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치료적 맞춤운동, 비타미네, 영성 연구소
카페 가입하기
 
 
 
 

친구 카페

 
 
카페 게시글
therapeutic exercise 근력 트레이닝과 컨디셔닝. 운동사 교육시리즈 5
문형철 추천 0 조회 2,757 07.08.02 07:12 댓글 1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첨부된 파일
댓글
  • 작성자 08.09.18 16:42

    첫댓글 노화에 의해 나타나는 근위축은 근섬유의 크기와 수의 감소로 나타나는데, 2형섬유(속근)가 1형섬유보다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 작성자 08.09.18 16:51

    - 체지방율이 높은 여성에서는 저항 트레이닝을 할때 시각적으로 근비대를 찾기 힘들지만 실제로 단기간의 트레이닝 결과로 생기는 근비대율은 남녀가 거의 같은 정도이다.

  • 작성자 08.09.18 16:51

    - 저항 트레이닝의 결과로 생기는 근비대는 트레이닝 개시로부터의 기간에 따라 다르며 트레이닝 개시 후 최초의 1-2개월은 근력증강은 인정되어도 근비대는 동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 근력증강은 신경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작성자 08.09.18 16:51

    - 6-8주 후에 근섬유비대는 확실하게 근력증가에 관여한다. 저항 트레이닝을 한 선수에게서 뚜렷한 근육의 크기와 근력증가가 기간을 지나면 두요인이 현저한 변화가 이루어진다. 그러면서도 저항트레이닝을 실시한 선수에서는 뚜렷한 근비대 및 근력증강이 반드시 이루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2년간 추적조사의 결과에서는 얻어진 근력증강은 근비대에 의한 것이 아니며 오히려 트레이닝 강도의 상승과 병행해서 얻어진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도 신경적인 요인이 관여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 작성자 08.09.18 17:39

    - 최소필수긴장(minimal essential strain, MES)이라는 용어는 새로운 뼈 형성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최소자극을 의미한다. 주의할 것은 노인과 비활동적인 사람들에게 빠른 걷기가 MES를 초과할지도 모르지만 젊은 사람들에게는 MES를 초과하기 위해서는 스프린팅, 점핑, 고 저항운동 활동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뼈세포는 주기적으로 주어지는 힘이 MES를 초과하지 않도록 각부위의 뼈 양을 조절한다. 이러한 뼈양의 조절은 골절을 예방하기 위한 뼈의 안전한계를 설정한다. MES는 뼈를 골절시킬 수 있는 힘의 약 1/10의 긴장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 09.01.06 10:56

    침상안정시 척추에 있어서 무기질양의 보존은 하루 3시간 서있기로 충분하다.

  • 작성자 08.09.27 12:02

    테스토스테론을 증가시키기 위한 운동 # 대근군 운동(데드리프트, 파워 클린, 스쿼트 운동) # 고저항 운동(1RM의 85% 이상운동) # 다수의 세트, 다수운동에서 고중량의 운동 # 짧은 휴식주기(30초-1분) # 2년 또는 그 이상의 저항트레이닝 경험

  • 작성자 08.09.27 12:07

    가장 일반적인 오해로는 저항훈련이 아동의 신장발달을 저해한다고 믿는 것이다. 적절한 지침을 준수하는 가운데 저항운동을 실시하면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작성자 08.09.27 12:08

    절대근력의 관점에서 여성은 대략 남성 근력의 2/3정도이다. 저항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함으로써 여자는 남자와 같거나 오히려 빠른 속도로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절대적 근력은 남자가 강하지만 상대적인 증가는 같거나 여자가 우세하다.

  • 작성자 08.09.27 12:08

    근육량감소는 근력저하를 초래하는데, 연구에 따르면 55-64세 나이의 여자 가운데 40%, 65-74세나이의 여자가운데 45%, 75-84세 여자가운데 65%가 4.5kg정도의 물체도 들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09.01.06 10:51

    교수님 매일 교수님 요약본 하나씩 읽어 볼려고 합니다.. ㅋ 교수님 글 역주행이라고 나 할까요...ㅋㅋㅋ 우선 이건 어제 다 읽었습니다. 위에 교수님 리플이 중요 내용이내요...^^

  • 작성자 09.01.06 12:30

    자주 놀러와! 사랑하는 이성용 선생님. 올해는 좋은 배필만나 결혼도하고..ㅋㅋ

  • 09.01.06 10:55

    일반적인 안정성의 요인 - 워밍업 혈류, 체온 증가 인대 건 유연성증가, 충분한 가동범위를 통한 기본적 운동수행, 처음에는 가벼운 중량이용하고 2주 연습과정후 본격적 운동, 관절 내 통증을 간과하지 않는다. 무거운 부하 운동후 얼음찜질은 회복과 상해방지에 중요하다. 보강운동은 주 근육근 및 길항근간의 평형성유지와 관절안정성 증진에 도움을 준다.

  • 09.01.06 10:58

    연골에 미치는 신체활동의 효과 - 지속적 유산소 운동이 관절연골에 미치는 잠재적인 부정적 효과를 평가하는 동물실험에 긍정적 결과가 나왔다. 돼지의 장기간 트래드밀 운동은 연골을 두껍게 만들고 세포의 숫자와 관절연골의 기초물질을 증가시켰다. 중간정도의 유산소 운동은 연골두께를 증가시키는데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격렬한 운동은 퇴행적 고나절질환을 가져오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작성자 09.01.06 14:34

    근육 생리학의 이해는 트레이닝 프로그램 작성과 실행의 기본이며 근력과 컨디셔닝 전문가에 있어서 기본적인 지식이다. - 근 이외에도 순환계, 신경계 그리고 내분비계 등 신체의 여러가지가 근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만 실제로 운동을 일으키는 기관은 어디까지나 "근육"이다.

  • 15.01.08 19:36

    훌륭하신 정리에 감탄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