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분류 | 상품명/상품설명 | 수량 | 평균가격 |
CPU | 인텔 코어i7-6세대 6700 (스카이레이크) (정품) | 1 | 378,980 원 |
메인보드 | GIGABYTE GA-B150M-DS3H 듀러블에디션 피씨디렉트 | 1 | 89,470 원 |
메모리 | 삼성전자 DDR4 8G PC4-17000 (정품) | 4 | 263,200 원 |
하드디스크 | Toshiba 3TB DT01ACA300 (SATA3/7200/64M) | 1 | 111,230 원 |
케이스 | BIGS LUNA 화이트 | 1 | 22,000 원 |
파워 | SuperFlower SF-600R12A NOVA | 1 | 55,000 원 |
조립비 | 컴퓨터 프리미엄 조립 + 1년 전국 무상 방문출장AS (1대분) | 1 | 35,000 원 |
키보드 | 아이리버 IR-KM3000 (화이트) | 1 | 13,900 원 |
쿨러/튜닝 | ABKO SUITMASTER HALO 120F WHITE LED | 2 | 25,520 원 |
SSD | 삼성전자 850 EVO Series (250GB) | 1 | 129,940 원 |
합계금액 1,124,240 원 |
+ 모니터 : 비트엠 Newsync B24H IPS Zero 화이트 무결점
+ 운영체제
* 윈도우 7 Home 32Bit DSP
* 윈도우 7 Home 64Bit DSP
* 윈도우 8.1 Home 32Bit DSP
* 윈도우 8.1 Home 64Bit DSP
* 윈도우 10 Home 32Bit DSP
* 윈도우 10 Home 64Bit DSP
|
첫댓글 우선 메인보드와 cpu 호완성을 물어보셔야합니다. 그것 만 빼고 굿~~~~~!
전 조립PC는 비추 합니다.
제 조립 PC 쓰시면 깜짝 놀라실겁니다.^^ 브랜드 내부를 뜻어 보시고 검색하시면, 더 깜짝 놀라실 겁니다. 서비스때문이지.. 컴퓨터 조금만 알면, 가격대비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답니다. ^^ 괜한 ㅎㅎ 상관을 해서 죄송합니다 축복합니다.^^ 그냥 요즘 카페 활동을 너무 안해서 ㅎㅎㅎ 댓글 달아봅니다.
@빛의소리(박광일) 댓글로 말하는게 조금 한계가 있고, 불편하게 보일수 있겠지만 최대한 말씀드리자면,,,
전문적인 프로그램 사용시엔 회사완제품이 좋습니다.
괜히 "애플,애플" 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제 주위에 350만원으로 조립을 한 친구가 있는데
제가 엄청 말렸습니다. 그정도의 성능이 안나온다고,,,
결국 지금 그 PC를 중고로 팔고 Dell 거 삿지요
그친구 옆에 100만원 조립PC보다 채감 성능이 안나와서 ...
이게 다 이유가 잇는데
호완성,호완성 하지만 이것은 전문적 프로그램의 테스트를 하지 않는 이상 모릅니다.
그렇게 하려면 프로그램에 대해 하드웨어에 대해 괭장한 지식을 쌓는것 밖에 없죠.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이렇습니다.^^;;
@까끼웅(엄희창) 애플이야 그렇게 나와서 할수 없지만, ibm pc는 지식이 있다면 조립을 해야합니다. 대기업 사면 확장성도 별로구 비추에요.. 대기업 이미지 광고비 서비스 요거떄문에 눈덩이처럼 가격이 불어나거든요.. 조립pc로 꾸리면 고성능에 2배이상 싸게 살수 있습니다.
@까끼웅(엄희창) 바로 애플로 말씀 없으면 할말이 없습니다. ㅎㅎㅎ ^^ 애플 꿈의 애플 좋긴 좋죠~~
@DSPACE(김진국) 제가 말씀 드리는 부분은 "호완성"입니다,
혹시~ 조립 하시기 전에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 테스트 해보셨는지요???
