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스라엘 지리 개관
가. 이스라엘땅(사이의 땅 The Land Between)의 역동성 1. 대륙들 사이의 교량역할 가. 고대문명의 발상지,나일과 메소포타미아 분지지역 연결.(아시아와 아프리카) 동쪽은 사막 서쪽은 해안으로 이루어져 이스라엘로 교통이 집중됨. 나. 유럽: 그리스인, 로마인, 십자군 등. 다. 겔5:5 라.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지형적 정치적 위치를 어떻게 사용하셨나? 1. 작은 땅일지라도 상업적, 정치적으로 중요하여 “큰 힘”들이 탐을 냈다.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강한 정부들 사이에 이스라엘은 하나의 분쟁지역 이었다. 궁극적으로 이 땅의 거민 들은 안전을 위하여 하나님을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 2. 불신자들에 대한 주요 훈련은 무엇인가? 신4:27; 28:63-63;왕하17:5-7;대하 36:15-20 나. 이스라엘 1. 경계(境界) 가.애굽시내에서부터 그 큰 강 유브라데까지(창15:18-21)(아브람) 나.12지파에 분할(分割)된 땅(신 11:24)(수 13:-19: ) 다.다윗과 솔로몬의 영토 라.단에서부터 브엘세바까지(삿20:1<삼상3:20) 마.동(東):요단강 서(西):대해(민34:7,수9:1)서해(신11:24) 남(南):시나이(애굽시내) 북(北):레바논산맥(헬몬산) 1.북쪽의 경계는 한정하기 가장 어렵다.현대 시리아와 이스라엘은 역사적으로 하나의 지형적 통합체로 여겨 왔다. 2. 느보하맛(민34:8)은 다메섹과 베이루트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2. 명칭(名稱): 가.가나안(Canaan) 나.약속의 땅(The promised land) 다.젖과 꿀이 흐르는 땅(the Land flowing with milk & honey) 라.에레쯔(Eretz)이스라엘(The Land of Israel) 마.하아레쯔(ha-Aretz)(The Land) 바.이스라엘,유다,시온. 사.필리스티나(Philistina)또는 팔레스틴(Palestine) 아.성지(聖地:Terra Santa:Holy Land) 자. 시리아 차. 사이땅(The Land Between) 다. 지역구분(地域區分) 이스라엘은 작은 땅이다(240x75 Km)- 단에서 브엘세바, 요단강에서 지중해. 그러나 약 50개의 독특한 지형을 가진 지역들이 있다. 많은 지형적인 다양성 분할, 격리 등이 종종 그 이웃과 완전히 격리하여 다른 특성을 가지게 한다. 1. 네 개의 주요 남북 지역 가.해안 평야 나.중앙 산지 및 산지들 다. 대협곡 (The Rift),계곡 라. 요단 동편 평지. 2. 해안평야 가.악고/아셀 평야 나. 샤론 평야 다. 블레셋 평야 3. 산지 가. 상부 갈릴리 나. 하부 갈릴리 다. 사마리아(므낫세와 에브라임) 라. 베냐민 평지 마. 유다 산지 바. 현대 네게브의 고원지대 4. 대협곡,지구대 가. 베카 나. 훌라 계곡 다. 현무암 창(문지방 모양) 라. 갈릴리 바다 마. 요단 계곡 바. 사해 사. 현대 아라바 아. 에일랏 만 5. 요단동편 평지 가. 헬몬산 나. 상하부 골란(바산) 다. 상하부 길르앗 라. 모압 평지 마. 에돔 6. 중앙 산악지역의 주요 동서 단절들 가. 이스르엘 평야 나. 사마리아 계곡들(세겜강과 와디 파리아) 다. 성서적 네게브 7. 