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기상측후소의 매분관측자료 : 부산 159 / 2022.07.18.23:58
AWS 지점 / 고도 | 강수 | 강수15 | 강수60 | 강수3H | 강수6H | 강수12H | 일강수 | 기온 | 풍향1 | 풍속1(m/s) | 풍향10 | 풍속10(m/s) | 습도 | 해면기압 | 위치 |
159 | 부산 | 70m | ● | 0.2 | 2.0 | 2.2 | 2.4 | 15.7 | 63.0 | 23.0 | 242.6 | WSW | 1.7 | 234.5 | SW | 1.2 | 100 | 998.8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1가 |
160 | 부산(레) | 512m | ● | 0.5 | 2.0 | 2.0 | 2.5 | 15.0 | 64.0 | 22.5 | 310.2 | NW | 3.2 | 306.5 | NW | 3.0 | 95 | .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3가 |
910 | 영도 | 139m | ○ | 0 | 0.5 | 0.5 | 1.0 | 15.0 | 79.5 | 23.4 | 183.6 | S | 1.8 | 185.2 | S | 2.1 | 100 | 999.4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
938 | 부산진 | 114m | ● | 0 | 4.5 | 6.5 | 6.5 | 22.0 | 66.5 | 23.2 | 155.1 | SSE | 0.7 | 170.4 | S | 0.3 | 97 | 1000.3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 |
940 | 동래 | 70m | ● | 0 | 15.5 | 16.0 | 17.0 | 37.0 | 84.5 | 23.3 | 119.8 | ESE | 0.2 | 157.2 | SSE | 0.4 | 100 | .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
984 | 오륙도 | 36m | - | . | . | . | . | . | . | 24.1 | 198.7 | SSW | 2.3 | 207.1 | SSW | 2.0 | 100 | 999.0 | 부산광역시 남구 |
942 | 부산남구 | 124m | ○ | 0 | 2.0 | 2.0 | 2.5 | 17.5 | 76.0 | 23.0 | 0.0 | - | 0.0 | 256.7 | - | 0.1 | 99 | 999.5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 |
941 | 북구 | 7m | ● | 0.5 | 9.5 | 12.5 | 14.0 | 29.5 | 71.0 | 23.5 | 314.0 | NW | 0.6 | 303.6 | WNW | 1.0 | 97 | 1000.0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
937 | 해운대 | 64m | ● | 0.5 | 4.0 | 4.0 | 4.0 | 22.0 | 85.0 | 23.1 | 230.9 | SW | 1.1 | 210.5 | SSW | 1.5 | 100 | .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
950 | 사하 | 127m | ● | 0.5 | 2.0 | 2.5 | 2.5 | 13.0 | 62.0 | 22.9 | 264.4 | W | 0.4 | 137.6 | SE | 0.8 | 94 | .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
939 | 금정구 | 49m | ○ | 1.0 | 4.0 | 4.0 | 14.5 | 36.5 | 74.5 | 22.8 | 252.2 | - | 0.1 | 198.3 | - | 0.1 | 91 | 999.0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
296 | 북부산 | 3m | ● | 0 | 9.0 | 13.5 | 14.5 | 29.0 | 76.5 | 23.4 | 339.3 | NNW | 0.2 | 323.7 | NW | 0.2 | 96 | 999.7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
153 | 김해(공) * | 4m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
921 | 가덕도 | 76m | ○ | 0 | 0.5 | 1.5 | 2.5 | 10.5 | 62.5 | 22.9 | 111.7 | ESE | 2.4 | 111.4 | ESE | 2.1 | 100 | .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
904 | 사상 | 4m | ○ | 0 | 7.0 | 11.0 | 11.5 | 26.0 | 65.5 | 23.6 | 344.3 | NNW | 0.7 | 324.6 | NW | 0.6 | 98 | 998.5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
923 | 기장 | 66m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 |
◆ 오늘은 부산 16개 지역중 해운대의 강수량이 가장 많았다. 그럼 금년 반딧불이 출현은 어느지역이 가장 많을까?
장산습지에서 가장 많이 관찰할 수 있게 되리라 가슴 부풀어 있으면서 예측자료로서 상기 관측자료를 제시해 둔다.
아직은 애벌레라서 동태를 관찰하기가 쉽지는 않다. 그래도 물속에서 살고 있으니 물이라도 충분해야 하지 않을까?
하늘소 한마리가 이렇게 풀속에서 노닐고 있다. 곤충행동 보니 금년 이곳 반딧불이는 기대이상으로 출현할것 같다.
2년전 태풍으로 사라진 반딧불이학습센터 아직 복원하지 않았다. 행정청 생태계 복원 무관심함을 가늠하는 잣대다.
그래도 반딧불이는 찾아온다. 부처손, 창포, 하늘나리, 잠자리, 개구리, 꾀꼬리,자주땅귀개가 이렇게 알려주기에.......
어린이에게는 꿈을! 어른에게는 추억을! 우리에게는 코로나 치유의 면역을! 선물해드리고 싶어서 기회를 만들어 본다.
장산구립공원내 크고작은 습지가 20군데 있다. 어떻게 보호하나 지켜봤더니 용역사가 그려준 범위내에서만 움직인다.
첫댓글
지구의 작은 존재였던 인간들이 만들어낸 욕심들이
말없는 자연의 생명력을 조금씩 잠식해가고 있습니다.
누구도 날아보지 못한 창공 구석에까지 가고 싶었는데,
자연과 불통하는 이기적 인간들 때문에 점점 사라져간다.
반딧불이가, 덤벙이, 습지가 사라지고 있다.......
늦반딧불이 애벌레가 먹는 먹이는 달팽이다.
달팽이 서식환경 조성해보려 현장 다녀왔다.
1주후에 배추밭 10m X 3m 두군데 조성하려고
둘러보고왔다.
8.16 ~17일 까지 해운대지역 누적강수량 72.5mm 내렸다.
10일 후부터 반딧불이 출현 모습 확인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그날 낮 소나기 한 줄기 내렸으면 더욱 좋겠다.
뿌려놓은 배추에 아직 달팽이 보이지 않지만 희망은 갖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