서비스 및 확장성을 가지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모든 MS 프로그램, 익스플로, 파이어,크롬, 모든 어도비 프로그램 등을 말합니다.
이것에 대한 호완성을 100% 할 줄 안다면,,,
억대 연봉을 받는 분이시겟지요 ^^
@까끼웅(엄희창) 호환성 말씀하시는데.. 대기업 제품도 다 자기네 부품이 아니라 부품 조합품일 뿐이고요 (조립보다 훨씬 비싸게 받아먹는) 익스플로러 크롬 이런거 안되는거는 윈도우 xp쓸 경우에는 안되구요 아무컴에나 윈도우 7 이상 깔면 다 잘됩니당 ㅋ
답변 감사합니다~^^
본인이 컴퓨터에 전문적이지 않으면 브랜드 회사 사용하세요.
(참고로 이부분에 대해 전문적인 사람 보려면 전자회사에 근무하시는 분을 찾는것 밖에 없습니다. 인터넷상으로 찾기 힘든 부분입니다.)
인터페이스가 작동이 안된다는 질문들을 본적이 있는데
이건 해결할 답이 없습니다. 본인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않는 이상...
원인은 인터페이스와 메인보드의 소프트웨어적인 호완성이 안되어서 그런건데,,,
어찌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애플"같은 회사 완제품은 이런일이 거의 없죠.
요즘 나오는 PC들은 스펙 좋습니다.
안전하게 사용하시려면 완제품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간혹 1세대 인텔 cpu와 호환 보드 이후 (샌디브릿지 이상) 메인보드들이 더이상 pci 를 네이티브 지원을 하지 않는 관계로 pci방식 오디오 카드가 오동작 하고 그럴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pcie 슬롯에 pci를 꼽게 해주는 카드를 구매하셔서 해결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요즘 오디오 인터페이스 중에 pci방식은 없는 거에요. 요즘 pc는 잘 대기떄문에 호환성 따질 필요가 없습니다
지금 6700 사시면 절대 안됩니다. amd 라이젠 r1700 구입하셔야 합니다. 라이젠이 엄청난 성능에 가격도 싸거든요^^ 검색 한번 해보세요~~ 1700 다나와에서 37~8만원 하던거 같더라구요.. 보드도 9만원대도 나왔다는데 저거 사면 완전 ㅠㅠ ㅋㅋ
윈도우는 당연히 10 쓰시면 되고요 램은 일단 16기가만 되어도 충분히 음악작업 가능 합니다. 좀 기다리시면 ddr4 8기가 가격도 내릴것 같으니 8기가짜리 2개만 사시고 cpu는 amd r7 1700 라이젠 사시고 메인보드는 b350구입 하시고 나머지는 쿨러 장바구니에서 제거후 그대로 쓰시면 됩니다. 라이젠은 8코어 16쓰레드로 amd에서 새롭게 출시한 모델인데 고성능에 너무나 저렴한 가격떄문에 요즘 대인기입니다. 지금 인텔사면 절대 안되요..ㅋㅋ
이정도면 홈구축하고도 남습니다. 홈이던 전문가이던 요즘은 pc성는 약해서 못한다는 것은 전혀 없습니다.사실 본인은 싱글코어로도 방대한 것을 구축해서 시작했으니까요. 조금 인지한다면 이렇게 조립이 가능하지만 초보들은 어디에서 중고컴 업자놈한테 그것도 불법으로 수집한 프로그램 얹어서 끼워파는 파렴치한놈 보면 아~참 자칭 작곡기술자라고 하면서 작곡가 먹칠을하며 지맘데로 필요없는사람 강퇴시키고 까대면서...여러게 세컨 아이디 출동시켜서 운영하는거 보면 과관입니다.초보들 피해없어야는데, 본인은 조립전문이라 구매한적도 없지만..!