구약에서 지역용어 성경 저자들은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지방을 세분화하여 기록하였다. 예) 신1:7,수11:16;렘32:44 그리고 각 지역은 자신의 지형적인 특이성을 가진다. 자주 언급되는 이름은 다음과 같다. 가. 산지(유다와 에브라임 산지 포함) 나. 남방(네게브) 다. 해변 라. 아라바 마. (유다)광야 바. 쉐펠라(평지) 사. 베냐민 땅 아. 아바림 산지(요단 동편) 라. 도로(道路) 1.남북도로(이집트-메소포타미아 연결 대로) 가.국제해안도로(해변 길=Via Maris:사 9:1-2;19:23,마 4:15; 대형 중계도로 이집트-가사-해안평야-아벡-므깃도-이스르엘 평야(여러 출구)- 와디 아르벨-갈릴리 바다(막달라 평지)-훌라분지(하솔,단)-다메섹-바벨론 나.왕의 대로(King's Highway:민 20:17) 많이 이용되는 서쪽 지선: 엘랏-에돔-모압-암몬-길르앗-바산-다메섹-바벨론 다.족장의 도로(Patriachs' road:창세기) 세겜-실로-벧엘-미스바-라마-기브아-(예루살렘)-베들레헴- 헤브론-브엘세바 2.동서도로 가.길르앗-벧산-이스르엘-도단-해안도로 나.브누엘-아담-디르사-세겜-사마리아-샤론평야-해안도로 다.에돔-아라바-남방(네게브)-브엘세바-가사 라.암몬-여리고-벧엘-기브온-벧호론-아얄론-욥바 마. 토양 및 암석 바. 기 후 1. 일반론 가. 두 계절: 우기(파종기),건기(추수기) 창 8:22에 ‘땅이 있을 동안 심음과 거둠과 추위와 더위와 여름과 겨울과 낮과 밤이 쉬지 아니하리라’ 나. 이 주요 두 계절사이에 짧은 전이계절이 있다. 우리는 이들 전이계절의 중요성을 성경에서 볼 수 있다. 주요 명절이 이 전이계절에 축하된다. 다. 이스라엘은 지중해와 사막사이의 전이지역이다. 아하로니는 이스라엘의 계절을 바 다와 사막사이의 “경쟁”이라고 묘사한다. 또한 단거리에 심한 고도 차는 지역별로 다 양한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예: 예루살렘과 여리고 사이) 라. 하루에도 온도차가 매우 심하다. 한낮 여름열기에 고생하던 학생들은 저녁에는 그 한기에 옷을 걸쳐야한다. 마. 중심지역의 평균온도는 20도정도나 평야와 쉐펠라는 더 높고 대협곡이 가장 높다. 바. 바람 : 전반적으로 바람은 서쪽으로부터 온다.(지중해) 만약 미풍이 서쪽(혹은 북쪽)으로부터 불면 온도는 내려가고 겨울에 주로 분다. 예외적인 것(늦은 겨울 갈릴리 폭풍)은 제외하고 만약 바람이 동(혹은 남)으로부터 불면 그 것은 더 뜨겁고 건조하며 먼지를 동반한다(함신). 서/북쪽 바람 ; 눅12:54,잠25:23,시147:8,18 동/남쪽 바람 : 눅12:55,출14:21,욥27:21;37:17,렘4:11 2. 1년 주기; 성경참고 신11:8-18,8:7-10 가. 봄 전이계절(4-5월) 1. 늦은 비(말코쉬)는 추수 전에 마지막 수분으로 주어진다. 신11:14,약5:7,렘3:3, 슥10:1 2. 유월절과 첫열매 : 첫곡식(보리) 수확 이스라엘의 종교력의 시작(출12:2) 모든 명절은 농업, 계절에 관계있다. 3. 과실수의 개화, 2월초쯤 아몬드(우리 성경에는 살구꽃으로 번역됨) 4. 온화한 날씨(21-23도)나 동/남의 바람으로 인한 뜨겁고 먼지 많은 날씨가 가능 (함신, 보통 4월말,5월초) 5. 풀과 꽃은 여전히 있으나 곧 말라 버린다.(사40:6-8) 나. 여름: 오랜 건기 1. 5-10월. 비가 없다. 아2:11,잠26:1,삼상12:16-18. 공기층이 매우 안정되며 매일 일조. 