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茶)를 끓이며( 외로운 별이 됩니다.)
윤수천 작사
김성희 작곡
눈이 내리는 날 차를 끓입니다
차를 끓이며 한 사람을 생각 합니다
먼 곳의 별처럼 그리운 사람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사람,
등대 같은 사람
그를 생각 합니다
눈이 내리는 날 차를 끓입니다
차를 끓이며 그 사람과 하나가 됩니다
외로운 별이 됩니다.
눈이 내리는 날 차를 끓입니다
차를 끓이며 한 사람을 생각합니다
먼 곳의 별처럼 그리운 사람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사람,
등대 같은 사람
그를 생각합니다
눈이 내리는 날 차를 끓입니다
차를 끓이며 그 사람과 하나가 됩니다
외로운 별이 됩니다.
이 노래는 윤수천(尹壽千) 작사 김성희 작곡 가곡 “차를 끓이며” 다.
요즘처럼 날씨가 눈이 오고 추운 겨울이면 사랑 하는 사람과 햇볕 따스하게 내려 쪼이는 경치 좋은 어느 카페 창가에서 어깨 맞대고, 따듯한 차라도 마시며 끝없는 밀어가 담겨 있는 이야기를 하고 싶은 계절이다.
향기 좋은 따스한 차 한 모금을 넘기면, 따스한 찻물이 식도를 타고 넘어가며 추위에 떨던 몸이 사르르 녹기 시작 하고, 그동안 쌓였던 사랑의 이야기가 여름에 쏟아지는 폭포수처럼 떠 밀려 내려온다,
겨울은 그래서 따스한 차를 끓이며 사랑이 무르 익어가는 계절이다.
작사자 아동 문학가 이며, 시인, 수필가인 윤수천(尹壽千)(1942 ∼ ) 선생님은 충북 영동에서 태어났고, 경기도 안성에서 자랐다.
1974년 소년중앙문학상 동화가 당선되었고. 197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동시(童詩)가 당선 되었다.
한국문인 협회 회원, 경기문학인협회 회장 등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동화집 <꺼벙이 억수> <야옹 망망 꼬끼오 버스>등 많은 동화집을 출간 하였고, 동시집 <아기 넝쿨><겨울 숲>도 출간 하였고.
시집<.빈 주머니는 따뜻하다> <너에게는 나의 사랑이 필요하다>도 출간 하였다.
최근에는 읽기 편하고 이해하기 쉬운 4행 시집을 출판 하였고, 지금도 많은 문학 활동을 하고 있다.
지금도 선생님의 동화집은 많은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을 주는 동화들이 많다..
선생님은 고등학교 시절 한국문예총연맹에서 실시한 백일장에서 <하늘>이란 시(詩)가 장원(壯元)으로 당선되기도 했다.
(선생님은 저의 절친(切親)이며, 선배 형님 이다)
작곡가 김성희 선생님은 (1951년 ~ ) 부산에서 출생 하였고 숙명 여자 대학교 작곡과 졸업 하고, 가곡<바람 부는 날의 풀> <내 사랑 망초여> <홍 목련> <우슬초 ><내 사랑아 ><인어 공주 >성가 곡, 찬송가등이 있고, 실내악과 가곡 창작곡, 관현악의 밤 연주, 등 많은 발표회를 가졌다.
한국 작곡가 협회 고문,한국 예술가곡연합회 회원이다.
벽난로가 있는 전통 찻집 (사진 폄)
11월끝 자락에 첫 눈이 많이 내려 아름다운 겨울의 경치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렇게 눈이 오고, 낙엽이 떨어지는 계절이 오면, 사랑하는 사람과 고풍스런 벽난로가 있는 전통 찻집 창가에 앉아, 펄펄 날리는
눈송이를 바라보며, 따듯한 향이 피어오르는 차(茶)를 마시고, 서로가 하나이기를 위한 사랑의 밀어(密語)를 익어가고 싶어잔다.
차(茶)는 차나무의 새로 나온 새잎과 연한 줄기를 채취해 증기로 찌거나 햇볕에 말리는 과정을 거친 후, 더운 물에 우리거나 타서 마시는 음료이다. 차(茶)는 그 수가 많다고 한다. 우리가 마시는 차(茶)는 대부분 중국이나 동남아에서 온 것이 많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차(茶) 문화는 옛날 신라시대와, 고려 때부터 마셨다는 기록도 있다.
그러나 요즘 우리의 차(茶)문화는 커피가 대중을 이루고 있다.
커피는 6~7세기경 에티오피아(Ethiopia)의 칼디(Kaldi)라는 목동에 의해 처음 발견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커피 역사는 이조 말엽 1896년 러시아 공사관에 머물던 고종 황제가 처음 마셨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 후 종로 등지에 커피 점들이 생겨나면서 소수의 사람들에게 즐겼다고 알려졌고. 그 뒤 8.15해방과 6.25전쟁을 거치면서 미군
부대에서 원두커피와 인스턴트 커피들이 공급되어 대중들이 즐기는 기호음료로 자리 잡게 되었다.
우리는 반가운 사람을 만나 되면 차(茶)를 마시게 되는데, 대부분 전통차를 마시기보다는 커피 집을 많이 찿는게 일상으로 되어
있어, 거리 마다, 동네 마다, 무슨 카페, 무슨 커피 하우스가 한집 건너 두 집씩 쉽게 만날 수 있다.그래서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몇째 가는 커피 소비국이라는 뉴스를 접하기도 한다.
한해를 보내며 흰 눈이 내리고, 낙엽 떨어지는 창가에서, 한해를 보내는 아쉬운 마음으로 그리운 사람, 외로운 사람, 등대 같은
사람을 생각하며, 더 나은 미래의 행복한 순간들을 꿈꾸며,“차를 끊이며" 노래를 불러 본다.
눈이 내리는 날 차를 끓입니다
차를 끓이며 한 사람을 생각 합니다
먼 곳의 별처럼 그리운 사람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사람,
등대 같은 사람
그를 생각합니다
https://youtu.be/Jm-Nqq7BF5c?si=fwombs9lGzCsrzt6(노래,이중창 바라톤, 송기창 소프라노 이미경
https://youtu.be/Jv9VIekoA6E?si=2xEBl19Fk2bT7_jA(노래 이중창, 소프라노 강여순, 박정숙)
https://youtu.be/KTvQzzZBwK8?si=TYYSPbZ7lGrPH7Re (노래 이중창,소프라노 김기향, 테너 정량부)
보너스(Bonus) (가요: 그 겨울 찻집)
https://youtu.be/hI-k4sMp1G4?si=SdUBmtV0XsZ6hbgj (노래 조용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