FTA 세율 적용이 유리함. 한중FTA 세율은 MFN세율보다 3%포인트 낮은 7%임
- 영유아복은 한중FTA 양허유형이 '10', 즉 10년 내 철폐되는 품목으로 2024년 '0%'로 완전 철폐됨
영유아복(HS 6209.20) 관세율 비교
2019 MFN | 2019 APTA | 2019 한중 FTA | 2020 한중 FTA | 2021 한중 FTA |
10% | - | 7% | 5.6% | 4.2% |
자료원: 중국 수출입세칙
□ 수입규제 및 인증
ㅇ 중국에서 영유아 아동복 및 섬유제품은 는 반드시 <국가 방직품 기본안전 기술규범(GB 18401-2010)>과 <영유아 및 아동 방직품 안전기술규범(GB 31701-2015)>에 부합해야 함
- <국가 방직품 기본안전 기술규범>에서 유아용 의류는 ‘A류 제품’으로 분류되며, 가장 까다로운 안전기준을 두고 있음
* A류: 영유아용제품, B류: 피부직접접촉 제품, C류 : 피부非직접접촉 제품 등 3가지로 분류
- <영유아 및 아동 방직품 안전기술규범>에서는 연령대별 제품의 필수 기술 규범*등을 추가로 규정하고 있어 관련 항목 주의 필요
* 의류에 부착된 끈의 길이, 부속물 크기 등
중국 영유아·아동복 방직제품 안전기술규범
구분 | A류 | B류 | C류 |
포름알데히드 함량(mg/kg) | 20 | 75 | 300 |
수소이온 농도(pH) | 4.0~7.5 | 4.0~8.5 | 4.0~9.0 |
염색견뢰도(급) | 물견뢰도 | 3~4 | 3 | 3 |
산견뢰도 |
알칼리견뢰도 |
마찰견뢰도 | 4 |
타액견뢰도 | - | - |
냄새 | 무향 |
분해가능한 발암성 방향족아민 염료 | 사용금지 |
자료원: <국가 방직품 기본안전 기술규범(GB 18401-2010)>
ㅇ 중국 내 판매 제품은 반드시 중문 라벨을 부착해야 함
- 라벨과 설명서에 'A류'와 '유아용 제품' 명시 의무화
라벨 예시

자료원: KOTRA 베이징무역관
□ 시사점
ㅇ 바링허우, 주링허우 젊은 엄마들의 소비수요 반영해야(KOTRA 베이징무역관 인터뷰)
- 영유아용품 전문 온라인 쇼핑몰 미야(蜜芽) 관계자는 최근 바링허우(80後, 1980년대 태어난 세대), 주링허우(90後, 1990년대)의 젊은 엄마들은 원단, 디자인, 가성비 등을 꼼꼼하게 비교, 체크하는 까다로운 소비자들이라고 분석
- 상품 디자인의 ‘디테일 하이라이트’, ‘혁신적인 소재와 기능’ 등을 바탕으로 젊은 엄마들을 사로잡아야 한다고 조언
ㅇ SNS 등 다양한 홍보마케팅을 통해 제품 우수성을 소비자들에게 충분히 어필해야
- 신세대 부모들은 인터넷, SNS로 수입산과 국내산 영유아 제품을 비교, 연구하고 경험담을 육아정보 사이트에서 공유하고 토론하는 세대임
- 왕훙, 육아정보 커뮤니티사이트 등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해 전문 정보를 제공하거나 자사 제품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등 소비자 참여도와 충성도를 높여야 함
자료원: Euromonitor 등 KOTRA 베이징무역관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