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 제약/바이오 박재경, 3771-7504]
제약/바이오(Overweight):
ASCO 국내 기업 미리보기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미국 임상 종양 학회(ASCO)
- 미국 임상 종양 학회(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SCO)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음
- ASCO 본 학회는 6월 2일부터 6월 6일까지 개최될 예정이며, 5/25일자로 일반 초록(Late breaking 초록은 학회 중 발표) 공개
- ASCO는 최신 암 치료제 개발 동향과 임상 결과를 발표하는 학회로, 국내 기업에서 레고켐바이오, 유한양행/오스코텍(lazertinib), 앱클론, 지씨셀, 엔케이맥스 등이 포스터 세션에서 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
■유한양행/오스코텍, MARIPOSA의 예고편이 될 CHRYSALIS 결과
- 레이저티닙은 이번 ASCO에서 CHRYSALIS 임상의 treatment naïve(1차) 환자 데이터가 발표될 예정
- 이번 CHRYSALIS 임상 결과는 소규모(20명) 동일 환자군(treatment naïve)에서 MARIPOSA 임상의 1차 평가지표인 mPFS(median Progression Free Survival)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 J&J가 IASLC에서 발표한 CHRYSALIS 임상 결과에 따르면, 22년 6월 1일 data cutoff 당시 follow up, 약물 투여 기간의 중간값은 28개월이고, 해당 시점에서 60%(12/20)의 환자가 암이 진행되지 않고(progression free) 투여 지속. 이번 결과 발표가 기대되는 이유
■더욱 좋아진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기대되는 레고켐바이오
- 레고켐바이오의 HER2 ADC(LCB14)는 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 임상 1상 결과 발표. LCB14는 앞선 작년 9월 ADC Summit에서 R2PD 용량(2.3mg/kg)에서 ORR 46%(11/24), 1명의 완전 반응(Complete Response, CR)의 중간 결과를 확인
- 임상 1상에서 Enhertu는 허가 용량인 5.4mg/kg, 6.4mg/kg에서 ORR 43%(10/23) 확인. 초기 임상 결과이긴 하지만 Enhertu와 유사한 수준의 ORR을 확인했고, Enhertu의 대표적 부작용인 특발성 폐섬유증이 없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결과
- 당시 발표한 결과의 24명 중 Dose Escalation은 6명, Dose Expansion은 18명이며, 관찰 기간 12주 이내의 환자가 포함. 투약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작년 ADC Summit 보다 긍정적인 결과가 기대
■고용량 결과 발표가 기대되는 앱클론
- 앱클론의 AT101은 Epitope을 바꾼 CD19 CAR-T. AT101은 임상 1상에서 저용량(3명), 중간용량(3명) 6명 중 완전관해(CR) 3명, 부분관해(PR) 2명, ORR 83.3%(5/6)의 결과를 확인
- 이는 주요 CD19 CAR-T 들의 ORR인 80~90%와 유사한 수준의 반응률. ASCO에서는 고용량군 결과를 추가로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며, 개선된 결과가 기대
- 생존 기간, 안전성과 Epitope 변경을 통해 기존 CAR-T 불응/재발 환자에게 효과 있을지 등은 앞으로 확인이 필요한 부분
리포트: https://bit.ly/3IERbYN
* 위 문자는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