물은 샘물,우물,물저장소,몇 개의 조그만 강물을 의존한다. 2. 곡식 수확은 초여름에도 계속된다. 첫 과일과 오순절(출23:16) 3. 서쪽으로부터 저녁 미풍이 규칙적으로 오후 2-3시 사이에 불면서 시원한 기온을 가 져오며 밤에는 이슬이 내린다.(아5:2) 4. 사막은 요단계곡(대협곡)에 49도와 예루살렘에 40도에 이르는 온도에 영향을 준다. 5. 7월과 8월에 포도 수확 시작. 다. 가을 전이계절(10월 -11월) 1. 숙곳(초막절,수장절,장막절);세 가지 수확-감람나무,포도,기타 과일및 너츠. 2. 일반인의 달력 시작(나팔절- 신년( 로쉬 하 샤나)- 우리의 음력과 비슷 3. 이른 비(요레), 오랜 건기후 첫비. 이들은 경작할 토양을 적시는 적합하고 온화한 비이다. 장막절에 비를 비는 기도(요7: 37-39) 4. 파종; 이것은 우기와 겨울동안 자란다. 5. 알맞은 온도나 보통 10월경 함신(더운 바람) 일어난다. (11월과 4월에 주로 일어난다.-여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계절) 라. 겨울: 우기 1. 소나기들(12-2월까지);땅의 물 저장소들을 채우는 귀중한 시기. 이 비들은 주로 강한 바람과 추위를 동반한다. 그리고 때로는 며칠동안 계속되기도 한다. 이런 폭 풍우 속에 밖에 나가는 것은 비에 젖은 생쥐모양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산간지역 에는 싸라기 눈과 눈이 내린다. 예측할 수 없는 한기,청명,맑은 날이 엇갈린다. 겨울 가옥은 춥고 습하다. 주민들은 이 시기에 많은 애로를 가지나 이 비들이 농사와 다가 오는 여름을 살아가는데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기에 오히려 기뻐한다. 2. 광야조차도 목초지로 변한다. 목자들은 산지의 추운 기온 때문에 이 시기에는 낮은 지역을 더 좋아한다. 마. 농업과 목축 1. 농업 신8:7-10, 7가지 대표식물 가. 지역적 다양성(신10:11-12),곡식(밀,보리)은 주로 평지와 넓은 계곡에서 재배되고 포도, 무화과, 석류, 감람 ,꿀(대추야자?)은 산지에서 자람. 나. 비록 곡식들이 중요할지라도 (곡식, 포도주, 기름은 종종 성경에 언급된다 신7:13) 위 언급한 과실수에서 이스라엘의 주요 생산품을 얻는다.; 포도주와 기름등 또한 많은 이들이 나무들이 젖과 꿀(출3:8,민13:27,신11:9)이 된다고 믿기도 한다. 달콤한 과일을 생각하라. 가축을 포함한 이 세 가지 생산품은 고대 이스라엘 경제의 중 추역할을 감당하였다. 1. 대상27:25-31에 다윗왕의 경제적인 감독들. 2. 감람나무 : 나무들의 중요성 예 - 항해시 건강과 가장 오래 지속되는 음식재료 - 감람유는 모든 가정 등불의 주요 원료였다. (예;성막과 성전의 촛대,열 처녀 비유) - 감람유는 모든 화장품, 연고, 비누등의 기본재료로 이용되었다. - 냉장없이 소량의 동물성 기름이 음식을 튀기는데 이용되나 주원료는 감람유 - 이집트인과 메소포타미아인의 토양과 기후는 감람나무를 재배하는데 부적합하다. 그러므로 그 경제적 가치의 증가는 감람유를 하나의 중요한 수출품으로 만들었다 - 이스라엘과 블레셋의 주요 사업중의 하나는 기름사업이었다. - 그러므로 감람나무는 나무들 중에 왕이다. 삿9:7-9,호14:6 - 감람나무는 죽지 않는 나무로도 알려져 있다. 밑둥이 잘려도 그루터기에서 다시 줄 기가 나온다.- 겟세마네 동산의 감람나무 - 감람나무는 낮고 건조한 지역 특히 이스라엘과 같은 토양에서 자란다.