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빈(賓)자는 집(갓머리)에 돈(貝)을 들여서 대졉해야(갓머리와 조개패 가운데있는 글자모양은 손님<丁>을 안내하는 형태로 두손을 한쪽으로 모시는 표시 )할 귀한손님이 오셨다는 글자이다 같은 손님이라도 손객(客)자와는 차원이 다르다 손빈자는 글자속에 돈을가진자라는 뜻으로 조개패(貝)자가 들어있는것이다 그러나 손객(客)자는 돈은 커녕 아무것도 없다는 뜻으로 각개약진(各介躍進:협동적이 아닌 단독개별적인 생활방식)의 빈털털이라는 의미가 담겨있으니
쓰이는 용도를 보면 대뜸 그 뜻이 어마어마하게 천양지차(天壤之差;하늘과 땅만큼이나 다르다)가 난다는것을 알게되는것이다
국빈(國賓=나라를 대표한 귀한 손님)을 영빈관(迎賓館=귀한손님을 모시기 위해서 특멸히 지어 놓은집)으로 모시고 상빈예(上賓禮=아주 높은분으로 모시게되는 예의범절)를 갖추어야할 귀빈(貴賓)으로 쓰이는 손빈(賓)자와
객사(客舍=아무렇게나 지은집)에 하룻밤을 재워서 보내기만하면되는 객지(客地)의 떠돌이 거렁뱅이나 무뢰한(無賴漢=오갈데없는 나쁜놈) 객인(客人=자기집도 없이 고향을 떠나서 마구잡이로 떠돌아다니는 사람)취급으로 하객(下客=손님축에도 들지못하는 손님의 심부름꾼)이나 취객(醉客=술이 잔뜩 취해서 인사불성이 된 어중이떠중이 손님)들은 걸객(乞客=거렁뱅이)으로 대접하는것이 무방함으로 객사(客舍=보잘것 없이 지어놓은집)의 손님은 그렇게 신경을 쓰지않아도 된다는 식객(食客=밥이나 축내는 하잘것 없는 손님)일뿐이라는 천객(賤客=별볼일없는 손님)대접으로 쓰이는 손객(客)자이다
그러므로 숙식안내부터 다른것이다 영빈관에 모셔야할 손님은 손빈(賓)자이고 객사에 아무렇게나 재워서 보내기만하면된다는것이 손객(客)자이다 그래서 손님을 말할때 반드시 빈객(賓客)이라고 쓰는것이고 객빈(客賓)이라고는 쓰지 않는것이다
쓰임새
1.빈객불래문호속(賓客不來門戶俗)=집안에 손님이 오지않는다면 그집안은 더이상 발전향상이없고 퇴화과정으로 접어들것이다
2.빈두로(賓頭盧)=불가에서 머리가 희고 눈썹이긴 나한(羅漢)을 말함. 불칙(佛勅)을 받아 열반(涅槃)에 들지않고 천축마리지산(天竺摩利支山)에 살며 말세에 공(供)에 응하여 대복전(大福田)이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