컴맹이신분 초보분들 지금 인텔 cpu 절대 사지마세요.. 고성능에 너무나 저렴하게 나온 amd 라이젠 사셔야 합니다. ㅠㅠ 진짜 바보 됩니다용
원래 미디에는 AMD가 좋기도 하지만 경험을 제대로 해야만 가려낼수 있는데,그게 쉽진 않습니다.
@소리와인생 라이젠 검색 한번 해보세요~
@DSPACE(김진국) 아니 무슨뜻인지 다 알아요 전문가라면 나노공정을 상승한거라고 표현하죠.하지만 중급자든 초보자든 소비자들 측에서는 이미 길들여진 인지도가 작용하기 때문이라는 뜻이죠.
음, 개인적으로 아직 라이젠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지켜보고 있을 뿐입니다. cpu가 좋다해도, 나머지 다른 주변기기들의 문제가 아직 좀 남아있습니다. 아직 메인보드 이슈들이 있습니다. 안정성을 채크해보시려면 가장 최신 제품보다는 시간이 좀 지나면서 안정화된 제품들이 낫습니다. 아마 지금 컴퓨터를 맞추면 저는 인텔CPU를 사용할듯 합니다. 프로그램의 호환성은 대부분 프로그램 회사들의 문제이지, 컴퓨터 메인보드, 기타 부품들과의 호환성 문제가 있거나 그런 것은 거의 없습니다.
카페지기님도 뭔가 잘못 아시는듯 하네요 일부 게임과 관련해서는 윈도우 10 패치로 30%성능 향상 되었구요.. 인텔 i7 7700k 4코어 8쓰레드랑 라이젠 1700 8코어 16쓰레드가 가격이 비슷합니다. 그런데 메인보드를 추가하면 라이젠 1700이더 쌉니다. 그런데 라이젠 1700을 3.6으로 오버하면 라이젠 1800x가 되기떄문에 130만원짜리 인텔 8코어 i7 6900k 랑 성능이 동급이 됩니다. 검색을 좀 해보셔야할듯 한데 말입니다. 지금 누구도 컴에 대해 아는사람 이라면 인텔로 가는건 ㅠㅠ 주변기기들의 문제는.. 어떤점을 말씀하시는지 모르겠는데요? 잘 호환 됩니다. 문제는 라이젠을 윈도우와 메인보드 바이오스에서 100%성능
끌어올리는 거였는데 패치가 나오고 있기떄문에 아무런 걱정 할 필요가 없습니다. 부디 인텔 사는 일 없으시길.. *패치* 라는건 게임성능 얘기고 인코딩, 음악 작업에는 패치없이도 잘 됩니다.
@DSPACE(김진국) ㅎㅎ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예전부터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중요한건 싼 가격이 아니라 재대로 돌아가는가입니다. 아직은 라이젠이 시장 초기단계이고 아직 이런저런 사용기들이 올라오고 있지 않습니다. 한달이상 장시간 사용하며 올라온 사용기들은 없지요. 전에 저도 AMD 엄청 좋아해서 한동안 AMD만 썼었을 정도로 좋아하는 사람이지만, 시간이 지나며 프로페셔널한 작업을 하다보니, 가장 중요한 것은 전체적인 시스템 안정성이 1번이었습니다. 게임만 하는 사람이라면 바로 라이젠 지를 수 있겠지만, 작업하다 에러나면 그보다 짜증나고 무서운 일이 없습니다. ㅎㅎ 저희 페북그룹에도 제가 글 올리지 않았습니까. ㅋㅋ 저도 몰라서
@DSPACE(김진국) 몰라서 그러는건 아니고, 당장은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막 어쩔 수 없이 사야한다면 인텔을 사겠다는 뜻입니다. 라이젠은 아직 이슈들이 완벽히 해결된게 아닙니다. 좀 지켜보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최적화가 된 메인보드가 새로 나올 것입니다. 기다려보세요. 지금 구입하시면 CPU는 괜찮을지 몰라도, 주변기기들때문에 고생하실거라 생각합니다. 전에도 제가 AMD메인보드 샀을때 (그때가 아주 예전이긴 하지만..) 그런 에러들이 꽤나 있어서 고생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CPU만 보고 덤비시면 안됩니다. 한달만 기다려보세요. :)
