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담은 진심과 정성으로 마음을 나누는 것이다
진심과 정성으로 차를 끓인다
새벽 여명이 열리면 차방에
찻물을 끓인다.
차주전자에 흔히 써넣는
‘가이청심야’(可以淸心也)라는 다섯 글자로 마음을 다스린다
可以淸心也 (가이청심야) 마음을 맑게 할 수가 있고
以淸心也可 (이청심야가) 맑은 마음으로 마셔도 좋다.
淸心也可以 (청심야가이) 맑은 마음으로도 괜찮으니
心也可以淸 (심야가이청) 마음도 맑아질 수가 있고
也可以淸心 (야가이청심) 또한 마음을 맑게 해준다.
정을 나누고(和),
공경을 표시하고(敬),
다구(茶具)의 청정을 느끼며(淸),
분위기(寂)를 즐긴다.
혼자, 둘이, 서넛이 모여 맛실 때
차를 마시면 그윽하고(幽), 빼어나고(勝), 즐거워야 한다(趣),
차를 마시며 소곤소곤 차담을 하면
기쁘고(悅, 說) 즐겁고(樂), 아름답다(美)
마음을 맑게(可以淸心也) 또 맑게(以淸心),
마음을 밝게(淸心也), 또 밝게(心以淸)
마음을 맑고 밝게 해준다(也可以淸心)
마음이 맑고, 밝고, 지혜롭게 참되게 살게 한다
서로 어울려 세우고(敬), 섬기고(敬), 사랑하고(愛), 존경하고(敬), 존중하고(尊)
어울려 아름답게 산다(美)
참되고 진실하게(眞)
선하고 인자하게(善)
사랑으로 아름답게 사는 것이다(美)
마음을 맑게 하고
좋은 삶을 살고자 다짐한다
사람답게 사는 것이요,
아름답게 사는 것이요,
보람 있게 사는 것이다.
따뜻한 차 한 잔을 나누며
좋은 이웃을 사는 데는 천만금을 지불한다.
마음을 맑게 하고
좋은 삶을 살고자 다짐한다
사람답게 사는 것이요,
아름답게 사는 것이요,
보람 있게 사는 것이다.
따뜻한 차 한 잔을 나누며
좋은 이웃을 사는 데는 천만금을 지불한다.
차를 나누며 차담을 하면 정겨운 친구의 마음을 안다
정을 나누고(和),
공경을 표시하고(敬),
다구(茶具)의 청정을 느끼며(淸),
분위기(寂)를 즐긴다.
혼자, 둘이, 서넛이 모여 맛실 때
차를 마시면 그윽하고(幽), 빼어나고(勝), 즐거워야 한다(趣),
차를 마시며 소곤소곤 차담을 하면
기쁘고(悅, 說) 즐겁고(樂), 아름답게(美) 사는 것이다
중국 차마고돌를 걷던 때가 생각난다
God Blessing you
God Blessing you
The First Blessing
이웃을 위해 사랑의 마중물이 되어라
서로 사랑하라 Love each other
샬롬(Shalom)으로 인사 나눈다
차는 중국이 가장 유서 깊을 것이다.
실크로드는‘티 로드(Tea-road)’였다.
중국 역사에서 다도(茶道)를 하나의 예술로 완성한 사람은
송나라 도륭(屠隆·1542~1605)이었다.
그는『고반여사(考槃餘事)』라는 명저를 남겼다.
‘찻상에 둘러앉아 두런두런 나눈 이야기’라는 뜻이다.
그의 말에 따르면 다도는
상대와 정을 나누고(和),
공경을 표시하고(敬),
다구(茶具)의 청정을 느끼며(淸),
분위기(寂)를 즐기고자 함이다.
그는 차 따고 덖는 법, 물의 선택, 온도 맞추고 따르는 법,
다기와 효과 등을 소상하게 설명했다.
그 가운데서 함께 마시는 벗의 숫자를 특히 중요하게 여겼다.
그에 따르면 차는 마시는 사람의 숫자에 따라 맛이 다르다.
혼자 마시는 것은 그윽하며(幽),
둘이 마실 때는 맛이 빼어나며(勝),
서넛이 마실 때는 즐거우며(趣),
대여섯이 마시는 것은 맛을 모르고 벌로 마시는 것이며(汎),
예닐곱이 마시면 퍼먹이는 것(施)이다.
좋은 친구와 마셔야지 우르르 몰려가 왁자지껄한 것은 차담이 아니다.
너무 외로워 상담 의사를 찾아가니
혼자 차를 마셔보아라 말이 오래 기억에 남는다.
진심과 정성으로 마음을 열고
차를 나누고 향기로운 참담을 나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