(노아의 홍수 와 감람나무 잎새의 관계를 잘 묵상하라) - 성경 관계 :삿9:7-21 - 나무들 중 으뜸은 감람나무(요담의 연설) 슥4:3,11-14-두 감람나무: 두 명의 기름 발리운자 호14:6 - 그 가지가 퍼지고 그 아름다움은 백합화 같고(장래의 이스라엘) 3. 포도나무 - 호10:1 -이스라엘의 상징(9:10,14:7-꽃) - 사5:1-7 - 이스라엘의 상황을 포도나무에 비유 - 사63:1-3/계14:18-20 - 포도주 틀에서 포도를 짓밟아 포도즙이 멀리까지 튐 포도주 틀의 모양을 먼저 익히라.( 하나님 심판의 강력함 암시) - 요15:1-8 예수는 참 포도나무, 우리는 가지, 하나님은 농부 포도는 새로운 가지에만 열매를 맺는다. 이미 열매 맺은 가지는 포도원 주위에 버려져 있는 것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가지는 나무에 붙어있을 뿐 아니라 날마다 새롭게 개혁되어야만 열매를 맺을 수 있다. - 유다산지의 포도원은 여우나 기타 야생동물 혹은 침입자들로부터 포도원을 보호 하기 위하여 돌담 등으로 두르고 망대를 세운다. 망대의 문화는 이런 농업에도 관 련이 있다. 2. 가 축: 젖과 꿀 중 젖 가. 히브리인들은 최초에는 목자들이었다.(창46:33-34) 그리고 부의 측정은 종종 가축의 숫자와 관계 있다(창13:2,5-7) 나. 이스라엘의 많은 땅은 농업에는 적합치 않으나 목축에는 적합하다.(시104:14) 예) 유다광야, 바산지역 다. 성전의 희생물 라. 성경의 목자상. 2. 문명의 교차로 - 이스라엘 |
서 론
성경을 올바로 이해하고 가치 있게 설교하자면 그 땅의 성격, 즉 自然 地理를 알아야 하고 그 땅의 역사, 즉 歷史 地理를 알아야 하고, 그 땅에 살고있는 사람들의 삶의내용, 즉 人文 地理를 알아야 한다. 우선 성경의 배경적 구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째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통한 하나님의 활동 무대인 "이스라엘 땅"이요, 다음은 무대의 주인공 격인"이스라엘백성" 이다. 우리는 이 두 主題를 담고 있는 성경에 관해서 끊임없는 탐구와 사색을 통하지 않고는 훌륭한 설교를 창조해 내지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주제에 맞는 무대 장치화 훌륭한 연기자 없이는 감동적인 연극을 연출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론
모든 인간의 歷史는 그가 살고 있는 地理的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형성 된다. 기후, 지형 등의 영향 뿐아니라, 地政學的(Geopolitical)인 위치로 인한 국제적 관계 또한 무시될 수 없는 요소이다. 이스라엘의 역사는 특히 이러한 요소들로 인한 영향이 매우 크게 미쳐왔다. 이스라엘은 아시아, 아프리카 및 유럽 대륙을 연결하는 橋梁(Bridge)에 位置하고 있다. 고대 이스라엘의 역사는 이러한 지리적 위치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고대 근동의 여러 나라 들과 政治的, 宗敎的, 經濟關係를 맺어 왔다. 상대적으로 弱勢에 처해 있는 이스라엘은 주변 강대국들로부터 많은 침략을 받아 왔으며, 종교적 영향을 배제 할 수 없었고,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양대 문명과 경제적 관계를 맺지 않을 수 없었다.
