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금덩이가 많아 금당이라 불린 금당도를 방문했다. 섬 이름이 금당도(金塘島)라 불린 것은 인근 섬 이름이 금일, 금당, 생일도의 금곡 등 금자의 지명이 붙은 것으로 보아 금이 산출된 고사에서 연유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즉 금덩이(금댕이)가 '금당'으로 불리게 되었다.
득량만 끝자락에 떠 있는 아늑한 섬 '금당도'는 동쪽 고흥반도 서쪽 장흥반도 사이에 위치해 바다가 넓고 조류 소통이 좋다. 따라서 항상 파도가 잔잔하고 수온이 적당한 천혜의 어장이다. 김·톳·미역 양식과 문어와 멸치가 많이 잡히는 황금어장을 가지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간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섬 위치가 잘 나타나 있다. 완도읍에서 31.6㎞ 떨어져 있는 섬은 동경 127°01', 북위 34°23'에 위치하며 북쪽에는 장흥군 관산읍, 남쪽에는 평일도·생일도, 서쪽에는 약산도, 동쪽에는 거금도가 있다. 면적 12.49㎢, 해안선길이 28.2㎞로 중형급 섬에 해당한다.
금당면의 주도인 섬에는 오봉산을 비롯하여 고도 200m 내외의 구릉성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남부지역에 약간의 평지가 있다. 해안은 비교적 넓은 간석지를 이루고 염전이나 양식장으로 이용된다.
간석지는 섬의 남쪽 해안에 펼쳐져 있다. 섬 남쪽의 만입부에는 넓은 간척평야가 조성되어 있다. 연안에 난류가 흘러 비교적 기후가 온화하여 동백나무 등 상록활엽수림들이 자생하고 있다. 연평균기온 14.3℃, 1월 평균기온 1.9℃, 8월 평균기온 25.1℃, 연강수량 1282.5㎜이다.
▲ 금당도 중심가로 70년대에는 다방 3개에 택시 2대가 있고 돈이 많아 술집에서 노래소리가 흘러나왔다고 한다
"70년대에 완도에서 최초로 김을 생산해 일본에 수출해서 개도 돈을 물고 다닌다는 풍문이 돌았던 섬입니다. 당시에는 인구가 7천명 정도 살았어요. 지금은 1천명 밖에 안 삽니다. 현재 금당초등학교에 26명, 중학교에 15명이 재학하고 있습니다"
면사무소, 우체국, 농협, 약국까지 있는 섬으로 한창 호황일 때는 다방 3개에 택시도 2대나 됐다. 부자마을 가학리가 보이는 산중턱에 차를 세우고 바다 건너편 장흥 천관산을 바라보다 바다를 보니 양식장이 어마어마하다. 차를 운전하는 박동윤씨에게 "저게 다 가두리 양식장입니까?" 하고 묻자, "이제 고기 키워서는 돈 못 법니다"라는 대답이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