@은빛돌고래(임호규) ㅎㅎ 게임은 인텔이 나아요 라이젠이 멀티미디어 작업용으로 좋네요.. ~~ ^^
@DSPACE(김진국) 김진국님이 주장하는것이 \맞지 않다는것은 아니며 여기서 그장점을 권장한다면 모두 저마다의 사용하는 관습이 있는데 그게 바꾸기 쉽지 않습니다. 패치를 사용하는 영역도 돌고래님 말씀이더 현실에는 가까워요. 미디 일반인들은 거의 초보적인 사람이 90%이상며 모두가 홈레코딩 수준입니다. 고수자라도 자신이 써온것에 대한 길들여지면 아무리 더나은것도 바꾸기 쉽지 않다는겁니다. 이미 쓰고있어요 왜? 타인들 좋다고 해서가 아닌 개인적 용이함이죠.이런 덧글 토론들이 많으면 현명한 것이 가려지면 좋은데 오히려 혼란가중으로 보이기 때문에 적당한 토론이 낫고 그냥 지나치면 되지만 애쓰는것이 안타까움에.
@소리와인생 pc에 대해 잘 모르시는거 같은데요. amd cpu랑 인텔 cpu 쓰면 어떤 프로그램이든지 다 잘 돌아갑니다. cpu달라서 안되는 프로그램 하드웨어는 없습니다. 가격 2배이상 싸면서 8코어 16쓰레드를 쓸수 있거든요~ 호환성 패치 이런 문제는 게임밴치에 해당되고일반작업은문제없구요.
@DSPACE(김진국) 기본 3.0ghz 인데 3.6으로 오버하면 인텔 8코어 16쓰레드 130만원짜리 cpu와 동급이 되니까요. ( i7 6900k)
또, i7 6900k는 보드값도 무지작지하기 비싸기때문에요..
@소리와인생 관습을 거론 하셨는데 관습이란게 뭘 의미하시는가요? 인텔꺼 습관적으로 써오셨으니까 amd에서 좋은제품의 cpu가 출시됬어도 무조건\ 인텔꺼를 쓰셔야 한다는 말씀이신가요~?음... 이말씀은 문제 없이 잘 되던거 써야 한다는 말씀 같은데요.. AMD나 인텔이나 둘다 IBM PC고 하드웨어 잘 돌아가기때문에 (PCIE PCI USB 3.0 , 3.1 ) 이런 규격이 같아서 말입니다. 호환성 문제가 전혀~ 없기때문에 값싸고 좋은거 쓰시면 되는데 말입니다.
@소리와인생 인텔꺼 쓰면 용이하다는 표현은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네요.. amd꺼 쓰나 인텔꺼 쓰나 똑같은건데 말입니다.ㅠ 큐베이스 버젼업을 하면 기능 추가 되겠지만요.. 인텔꺼 쓰면 AMD보다 기능이 추가되는건 없는데요.. CPU안에 명령어가 추가되서 성능이 올라가는건 있겠지만요
@소리와인생 지금 amd라는것이 마치 맥컴퓨터 같인 새로운 기종의 컴으로 생각을 하고계신듯 한데요 인텔 AMD 둘다 윈도우 깔아쓰는 ibm pc이고 두개중 아무거나 쓰셔도 프로그램 똑같이 구동되는건데여..
그리고 지금 현실의 부품사양들은 모든것이 성능이 부족하고 나빠서 미디못한다는 사람 단 한명도 없어요
중점은 자신에게 맞는 호환성 그것으로 좋고 나쁨이 가려지고 언급됫듯이 완제품이 더좋다는것도 맞는말입니다.그냥거기서 업글하면 되므로 또한 모든게 인텔로 맞춰졌는데 항상 후진하던 상표가 더 성능나으니 그거 써라 하면 아무도 쓰지않습니다. 더 성능좋은거 써봐야 구축잘못되면 다 허사에 또 체감적으로 차이를 못느끼죠 미디시퀀은 아시오 하나만 단독사용하므로 여러게 다른시퀀을 공용사용은 할수없고 게임하면서 한다거나 그런일은 없으므로.