고대로부터 이스라엘은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 그리고 이집트를 연결하는 문명의 교차로 대륙 진출의 교두보로써, 교통의 요충지로써, 무역의 교역로로서, 세력간의 角逐場으로써,양대륙의 완충지로써, 그리고 종교의 발상지로써의 역활을 충실히 담당해 왔다. 한편 이스라엘은 "기름진 초생달(Fertile Crescent)의 서남쪽 끝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야와 사막의 경계가 되기도 한다. 서쪽으로는 바다가 경계이며, 동쪽과 북쪽은 높은 山地이고, 남쪽은 사막에 이르게 된다. 이스라엘의 조상들은 노아 홍수 이후 사방으로 흩어져 야벳(Japheth)은 서쪽과 북쪽으로, 함(Ham)은 남쪽으로, 셈(Shem)은 동쪽으로 각각 移動하게 되는 모습(창 10장, 대상 1:1-23)에서도 근동에서의 이스라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다와 사막 사이에 위치한 이스라엘의 기후는 乾期(4월-9월)와 雨期(10월-3월)로 뚜렷이 구별되는地中海性 기후로써, 주기적으로 옮겨 다니던 족장들의 삶을 여기서도 잘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이스라엘의 地政學的 위치는 고대 및 현대 이스라엘의 역사적 사건들을 이해 하는데 매우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도로
팔레스타인 안에서 발달된 도로는 이스라엘의 국제적 관계를 이해하는 열쇠가 되며, 도로를 중심으로 발달된 도시들과 인구의 密集 상태, 군사적 행동 등 많은 사건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고대의 역대 왕들의 매우 중요한 사업 가운데 도로공사는 必需的인 요소로 여겨 왔으며, 이는 곧 정복의 한 과정으로 취급되어졌다. (사 62:10, 40:3, 57:14, 49:11 렘 18:15)
팔레스타인을 통과하는 국제로 (International Highways)는 "해변의 길" (Via Maris)과 "왕의 대로"(the King's Highway)로 크게 구별된다. 이 두 도로는 많은 군인, 사신, 상인, 여행자 들이 지나 다니는 길로써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이스라엘에 커다란 영향을 미쳐 왔다. "해변의 길"은 이사야 9장 1절에서 취급되고 있으며, 출애굽 사건에서 言及되고 있는 "블레셋 사람의 땅의 길"(the way to the land of Philistime, 출 13:17)과 일치한다. "바다의 길"(way of the sea)로 불리우는 이 도로는 라틴 말로 Via Maris로 칭하고 있다. 이 도로를중심으로 발달된 都市 들은 이집트로 부터 시작하여 가자, 아스돗, 아벡 (삼상 4:1, 29:1 왕상 20:26, 왕하13:17), 므깃도 (왕상 9:15-19, 계 16:16), 하솔 (왕하 15:29), 다메섹을 지나 메소포타미아에 이르게 된다.
한편 "왕의 대로"는 요단 東便 山地 (Transjordanian highlands)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길게 뻗은 도로로써 민수기 20:17, 21:22에서 언급하고 있다. 이 도로는 세렛(Zwret, 신 2:13), 아르논 (Arnon, 신 3:8), 얍복(jabbok, 신 2:37, 3:16, 민 21:24, 창 32:22), 그리고 야르묵(Yarmuk)등의 큰 와디(Wadi)가 가로 놓여 있어서 障碍物이 되고 있다. 출애굽의 과정에서 이스라엘 백성은 이 도로를 따라 모압 山地 느보산에 이르러 가나안 땅으로 들어오게 된다 (신 2-3장), 한편 창세기 14장에서는 "왕의 대로"를 중심으로 형성된 많은 都市國家들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다.이스라엘 내에서 발달된 국내로(Internal Roads)로는 먼저 베델에서 세겝으로 올라가는 "큰길"(삿21:19)과 여리고로부터 벧샨에 이르는 요르단 골짜기(Jordan Valley)의 "들길"(the way of the plain, 삼하18:23)이 그 中心을 이루고 있으며, "모압 광야의 길"(the way of the wilderness of Moab, 신2:8), "에돔 광야의 길"(the way of the wilderness of Edom, 왕하 3:8), 기브온에서 라기스에 이르는 "아얄론 골짜기의 길"(수10:6-11), "벧호른 길"(the way of Bet Horon, 삼상 13:18, 수10:10, 왕상 9:17, 대하 8:5), "예루살렘으로 부터 여리고로 내려가는 길"(눅 10:30, 수 15:7, 18:17)등 많은 간선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로들은 땅의 境界가 되기도 하며, 왕들의 통치 정책 및 군사적 전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본래 길은 정복자의 血管이나 마찬가지이다. 향촌에서 도시까지 길은 무수하게 얽히고 설킨 혈관처럼 이어져, 정복자들에게 양분을 제공해 주는통로이다. 따라서 모든 길은 한 방물의 피와 한 방울의 땀이 모래 속으로 스며들고, 바위를 침식해 들어가, 오직 인간의 힘에 의해 길은 평탄케 되는 것이다. 동서를 구분할 수 없는 수풀 무성한 상에도, 시작도 끝도 보이지 않는 드넓은 사막에도, 정복자들의 발길이 닿는 곳에는 언제나 길이 나 있다. 이름 없는 사람들은 묵묵히 땀을 흘리며 수 많은 길을 닦았으며, 끝없이 이어지는 사람들을 앞으로 앞으로 인도 하였다. 또한 길은 소리없는 언어와 같아서 서로가 다른 思想과 文化를 소통 시키고 정감과 우의를 이어 주기도 하며, 생활 범위를 확대시켜 주기도 한다. 길은 끊임없이 확장되고 이어져, 멀고 먼 땅까지 펼쳐 나간다.
지형 (Topography)
이스라엘의 地形은 매우 다양하다. 지구 表面 중에서 가장 낮은 곳이 있어 한 겨울에도 수영을 즐길 수 있는 곳이 있는가 하면, 해발 2,814m가 넘는 높은 상이 있어 거의 여름까지도 눈을 볼 수 있는 곳이 있다. 평야와 사막, 산지와 골짜기가 있어 氣候가 매우 다양하기도 하다. 그래서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들의 땅을 "작지만 큰 나라"(Medinat ktana vecidola)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스라엘의 지형은 해안평야 지역, 중앙 山岳 지역, 요르단 溪谷 지역 그리고 요르단 동편 地域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해안평야 지역(The Coastal Zone)
지중해를 끼고 남북으로 길게 뻗은 이 해안 평야 地域은 지중해의 영향으로 강우량이 비교적 풍부하며(년 350mm정도), 잘 발달된 도로를 따라 고대로부터 큰 도시들이 밀집되어 있다.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이민 온 유대인들이 큰 도시와 키브츠및 모샤브를 형성하여 살고있다.한편, 이 지역은 모래와 사암(Sand Stone)이 대부분이어서 곡식보다는 포도, 사과, 오렌지 등의 과일이 적합한 산업이 되고 있다. 이 지역은 악고 平原 (the plain of Acco)이 하이파를 중심하여 북쪽으로 뻗어져 있으며(삿 1:31 수 19:30),현재는 이스라엘 최대의 工業都市로 발달되어 있다. 