소리님은 컴에 대해 잘 모르셔서 완제품찾으시는데 말입니다. 가격은 2배이상 비싸면서 (최대 3배이상) 안에 부품을 보면 램슬롯도 고작 2개뿐이고 확장성도 별로구 말입니다. 단지 a/s와 광고비로 인해서 눈떵이 처럼 불어난 가격인데요.. (조립으로 2배이상 싼 가격에 고급 asus 보드 사고 더 좋은 파워쓰면 안정성 브랜드보다 훨씬 좋죠) 쿼드코어 3.2ghz정도 되면 보통 미디작업이 원할한거는 저도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비싸게 성능이 덜나오는 걸 써야된다는 건 좀 아닌듯 하네요.. amd저도 10년동안 안썼어요 인텔만 고집했는데 이번에는 amd가 야심차게 제대로 된걸 만들었으니 amd로 가야하기떄문에 조언 드린거에용~
또한 모든게 인텔로 맞춰졌는데 항상 후진하던 상표가 더 성능나으니 그거 써라 하면 아무도 쓰지않습니다.
<== 소비자는 값이 싸고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하는 회사의 제품을 쓰는게 기본입니다. 그런데 더 나은 성능의 더 싸게 나온 제품을 쓰라고 한다고 해서 쓸일이 없다는 말씀은 뭔가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이 말씀도 인텔꺼 아니면 호환이 안되리라는 생각을 갖고 계셔서 하시는 말씀같네요.. AMD나 인텔이나
확장 슬롯, USB, PCIE슬롯 공용이구 같은 IBM PC라서 암거나 꼽아도 잘 되는데요..
AMD는 애플이라는 회사와 같은 별게의 PC가 아니라 IBM PC에 속한 인텔과 경쟁하는 회사입니다.
모든우리 미디관심 회원분들에게 하고싶은 말은 자신이 쓰고싶은것 쓰면되며 저 사양이라고 해서 미디음악 못한다는것은 없습니다.문제는 창작이고 거기에 대중이 흡수할수있는 창작이 능력이고 실력이죠.자신의 실력만 있으면 스마트 폰하나로도 표현되는 시대에 적당한 시스템으로 내가진정 작곡소질이 있다면 게시물에 올리며 인정받는것이 더 목적이며 효율입니다. 결론은 위의 조립 사양은 매우 성능이우수한 것이므로 그러한 구성으로해도 매우 좋다 입니다.
제말은 똑같은 값에 작업 성능이 나은 라이젠을 두고 머하러 인텔을 고집해야 할까 하는겁니다. 비싸게 인텔 주고 사도 할꺼는 다 하시겠지만 말입니다. 그렇게 하셔야 될 이유는 뭔지 모르겠네요. 일단 쿼드 3.2정도면 시퀀싱은 한방에 되긴하는데요.. 익스포트시 성능이 많이 단축되기 때문에 추천드린거거덩요~ 라이젠 8코어 16쓰레드 37만원에 사시고 보드 10만원에 구입하신후에 약간 오버하시면 cpu 120+ 보드값도 무지막지한 7 6900k와 동급이 되거든요..~ 제가 amd직원도 아닌데 이러는 이유는 지금 인텔 가시면 정말로 땅을치고 후회하시니까 그런거에요.~ 유튜브나 사이트 검색을 좀 해보시는게 좋겠네요..
질문자분께서도 인텔로 가지마시고 주위에 부품 골라주실 분이 안계시면 저에게 쪽지 주세요 제가 원격으로 인터넷 최저가 사이트 다나와 가서 부품 조합 해드릴께요. (돈드는거 아닙니다) 제가 골라드린걸로 쇼핑몰에 결제만 하시고~ 받아서 쓰시면 됩니다~