또 갈멜산을 끼고 동남쪽으로 펼쳐져 있는 이스르엘 平原(THE Jezreel valley 왕상 21:1)은 지중해와 요르단 계곡을 연결하고 있는 가장 큰 계곡으로써 기손 강(삿 4:7)과 하룻샘(삭 4:13, 왕상 18:40)이 있어 기름진 퇴적토(alluvial soil)와 더불어 옥토를 형성하고 있다. 갈멜산 남쪽으로부터 욥바에 이르는 샤론 平野(Sharon plain)는 성경에서도 그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있다(사 35:2). "샤론"이라는 말은 원래 "숲"을 의미하는 말로써 古代에는 매우 울창한 숲이 있어 많은 동물이 서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욥바 남쪽으로 이어지는 블레셋 평야(the Philistine Coast)는 고대로 부터 매우 기름진 평원이며 이스라엘의 穀倉지대 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중앙 산악 지역 (The Central Mountain Range)
지중해로 부터 내륙으로 야산 지대를 지나오면 높은 산지가 남북으로 뻗어있어 마치 낙타의 등 모양을 하고 있는 이 지역은 다시 북으로부터 갈릴리 산악지대, 유다, 사마리아 山岳지대, 네겝 산지 등으로 나누어 진다. 갈릴리 산악지대는 구약시대의 납달리 지파의 땅으로써 (수 19:32-39), 북쪽 갈릴리(upper Galilee)의 이스라엘에서 가장 높은 해발 2,841m에 이르는 헤브론 산에서 부터 레바논과의 접경 지대 및 남쪽 갈릴리(lower Galilee)의 길보아산(Mt Gilboa, 삼상 31:8)에 이르는 지역을 말한다. 고냉지 상업 및 목축이 발달되어 있다. 유다, 사마리아 산지는 이스라엘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온 지역으로써 해발 800-900m에 이르는 산악지대이다. 세겜의 베발산과 그리심산을 비롯하여 실로, 베델의 에브라임 산지, 예루살렘이 중심이 되는 유대 산지는 고대 이스라엘의 중추였다. 현재의 이 지역은 대부분이 점령 지역(West Bank)이다.한편 남쪽 네겝(Negev은 히브리어로 "남쪽"이라는 뜻이다) 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으로써(해발400-1,000m) 에일랏, 브엘쉐바, 신 광야에 이르는 메마른 사막이다. 현재의 이스라엘 국토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년 중 비가 거의 오지 않으나 오늘날에는 물을공급하여 야채, 과일, 및 꽃 등이 재배되고 있다.
요르단 계곡 (The Jordan Valley)
이 지역은 고대의 지각운동으로 인하여 생겨난 단층(Rift)으로 말미암아 생긴 계곡 지역으로써, 북으로부터 훌라 계곡(the Huleh valley), 갈릴리호수(Yam Kinnereth), 요르단 계곡(the Jordan valley), 사해(the Dead Sea), 그리고 아라바(the Arabah)로 이어져 홍해(the Red Sea)에 이른다.
이 지역은 지구 표면에서 가장 낮은 지역으로 사해의 경우 해발 약-400m에 이르고 있다. 북쪽 계곡 지역의 경우 강우량도 풍부하고(약 800mm) 양질의 토양이 있어 야채, 곡식 및 과일을 많이 생산하고 있으나, 남쪽의 이 지역은 높은 산악지역의 영향으로 년중 거의 비가 오지 않으며 고온 건조하다.
요르단 동편 (The Transjordanian Highlands)
역사적으로 이 지역은 이스라엘의 영토로 여겨진 적은 없으나 이스라엘의 두 지파 반(르우벤, 갓,므낫세, 반지파, 수 22:1-6)이 남아 있었던 지역으로써 북쪽의 바산(Bashan, 신 3:1 , 암 4:1), 길르앗(Gilead,대상 5:9), 모압(Moab, 왕하 3:4) 그리고 에돔(Edom, 창 36:31-39, 왕하 14:7)에 이르는 산지이다. 이지역으로 통하는 "왕의 대로"로 인하여 많은 전쟁과 무역이 이루어 졌으나, 동쪽으로 이어지는 시리아사막(Syrian-Arabian Desert)은 이들의 발전을 상대적으로 늦추게 하고 있다.
결 론
요약하면, 팔레스타인은 그 크기는 작으나 地形은 매우 다양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짧은 거리 안에 산과 골짜기, 늪지와 사막, 가파른 경사의 비탈(slope)이 있다. 이러한 地形들은 각 시대마다 다양한 그들의 역사를 만들어 내는데 어떤 작용과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地理的 상황은 이스라엘의 政治的, 民族的, 社會的 統一을 가져다 주는데 결코 도움이 되지않았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